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전시

지난전시

  • 전시
  • 지난전시

박철호 기획초대전

 

 

박철호 기획초대전  <Spielraum>

 

 

비우고 잊어내는 일들이 쉽지 않은 일상,

잠시의 공백도 불안을 느끼게 하고 휴식을 주지 않는 삶 속에서 스스로의 모습을

돌아보고 질문한 적이 언제인가요?

 

누군가에게 방해받지 않고 온전한 자기다움을 되찾아 자신의 삶을 재창조할 수

있는 자신만의 슈필라움Spielraum이 있으신가요?

시선의 자유를 통해 삶의 무게와 본질의 가치를 찾아나서는 시간의 공간은 거창한

장소가 아니라도 괜찮습니다.

 

이번 전시는 세상의 빈틈을 박철호만이 들려줄 수 있는 사유와 질문들로 성실하게

메워나가는 과정들을 담고 있습니다.

오롯이 나의 생각이 머물고 생각을 다지며 그것을 펼칠 수 있는 작은 마음의

은신처를 함께 찾아보시는 건 어떠신가요.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대구보건대학교 총장  남 성 희

 

 

 

Everyday life seems to be difficult to empty and filter things to forget.

In your life making you feel unstable even in the briefest spare time, and

interrupting your repose, when was the last time you reflected on yourself

trying to find some clues to life?

 

Do you have the “Spielraum” of your own? The space where you can find the

true and complete aspect of yourself without being disturbed by anyone and

you can recreate your life...

The space of time that allows you to seek the depth of life and value of essence

through freedom of perspectives and vision does not have to be a fancy or

splendid place.

 

This exhibition embraces the processes of filling the gap (margin) of life with

the thoughts and questions of unique colors that can be asked only by artist

Park Chel-ho.

Would you like you find a little refugee of your heart where you can let your

ideas stay for a while with calm, contemplating and spreading them towards the

infinite?

Come to find the sweet Spielraum for your soul.

Waiting for your visit...

 

 

                                                                                              Nam, Sung hee       

                                                                   President of Daegu Health College

 

 

 

 

 

박철호 기획초대전  <Spielraum>

 

 

박 철 호

 

계명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졸업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 후기대학원 수료

 

 

         개인전

 

2020   인당뮤지엄, 대구
2018   시안미술관, 영천, 경북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17   세레스홈 강남 Space, 서울
2016   봉산문화회관, 대구
           동원화랑, 대구
2015   갤러리 DA, 구미, 경북
           금오공과대학교 갤러리, 구미, 경북
2014   갤러리 전, 대구
2013   스페이스 빈, 서울
2011   시오갤러리, 대구
2010   갤러리 G, 대구
           마놀린갤러리, 서울
2008   한기숙갤러리, 대구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산
2007   석갤러리, 대구
2004   두산아트페어, 대구
2001   갤러리신라, 대구
2000   토탈미술관, 양주, 경기도
1999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1998   Gallery of Art, 아이오와, 미국
1997   Meyerson Gallery, 필라델피아, 미국
1994   기림갤러리, 대구
1991   태백화랑, 대구

 

 

         단체전

 

