지난전시

지난전시

  • 전시
  • 지난전시

오수환 기획초대전 <無我行>

오수환 기획초대전 <無我行>

 

 

 

인격은

채움과 비움의 균형에서 완성된다는 믿음을 갖고 있습니다.

 

무엇을 채우고 덜어낼지 마음먹은 대로 할 수 있는 게 인생은 아니기에

인격의 완성이란 애초에 이룰 수 없는 허상이겠지요.

 

그럼에도, 해를 거듭할수록

한없이 맑아지는 사람을 만나면

다시 삶의 목표로 인격의 완성을 꼽습니다.

 

여기 칠할수록 투명해진

오수환 선생님의 작품들은

그래서 의도와 목적, 이데올로기마저 비워버린 결과가 아닌지 추측할 따름입니다.

 

2022. 10.

대구보건대학교 총장 남 성 희

 

 

 

I have been believing that character can only be perfected by finding the true balance of filling and emptying the mind.

But I soon realize, a perfected character is an illusion existing only in the fantasy since life does not always go as I planned.

After everything, when I meet a person who keeps renewing purity in soul despite the flow of the time,

I naturally set the perfection of character as the goal of life again.

It is my only humble guess

that the works of Oh Sufan, which the more they are painted,

the more transparent they become,

are the concomitant result of having emptied out

even the artist’s intentions, purposes, and ideology.

 

October, 2022

President of Daegu Health College

Nam SungHee

 

 

전시실 전경

 

오수환 기획초대전 <無我行>

 

 

오 수 환 吳受桓 b. 1946

 

 

학 력

1969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서울

 

 

주요 개인전

2022     대구보건대학교 인당뮤지엄, 대구

   에프레미디스, 베를린

2018     가나아트센터, 서울

   가나아트 한남, 서울

2016     인사아트센터, 서울

2013     인사아트센터, 서울

2012     김종영미술관, 서울

           장흥아트파크, 양주

2011     가나아트부산, 부산

2010     가나아트뉴욕, 뉴욕

2009     변화, 가나아트센터, 서울

2008     아트사이드, 베이징

2007     리씨갤러리, 서울

2006     갤러리 매그, 파리

2005     가나아트센터, 서울

2004     가나아트센터, 서울

2003     표갤러리, 서울

2002     갤러리 매그, 바르셀로나

           가나아트센터, 서울

2001     갤러리 가나-보부르, 파리

2000     수가아트스페이스, 부산

1999     가나아트센터, 서울

1998     갤러리 가나-보부르, 파리

1997     아키라 이케다 갤러리, 나고야

           갤러리 가나-보부르, 파리

1995     가나화랑, 서울

1994     가나화랑, 서울

1993     갤러리 드 서울, 서울

1992     웨터링 갤러리, 스톡홀름

           코너트 브라운 갤러리, 런던

           토마스 시걸 갤러리, 보스턴

           가나화랑, 서울

1990     갤러리 부산, 부산

           아나갤러리, 서울

1987     두손갤러리, 서울

1986     두손갤러리, 서울

1979     미술회관, 서울

1977     문헌화랑, 서울

 

 

주요 단체전

2022    4편의 시: 한국의 추상, 헬렌제이 갤러리, 로스앤젤레스

     TEFAF, 마스트리히트

     한국화랑미술제, 코엑스, 서울

     KIAF, 코엑스, 서울

2021     기세와 여운, 뮤지엄 산, 원주

           봄 이야기 Ⅱ, 가나아트센터, 서울

           황혜홀혜 恍兮惚兮,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Now and Ever, 가나아트센터, 서울

           INTER-MISSION, 파라다이스 아트 스페이스, 인천

   KIAF, 코엑스, 서울

2020   미술관에 書: 한국 근현대 서예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덕수궁

 ㄱ의 순간, 예술의 전당 서울서예박물관, 서울

  TEFAF, 마스트리히트

2019    Painting and Existence, 화이트스톤 갤러리, 타이페이

  블루, 가나아트부산, 부산

  블루, SA+갤러리, 홍콩

  TEFAF, 뉴욕

  TEFAF, 마스트리히트

  부산화랑미술제, 벡스코, 부산

  KIAF, 코엑스, 서울

2018    추상과 감흥, 에비뉴엘 아트홀, 서울

  비우다, SA+갤러리, 홍콩

  TEFAF, 마스트리히트

  한국화랑미술제, 코엑스, 서울

  Art Brussels, 브뤼셀

  TEFAF, 뉴욕

  레드, SA+갤러리, 홍콩

  붓질 Ⅲ 추상 거장들, 소더비 홍콩, 홍콩

2017    장욱진 백년, 인사동 라인에 서다, 인사아트센터, 서울

2015    물성을 넘어, 여백의 세계를 찾아서: 한국현대미술의 눈과 정신 1, 가나아트센터, 서울

2014    코리안 뷰티: 두 개의 자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사유로서의 형식: 드로잉의 재발견, 뮤지엄 산, 원주

          白磁大壺, 빛을 그리다, 가나아트센터, 서울

2013    자이트가이스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글자, 그림이 되다, 포스코미술관, 서울

          아뜰리에전, 가나아트센터, 서울

2012    아뜰리에 입주작가 보고전: 힐링캠프, 가나아트센터, 서울

2011    MoA Picks, 서울대학교미술관, 서울

          아시아국제미술전, 예술의 전당, 서울

          오늘의 아시아 미술, 전북도립미술관, 완주

          장욱진 초상전, 장욱진미술관, 용인

2010    이코노 텍스트: 미술과 언어 사이,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정신으로서의 선, 그 힘, 이응노미술관, 대전

          Korean Art Festival, 하버포드미술관, 필라델피아

          Autumn Letter, 가나아트센터, 서울

2009    콜렉션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초콜릿 박스, 장흥아트파크, 양주

          앙가쥬망전, 장욱진미술관, 양주

2008    가나아트 개관 25주년 기념전: 더 브릿지, 가나아트센터, 서울

          한국추상회화 1958-2008,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아트인부산: 돌아와요 부산항에,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부산현대미술전, 부산박물관, 부산

2007    시가 있는 그림, 예술의 전당, 서울

          여백에 대한 사색, 가나아트부산, 부산

          비평적 시각, 인사아트센터, 서울

          호흡,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언어적 형상, 형상적 언어,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6    회화와 조각의 리얼리티,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2005    서울원로중진작가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세기로의 여행: 모더니즘의 만남,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경기도미술관, 안산

2004    금호미술관 개관 15주년 기념 초대전, 금호미술관, 서울

          Collection Dous, 갤러리 매그, 파리

          신소장품 2004,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3    추상의 이해, 성곡미술관, 서울

          백자와 현대회화의 조화, 가나아트센터, 서울

          Best Star, Best Artist, 인사아트센터, 서울

2002    아시아 국제미술전,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2001    Work 2001, 가나아트센터, 서울

2000    시가 있는 그림, 서울갤러리, 서울

          한국현대미술전, 푸눈갤러리, 쿠웨이트시티

          2000년 현대미술, 12명의 아티스트, 선컨템포러리, 서울

          움직이는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새천년 324,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1999    3인전, 현대화랑, 서울

          한국미술의 자생성, 포스코 미술관, 서울

          그림 속 문자, 가나아트센터, 서울

          한일회화교류전, 서울갤러리, 서울

1998    가나아트센터 개관기념전, 가나아트센터, 서울

          대전시립미술관 개관기념 2부전: 2000 시대정신,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1997    광주비엔날레,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1996    아시아국제미술전, 마닐라미술관, 마닐라

          한국현대미술의 모더니즘, 금호미술관, 서울

1995    한국 100개의 자화상, 서울미술관, 서울; 국립청주박물관, 청주

          전통과 오늘의 작품, 선재미술관, 경주

          J&J화랑 개관전, J&J화랑, 로스앤젤레스

1994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93    한국의 이미지, 갤러리 다니엘 텀플롱, 파리

1992    한국현대미술전, 유고슬라비아 국립미술관, 유고슬라비아

          현대한국미술전, 호암갤러리, 서울

1990    1945-1990: 판문점과 브란덴부르크, 시공화랑, 서울

          현대작가 12인전, 갤러리 Q, 서울

          새로운 정신, 금호갤러리, 서울

1989    아시아현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후쿠오카미술관, 후쿠오카; 요코하마 미술관,    요코하마