2019  LA 아트쇼, LA컨벤션센터, LA, 미국
          NO PERMANENCE IS OURS, Baik Art, LA, 미국
          4월애, 동원화랑, 대구
          경계의 경계, 갤러리 블라썸, 서울
          FIVE, Baik Art, LA, 미국
          현대미술 무한경계, 울산문화회관, 울산
          공존하는 도시, 어울아트센터, 대구
2018  한·일 3인,  히가시야마 카이 세토우치 미술관, 카가와현, 일본
          아티스트 북 I-Message, 어울아트센터, 대구
          기록된 흔적, 봉산문화회관, 대구
2017  서안국제판화 워크숍, 서안미술학원, 서안, 중국
          현대미술작가와 문화를 찾아가는 워크숍, 오카야마현립미술관, 오카야마, 일본
          두번째 작업실 2017, 시안미술관, 영천, 경북
          시간의 흔적, 김창열미술관, 제주, 제주도
          산수심원기, 서호미술관, 남양주, 경기도
          프린트 메시지, 웃는얼굴아트센터, 대구
2016  선-삶의 비용, 대구미술관, 대구
          대구미술아우르기, 예술의 전당, 서울
          알파채널-감성, 우연갤러리, 대전
          시간의 조각, 범어아트스트리트, 대구
          시간의 조각, 범어아트스트리트, 대구
          오월에전, 아양아트센터, 대구
          동아시아 현대판화전, 금봉미술관, 광주
2015  현대미술의 오디세이전, 문화예술회관, 울산
          Artist Proof, 수성아트피아, 대구
          Post Printmaking-Tokyo, Kawasaki-Art garden, 일본
          공간-세가지방법전, 봉산문화회관, 대구
          Ing:만나다, 우연갤러리, 대전
          아트 & 북 페스티발, 웃는얼굴아트센터, 대구
          Daegu-LosAngeles전, Gaia갤러리, 미국
          Shadows Moting, 포스코갤러리, 포항
          봉산아트길, 수화랑, 대구
          감각의 전이, 수성아트피아, 대구
          KM전, 봉산문화회관, 대구
          한국현대미술초대전, 문화예술회관, 울산
2014  마음의 연금술전, 예다소소갤러리, 청도
          존재의 꿈, 범어아트스트리트, 대구
          전국판화가 협회전, 양림미술관, 광주
          시간 그리고 표면전, 봉산문화회관, 대구
          가을 사색전, 갤러리 호감, 서울
          살며 예술하며, 문화예술회관, 대구
          뜻밖의 풍경, 오산미술관, 경기도
2013  영성의 자연, 시간의 비늘, 시안미술관, 영천
          12인의 시대미전, 범어아트스트리트, 대구
          아시아 현대 판화교류전,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예술, 창조공간에 들다, 문화예술회관, 대구
          Matrix Tool, 봉산문화회관, 대구
2012  대한민국아트페스티발, 대구경북디자인센터, 대구
          현대미술의 장, 서울미술관, 서울
          The Power, 한기숙갤러리, 대구
          Modern Impact in Esia, 이시아갤러리, 대구
          화랑미술제, 코엑스, 서울
          꽃, 꽃, 꽃, 전갤러리, 대구
          Beyond Multple, 봉산문화회관, 대구
2011  대구아트페어, 엑스코, 대구
          Another Landscape, 봉산문화회관, 대구
          Addition No, 갤러리 M, 대구
          Pink Art Fair Seoul 2011, Coex Hotel, 서울
2010  마니프 국제아트페어, 예술의전당, 서울
          상해국제 아트엑스포, 중국
          Tool Tool Tool Print!,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부조화속에 조화,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오늘의 청년작가전, 문화예술회관, 대구
          55인의 명품전, 대구경북디자인센터, 대구
          A-One 국제현대미술제, 문화예술회관, 대구
          The Story Of Spring, 갤러리 G, 대구
2009  AP전-부산, 몽마르트갤러리, 부산
          꽃.꽃.꽃전, 전갤러리, 대구
          A-One전, Art with an Accent, 후쿠오카아시아미술관, 일본
          한양안산자산미전, 한양대학교자연사박물관, 안산
          8 Artists NewWork, Yfo갤러리, 대구
          55인의 명품전, 대구경북디자인센터, 대구
          현대판화의 단면전, 청담갤러리, 대구
          AP 111전, 갤러리 아미, 서울
2008  대구현대회화제, 시민회관, 대구
          영화, 시, 그림을 만나다, 수성아트피아, 대구
          한국현대작가 초대전, 문화회관, 제주도
2007  멀티스 리버스전, 갤러리 M, 대구
          오월전, 문화예술회관, 대구
          메이드 인 대구, 봉산문화회관, 대구
          대구미술의 어제와오늘, 수성아트피아, 대구
          대구판화비엔날레, 문화예술회관, 대구
2006  Nov-Dec22, 비비스페이스, 대전
          뉴욕-대구 현대판화제, 문화예술회관, 대구
          국제판화네트워크, 헤이리, 경기도
          서울오픈아트페어, 코엑스, 대구
2005  The Cross Newyork x Daegu, 한기숙갤러리, 대구
          한국현대판화국제교류전, 세종문화회관, 서울
          부산국제 판화제, 부산시청전시실, 부산
          현대판화의 시각, 문화예술회관, 대구
2004  판화2004-새로운 모색과 실험전, 한전프라자 갤러리, 서울
          대만국제판화초청전, 대만사범대학전시실, 타이완
          예지앙갤러리 개관기념전, 예지앙갤러리, 대구
          현대판화:공간.풍경, 문화예술회관, 대구
          뉴프론티어, 문화예술회관, 대구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미술은행, 대구미술관, 시안미술관, 대구문화예술회관,
한국패션산업연구원, 대구은행본관, 대구중구청, 계명대학교, TBC대구방송국,
참저축은행, 대구검찰청 등

 

박철호 기획초대전  <Spielraum>

 

 

PARK, Chel Ho
 


B.F.A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M.F.A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P.M.F.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U.S.A.

 

 

          Solo Exhibitions

 

2020   lndang Museum, Daegu
2018   Cian Art Museum, Yeongcheon, Gyeongbuk
          Daegu Arts Center, Daegu
2017   Cereshome Gangnam Space, Seoul
2016   Bongsan Cultural Center, Daegu
          Dongwon Gallery, Daegu
2015   Gallery DA, Gumi, Gyeongbuk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Gallery, Gumi, Gyeongbuk
2014   Gallery Jeon, Daegu
2013   Space Bin, Seoul
2011   Syo Gallery, Daegu
2010   Gallery G, Daegu
          Manolin Gallery, Seoul
2008   Hankeesook Gallery, Daegu
          Ulsan Culture & Arts Center, Ulsan
2007   Seok Gallery, Daegu
2004   Dusan Art Fair, Daegu
2001   Gallery Shilla, Daegu
2000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Yangju, Gyeonggido
1999   Daegu Arts Center, Daegu
1998   Gallery of Art, Iowa, U.S.A
1997   Meyerson Gallery, Philadelphia, U.S.A
1994   Kirim Gallery, Daegu
1991   Taebaek Gallery, Daegu