1988    국제충격미술제, 교토시립미술관, 교토

          한국현대미술대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87    평면오브제이미지, 수화랑, 서울

1986    한일 현대미술 교류전, 단카센터 갤러리, 나고야

1985    환태평양 미술전, 미술회관, 서울

          극소화와 극대화, 전화랑, 서울

          앙가쥬망전, 미술회관, 서울

1984-8 동세대전, 관훈미술관, 서울

1984    아시아 현대미술전, 도쿄도립미술관, 도쿄

1981-87 오늘의 작가, 관훈미술관, 서울

1981     아시아 현대미술 비엔날레, 도쿄도립미술관, 도쿄

           81 드로잉대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80     한국판화드로잉 대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79     현대작가 14인 초대전, 엘칸토화랑, 서울

 

 

수 상

1996     김수근문화상, 김수근문화재단

1968     신인예술상 은상, 문화공보부

 

 

주요 소장처

가나문화재단, 서울

고려대학교 미술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대법원, 서울

매그재단, 생폴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리움미술관, 서울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아키라이케다재단, 도쿄

외교통상부, 서울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조선호텔, 서울

파리국립도서관, 파리

포스코센터, 서울

한국제분주식회사, 서울

한국타이어주식회사, 서울

한솔문화재단, 서울

현대해상주식회사, 서울

후쿠오카시립미술관, 후쿠오카

 

 

 

오수환 기획초대전 <無我行>

 
 

Oh Sufan b. 1946

 

Education

1969     B.F.A.,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Selected Solo Exhibitions

2022     Indang Museum of Daegu Health College, Daegu

   Efremidis, Berlin

2018     Gana Art Center, Seoul

   Gana Art Hannam, Seoul

2016     Insa Art Center, Seoul

2013     Insa Art Center, Seoul

2012     Kim Chong Yung Museum, Seoul

           Jangheung Art Park, Yangju

2011     Gana Art Busan, Busan

2010     Gana Art New York, New York

2009     Gana Art Center, Seoul

2008     Art Side, Beijing

2007     Lee C Gallery, Seoul

2006     Gallery Maeght, Paris

2005     Gana Art Center, Seoul

2004     Gana Art Center, Seoul

2003     Pyo Gallery, Seoul

2002     Gallery Maeght, Barcelona

           Gana Art Center, Seoul

2001     Galerie Gana Beaubourg, Paris

2000     Suga Art Space, Busan

1999     Gana Art Center, Seoul

1998     Galerie Gana Beaubourg, Paris

1997     Akira Ikeda Gallery, Nagoya

           Galerie Gana Beaubourg, Paris

1995     Gana Art Gallery, Seoul

1994     Gana Art Gallery, Seoul

1993     Gallery de Seoul, Seoul

1992     Weltering Gallery, Stockholm

           Connaught Brown Gallery, London

           Thomas Segal Gallery, Boston

           Gana Art Gallery, Seoul

1990     Gallery Busan, Busan

           Ana Gallery, Seoul

1987     Duson Gallery, Seoul

1986     Duson Gallery, Seoul

1979     Fine Art Center, Seoul

1977     Moon Wheon Gallery, Seoul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22    Four Poems: KOREAN ABSTRACTION, Hellen J Gallery, L.A

  TEFAF, Maastricht

  Galleries Art Fair, Coex, Seoul

  KIAF, Coex, Seoul

2021    Afterglow Spirit, Museum SAN, Wonju

  Spring Story , Gana Art Center, Seoul

  Sunset, Sunrise, Gyeongnam Art Museum, Changwon

  Now and Ever, Gana Art Center, Seoul

  INTER-MISSION, Paradise Art Space, Incheon

  KIAF, Coex, Seoul

2020   Th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Writing,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Moment of , Seoul Calligraphy Art Museum, Seoul Arts Center, Seoul

  TEFAF, Maastricht

2019    Painting and Existence, Whitestone Gallery, Taipei

          Blue, Gana Art Busan, Busan

  Blue, SA+Gallery, Hong Kong

  TEFAF, New York

  TEFAF, Maastricht

  BAMA, Bexco, Busan

  KIAF, Coex, Seoul

2018    Abstract and Empathy, Avenuel Art Hall, Seoul

  Empty, SA+Gallery, Hong Kong

  TEFAF, Maastricht

  Galleries Art Fair, Coex, Seoul

  Art Brussels, Brussels

  TEFAF, New York

  Red, SA+Gallery, Hong Kong

  Brushwork Abstract Masters, Sotheby Hong Kong, Hong Kong

2017    Chang Ucchin: Celebrating the Centennial Anniversary, Standing in the Insadong Lineage,

  Insa Art Center, Seoul

2015    Beyond Materiality, Pursuing the Realm of Vacancy: Eye and Mind of Korean Contemporary Art 1, Gana Art Center, Seoul

2014    Korean Beauty: Two Kinds of Nature,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A Form of Thinking: Rediscovery of Drawing, Museum SAN, Wonju

  Moon Jar, Drawing Light, Gana Art Center, Seoul

2013   Zeitgeist Korea,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Writing Becomes Painting, POSCO Museum, Seoul

 Open Studio, Gana Art Center, Seoul

2012    Report Exhibition: Healing Camp, Gana Art Center, Seoul

2011    MoA Picks,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Seoul

  Asian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Seoul Arts Center, Seoul

          Asian International Art Today, Jeonbuk Museum of Art, Wanju

          Chang Ucchin’s Portrait, Chang Ucchin Museum, Yongin

2010    Iconotext: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Language, Jeju Museum of Art, Jeju

  The Strength Obtained by the Level of Mentality, Lee Ungno Museum, Daejeon

  Korean Art Festival, Haverford Museum, Philadelphia

  Autumn Letter, Gana Art Center, Seoul

2009    Collection,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Chocolate Box, Jangheung Art Park, Yangju

  Engagement, Chang Ucchin Museum, Yangju

2008    The Bridge, Gana Art Center, Seoul

          Korean Abstract Art 1958-2008, Seoul Museum of Art, Seoul

           Art in Busan, Busan Museum of Art, Busan

  Busan Contemporary Art Exhibition, Busan Museum, Busan

2007    Poetic and Painting, Seoul Arts Center, Seoul

  Contemplation of a Space, Gana Art Busan, Busan

  Critical Perspective, Insa Art Center, Seoul

  Respiration, Seoul Museum of Art, Seoul

  Writing Paintings, Painting Words, Seoul Museum of Art, Seou

2006     Reality of Painting and Sculpture, Gyeongnam Art Museum, Changwon

2005     Authority Artists in Seoul, Seoul Museum of Art, Seoul

  Travel in 20th Century: Encounter with Modernism,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Special Collection of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yeonggido

  Museum of Modern Art, Ansan

2004    15th Year Memorial Exhibition of Kumho Museum of Art, Kumho Museum of Art, Seoul

  Collection Dous, Galerie Maeght, Paris

  New Collection 2004,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2003    Reading of Abstraction, Sungkok Art Museum, Seoul

  Harmony of White Porcelain and Contemporary Art, Gana Art Center, Seoul

  Best Star, Best Artist, Insa Art Center, Seoul

2002    The 7th Asian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Daejeon Museum of Art, Daejeon

2001    Work 2001, Gana Art Center, Seoul

2000    Picture with a Poem, Seoul Gallery, Seoul

  Korean Contemporary Art Exhibition, Funoon Gallery, Kuwait City

  12 Artists of Contemporary Art in 2000, Sun Contemporary, Seoul

  Moving Museum of Ar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New Millennium 324, Seoul Museum of Art, Seoul

1999    Three Men Show, Gallery Hyundai, Seoul

  Spontaneous Generation of Korean Art, POSCO Museum, Seoul

  The Letter in Painting, Gana Art Center, Seoul

  Korea-Japan Painting Exchange Exhibition, Seoul Gallery, Seoul

1998    Inaugural Exhibition, Gana Art Center, Seoul

  Inaugural Exhibition: 2000 Spirit of the Times, Daejeon Museum of Art, Daejeon

1997    Gwangju Biennale, Gwangju Museum of Art, Gwangju

1996    11th Asian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Manila Museum of Art, Manila

  Modernism of Korean Contemporary Art, Kumho Museum of Art, Seoul

1995    100 Portraits of Korea, Seoul Museum Art, Seoul; Cheongju National Museum, Cheongju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Works, Art Sonje Museum, Gyeongju

  Inaugural Exhibition, J&J Gallery, Los Angeles

1994    Seoul Intenational Contemporary Art Festival,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1993    Image of Korea, Galeries Daniel Templong, Paris

1992    Korean Contemporary Art Festival, Yugoslavian National Museum, Yugoslavia

  Korean Contemporary Art, Hoam Gallery, Seoul

1990   1945-1990: Panmunjom and Brandenburg, Sigong Gallery, Seoul

  12 Contemporary Artists, Gallery Q, Seoul

  New Spirit, Kumho Gallery, Seoul

1989    Seoul Art Festival, Seoul Museum of Art, Seoul (1989-2005)

1989     Asian Art Show,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Gwacheon; Fukuoka Art Center, Fukuoka; Yokohama Museum of Art, Yokohama

1988     International Impact Art Festival, Kyoto Municipal Museum of Art, Kyoto

           Korean Contemporary Art Exhibition,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1987     Plane, Object, Image, Soo Gallery, Seoul

1986     The Same and the Other, Tanka Center Gallery, Nagoya

1985     Pan Pacific Ocean Art Show, Seoul Arts Center, Seoul

   Minimization & Maximization, Chun Gallery, Seoul

   Engagement, Fine Art Center, Seoul

1984-85 Contemporary Generation, Kwanhoon Gallery, Seoul

1984     Asian Contemporary Art, Tokyo Metropolitan Art Museum, Tokyo

1981-87 Artist of Today, Kwanhoon Gallery, Seoul

1981     Asian Contemporary Art Biennale, Tokyo Metropolitan Museum of Art, Tokyo

           ’81 Drawing Festival, Mational Museum and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1980     The Korean Print and Drawing,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1979     14 Modernists, Elcanto Gallery, Seoul

 

Awards

1996     Kim Sookeun Cultural Prize, Kim Sookeun Foundation

1968     The New Face Artists Prize Silver Medal, Ministry of Culture

 

Selected Public Collections

Gana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eoul

Korea University Museum, Seoul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Supreme Court of Korea, Seoul

Maeght Foundation, Saint-paul

Busan Museum of Art, Busan

Leeum Museum,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Seoul

Seoul Museum of Art, Seoul

Akira Ikeda Foundation, Tokyo

Foreign Ministry, Seoul

Chosunilbo Art Museum, Seoul

Chosun Hotel, Seoul

National Library, Paris

POSCO Center, Seoul

Korean Flour Milling Company, Seoul

Hankook Tire Co. Ltd, Seoul

Hansol Cultural Foundation, Seoul

Hyundai Marine and Fire Insurance Co. Ltd, Seoul

Fukuoka Art Museum, Fukuoka

 

 

 

 

 

오수환 기획초대전 <無我行>

 
 
 

무심(無心)

심상용(미술사 박사, 서울대학교 교수)

 

 

 

회화는 왜 노예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가?”

 

오수환의 회화는 서구의 타시즘(tachisme) 추상과 형식적 유사성을 지닌다. 이 점이 늘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숙달된 붓놀림, 직관성, 절제, 대상과 내러티브의 배제..., 오수환의 회화도 대체로 동질의 요인들을 공유하기에. 적어도 형식적으로는 그렇다. 하지만 행위의 성격이 다르다. 그래서 어떤 행위인가가, 그것을 이끄는 궁극의 힘, 행위에 낱낱이 반영되어, 행위를 참된 인간의 행위로 만드는 정신이 중요하다. 이 정신은 회화성의 규명에만 고착된 편협한 것을 넘어서는, 존재에 관한 정신이고, 실재에 관한 인식이며 태도다. 오수환에 의하면 그것은 존재의 자유로운 존재와 해방된 실재로 열린 정신이다. “나의 궁극은 해방되는 것, 곧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그렇기에 왜 회화는 자유롭지 못한가?”를 묻는 오수환은 이미 그 답을 모르지 않는다. 인간이 굴레를 뒤집어쓴 채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식물의 상태로 돌아갈 것을 권한 노자(老子)의 맥락에서 보자면, 끝없이 욕망하는 인간에서 끝없이 욕망하는 회화가 잉태되는 것이다.

회화는 왜 노예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가?” 적어도 현상적으로는 예술은 순항을 거듭하는 중이다. 실제 예술작품들은 이 현대적인 사회의 모든 곳에 널려있다. 온갖 취향에 부응하는 것들이 매력을 발산하며, 현대화된 일상의 도처에 편재해 있다. 백화점의 인테리어, 상품들의 디스플레이, TV 광고, 인터넷 홈페이지 디자인... , 거의 모든 현대화된 장소에서 미적 경험은 남아 돌아갈 지경이다. 예술은 만연해있다. 마르쿠스 가브리엘(Markus Gabriel)의 표현을 빌자면 예술은 번성했다.” 하지만 만연하고 번성한 예술은 점점 더 잘못 사용되고 있다. “예술은 미적으로 위장한 채 자신을 표현하는 그 어떤 낯설거나 낯설게 하는 세력에도 지배되지 않는다. ... 역사는 근본적으로 예술의 역사고, 예술의 역사는 그것을 지배하고자 시도하는 어떤 행위자나 제도적 기관보다 더 큰 힘을 갖는다.” 참으로 호기에 찬 선언이지만, 그것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란 어려울 것 같다. 우리가 두 눈으로 마주하고 있는 예술의 상태-예술 자체가 아니라-는 조금도 모호하지 않다.

오늘날 예술은 이 세계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것들의 외침이 되어주는 듯하면서, 실상은 이 시대의 가장 큰 목소리를 내는 권력과 자본의 편에 힘을 보탠다. 환상을 만들어내고, 연막을 치고, 허상을 기념하는 일에 기꺼이 나서면서, 디자인, 비즈니스, 마케팅 분야에서 그 쓸모를 높이 인정받는다. 어떻게 그토록 순응적으로, 빠르게 노예 상태에 적응하는 것이 가능했을지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오수환은 재차 다시 묻는다. 그 위에서 그의 회화론이 뿌리를 뻗는 그런 질문이다. “회화는 왜 노예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가?” 번성할수록 노예 성향이 짙어지는, 해로운 기능이 비대해진 예술, 맹목적이거나 전략적인 심미화, 감각적 환영이 사람들의 덧없는 욕망에 계속해서 불을 지피고, 불은 마을과 산을 다 태울 기세다.

 

 

무심’(without intention)의 미학

 

오수환의 수행적 터치는 그 근원과 성격, 방법 모두에서 서구의 타시즘 추상작가들의 그것과 현저하게 다르다. 이 비할 바 없는 독창적인 면모는 무엇보다 고도로 단련되고 숙고된 회화적 수행성(遂行性, performativity)에 의한다. 물론 이 독창적 면모는 도그마적인 주체성의 발화로서의 그것과 무관하다. 오히려 상반되는 측면이 있기도 하다. 터치들을 보라. 뒤뷔, 폴록, 마티유 같은 굵직한 타시즘 작가들보다 마땅하게도 더 깊다. 사실, 그들이 극동 아시아에서 꽃핀 서예 예술에서 배운 것이 아니던가. 오수환의 것들은 힘을 지니면서 개방적이다. 결이 분명하지만, 선언적이지 않고 지향성도 없다. 선언적이지 않음은 선언하는 주체의 내려놓음으로 인함이고, 지향적이지 않음은 방향-의미-은 정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선언과 지향 모두 의지적 주체가 작용하는 방식이다.

오수환의 회화적 의지가 영혼의 잔잔함(la tranquillet de l’espreit)‘으로 나아가는 것이 아니다. 영혼의 잔잔함이 오수환의 회화적 의지를 이끄는 것이다. 그렇기에 이 지향성은 나의 의지로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영혼의 잔잔함이 내게로 다가오는 것이다. 필요한 것은 다가오는 것을 받아들일 준비를 하는 것이다. 추구가 아니라 추구를 중단하는 것, 욕망이 아니라 욕망에 구멍을 내는 것이다. 즉 자신을 비우는 것이다. “식물의 상태로 돌아가라이다. 이것이 영혼의 잔잔함으로 조율된 존재의 사유요 인식이다. 비움의 의미에 대해 시몬느 베이유가 밝힌다.

 

인간의 사고 그 너머는 비워져 있어야 하며, 무언가를 기다리고 있어야 한다. 완전히 벌거벗은 채로 우리는 진리를 꿰뚫고 지나가는 그 무엇을 받아들일 자세를 취하고 있어야 한다.”

 

진리의 이끄는 힘을 받아들이는 자세, 그것이 바로 비움인 것이다. 이 비움이 없이는 진리는, 세계는 너무 멀리 있어 마치 없는 것처럼, 아무것도 들리지 않는 것처럼 인식된다. 비움이 없이는 세계도 없고 진리도 없으며 우리 자신도 없다. 생각은 나락으로 떨어져 버리고 만다. 감각은 욕망에 지배당할 것이다. 우리가 고작 생각해내는 것이란 의미론의 피투성이’, 세계가 아니라 세계의 부재에의 잘못된 몰입일 것이다. 오수환은 종종 장자(莊子)를 인용한다. “ 내가 하고자 함은 나의 텅 빔을 보는 것이다.”

이 비움으로 오수환의 무심’(without intention)‘ 미학이 채워진다. ‘무심의 미학을 구성하는 세 요인이 있다. 첫째, 진리의 상태인 영혼의 잔잔함이 이끄는 힘. 둘째, 무질서, 혼돈, 부재와 질적으로 다른 존재적 비움. 셋째, 그 비움으로부터 허용되는 의지로서 회화 의지. 이 비움에 의해 오수환의 세계는 더는 비실재적인 것, 허상, 시장에서 번창하는 것을 만들어내기, 지상의 회화가 허용되지 않는 곳에서 회화하기의 경지(境地)로 나아온다. 살아있는 것들의 필연적인 불안정성, 에너지의 최대한의 불포화 상태, 존재론적인 떨림 이상이기를 원치 않는 것으로서의 회화, 언어학적인 의미의 개념이 개입될 여지가 없다는 의미에서 개념적인, 또는 해설이 달라붙을 수 있는 여지를 남기지 않기로서의 회화가 이 세계에 깃든다.

나의 회화는 문법이 부재하거나 완성되기 전에 쓰여진 시, 언어가 형성되기 이전, 회화가 성립되기 이전에 끝난 어떤 것이다.(오수환) 그러니 자신이 운명의 주인인 체하는 주석가들처럼, -오수환-가 만들지 않은 개념들로 그의 회화를 해석하려 들거나 이런저런 양식사적 범주에 옭아매는 일은 삼가는 편이 더 나을 듯 싶다.

 

 

 

오수환 기획초대전 <無我行>

 

 

 

Without intention (nonchalance)

 

Shim SangYong / Seoul National University

 

 

 

“What keeps painting from breaking free from slavery?”

 

 

The paintings of OH Su-fan present a similarity to Western tachisme abstraction in terms of the form. This has been constantly leading to misunderstandings. Masterful brushstrokes, intuition, moderation, exclusion of objects and narratives..., His paintings also share these elements in general, at least in terms of the form. However, the nature of the action is quite different. Therefore, what matters is the mind where the certain action is minutely reflected onto the ultimate force leading the action transforming the action into a true human action. This mind deals with existence as well as an awareness and an attitude of reality (substance) that goes beyond the narrow-mindedness that is fixed only on the clarification of pictoriality. According to OH Su-fan, it is an open mind towards the free being and liberated reality. “My ultimate goal is to be liberated, to be free.” Therefore, when he asks, “Why is painting not free at all?” he is not already unaware of the answer. This is because humans are not able to be free in the state of wearing a bridle. Relating it to the context of Laozi, who recommended returning to the “vegetative state,” the painting that boundlessly desires is conceived from a human who desires endlessly.

“What keeps painting from breaking free from slavery?” At least phenomenally, art is repeating its cruise. In fact, works of art are easily found in this modern-day society. Things gratifying diverse tastes give off their charm offering easy accessibility in our modernized daily life. Interior design and display of many goods in Department Stores, TV advertisements, Internet homepage design... In almost all kinds of modernized places, our aesthetic experiences superabound. Art is pervasive In the words of Markus Gabriel, "Art used to flourish." However, the pervasive and prosperous art is being used more and more in a wrong manner. “Art in a disguised aesthetic form is not dominated by any unfamiliar power or any power that brings unfamiliarity that expresses itself... Fundamentally speaking, history is the history of art, and the history of art has much greater power than any actor or institutional organization that intends to dominate it.” Without doubt, it was a manifesto full of gallant spirit but it seems difficult to take it literally. The state of art not the art itself - that we are facing at this very moment is far from ambiguity.

Although today's art seems to serves as a cry of those without the voices in this world, in reality, it even adds power to the side of power and capital with the most influential voices of this era. While creating illusions, putting up a smoke screen, and willingly involving with the tasks of commemorating illusions, the usefulness of art is highly recognized in the fields of design, business, and marketing. It is simply surprising how art was able to adapt to slavery in such an accommodative and rapid manner. OH Su-fan asks the question again. On top of this question, his painting theory spreads out the root. “What keeps painting from breaking free from slavery?” The more prosperous, the more enslaved, and the detrimental functions of art have worsened. Blind or strategic attempts to make art aesthetic and the sensuous illusions keep kindling the futile desire of people with the force ready to burn up villages and mountains.

 

Aesthetics of “Without intention (nonchalance)”

 

The performativity-based touches of OH Su-fan are conspicuously different from those of western tachisme abstract artists in terms of the origin, features, and method. In particular, this incomparable originality is attributable to his highly trained and contemplated pictorial performativity. Of course, this original aspect is irrelevant to a manifestation of dogmatic subjectivity. There is an opposite facet instead. Observing the touches. You will perceive that his touches are even deeper than those practiced by the prominent Tachist artists such as Dubuis, Pollock, and Mathieu. By the way, it is necessary to recall that they learned from the calligraphy art that had flourished in Far East Asia. The touches of OH Su-fan are both powerful and open. The grain is clear, but not declarative nor directivity-minded. The non-declarative features are due to the “letting-go” of a subject as a declarer, while and non-directivity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its direction or meaning is not determined but given. Both declaration and directivity are ways in which the volitional subject play.

The pictorial will of OH Su-fan does not move toward “tranquillité de l'esprit (tranquility of spirit)” The tranquility of spirit is what leads his pictorial will. Therefore, this directivity does not move forward by my own will but tranquility of spirit approaches me. What is required is to have preparedness to accept what is approaching. It is not about pursuing but about stopping the pursuit, and not about desire but about making a hole in desire. In other words, it is an act of emptying oneself. It is “returning to the vegetative state.” This is the thought and awareness of beings tuned by the “tranquility of spirit.” Simone Weil clarifies what emptying is about:

 

“Our thought should be empty, waiting, not seeking anything, but ready to receive in its naked truth the object that is to penetrate it.”

 

The attitude of accepting the force that leads truth is emptying. Without this act of emptying, the truth and the world are perceived as something absent due to its extremely remote presence and the situation where nothing is heard. Without emptying, no world, no truth, no ourselves can ever exist. Thoughts will fall into the bottomless pit and the senses will be dominated by desire. What we can only come up with would not be the “bloody world of semantics” but an erroneous immersion in the absence of the world. OH Su-fan often quotes Zhuangzi. “All I want to do is to see my state of emptiness.”

This emptying fills the aesthetics of “without intention (nonchalance)” of OH Su-fan. There are three factors that consist of the aesthetics of “without intention.” First, the force led by tranquility of spirit, the state of truth. Second, the existential emptying that is different, in terms of quality, from disorder, chaos, and absence. Third, the pictorial will as the will allowed from emptying. Through this emptying, his world moves toward the dimension of creating unreal things, illusions, and things that prosper in the market, and engaging in painting in places where painting on earth is not allowed. The world is imbued with painting with the inevitable instability of living things, the maximum desaturated state of energy, and painting as the thing that wants nothing but ontological tremor, as a painting that leaves no room for conceptual or explanatory attachment in the sense that there is no room to intervene for the concept of linguistic meaning.

 

“My painting is a poem written even before the absence or completion of grammar, that is, something that had already ended before a language was formed or before

painting was established (OH Su-fan).”

 

Therefore, like analysts who pretend to be the masters of their own fate, it would be better to avoid trying to interpret his paintings using concepts never created by him, or to bind him in the category of a specific patterned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