 

 

          Group Exhibitions

 

2019   LA Art Show, LA Convention Center, LA, U.S.A
          NO PERMANENCE IS OURS, Baik Art, LA, U.S.A
          April Love, Dongwon Gallery, Daegu
          Liminal Stage, Gallery Blossom, Seoul
          FIVE, Baik Art. LA, U.S.A
          Infinite Boundary of Contemporary Art, Ulsan Culture & Arts Center, Ulsan
          A Coexistin City, HAENGBOK BUKGU EOUL ARTS CENTER, Daegu
2018   Joint Exhibition of Three Japanese and Korean Artists, Higashiyama Kaii Setouchi Art Museum, Kagawa Prefectural, Japan
          Artist Book I-Message, HAENGBOK BUKGU EOUL ARTS CENTER, Daegu
          Trace of Document, Bongsan Cultural Center, Daegu
          BUAN ANRT FESTA, Buan, Jeonbuk
2017   Xi'an International Printmaking Workshop, Xi'an Academy of Fine Arts Gallery, Xi'an, China
          Workshop on the Searching for Culture with a Contemporary Artists, Okayama Prefectural Museum of Art, Okayama, Japan
          2nd STUDIO 2017, Cian Art Museum, Yeongcheon,Gyeongbuk
          Trace of Time, Kim Tschang-Yeul Art Museum, Jeju, Jejudo
          Sansusimwongi, SEOHO Museum of Modern Art,Namyangju, Gyeonggido
          Print Message, Smiling Art Center, Daegu
2016   Line: Cost of Living, Daegu Arts Museum, Daegu
          Mergence in Daegu Art, Seoul Arts Center, Seoul
          Alpha Channel - Sensibility, WOOYEON Gallery, DaeJeon
          Fragment Of Time, Beomeo art Street. Daegu
          May, Ayang Art Center, Daegu
          East Asia Contemporary Printmaking, GeumBong­ Museum, Gwangju
          Post Printmarking, International Printmaking Between
          Korea-Japan, WOOYEON Gallery, Daejeon
          A Friendship named Painting, Hwayang Forum, Cheongdo, Gyeongbuk
2015   Odyssey of Contemporary Art, Ulsan Culture & Arts Center, Ulsan
          Artist Proof, Suseong Artpia, Daegu
          Post Printmaking-Tokyo, Art garden kawasaki, Kawasaki, Japan
          Space-A three Point Perspective, Bongsan Cultural Center, Daegu
          Ing : Meeting, WOOYEON Gallery, DaeJeon
          Art & Book Festival, Smiling Arts Center, Daegu
          Daegu-Los Angeles, Gaia gallery, LA, U.S.A
          Shadow's Motion, POSCO Gallery, Pohang, Gyeongbuk
          Korea Comtemporary Art, Ulsan Culture & Arts Center, Ulsan
2014   Minda Alchemy, Edasosos Gallery, Cheongdo, Gyeongbuk
          Dream of Being, Beomeo art Street, Daegu
          National Printmaker Association, Yangnim Art Center, Gwangju
          Contemplate Fall, Gallery Hogam, Seoul
          Art & Life, Life & Art, Daegu Arts Center, Daegu
          Unexpected Scenes, Osan Museum of Art, Osan, Gyeonggi
2013   Spirituality of Nature, Scales ofTime, Cyan Museum of Art, Yeongcheon, Gyeongbuk
          12Artist Period Art Exchibition, Beomeo art Street, Daegu
          Asia Contemporary Prints Exchange, Gwangju Museum of Art, Gwangju
          The Creative Space Filled With Art, Daegu Arts Center, Daegu
          MatrixTool, Bongsan Cultural Center, Daegu
          Today and Yesterday of Korea Printmaking and ..., llgok Gallery, Gwangju
2012   KOREA ART FESTIVAL, Daegu Gyeongbuk Design Center, Daegu
          Contempory Art Market, Seoul Museum, Seoul
          The Power, HankeeSook Gallery, Daegu
          Modern Impact in Esia, Gallery Esia, Daegu
          Flower Flower Flower, Gallery Jeon, Daegu
          Beyond Multiple, Bongsan Cultural Center, Daegu
2011   Another Landscape, Bongsan Cultural Center, Daegu
          Addition No, Daegu MBC Gallery M, Daegu
2010   Expo Shanghai 2010, Shanghai Everbright Convention &
          Exhibition Center, Shanghai, China
          ToolToolTool Print!, Seoul Museam of Art, Seoul
          AP111, Jeonbuk Museum of Art, Wanju, Jeonbuk
          The Young Artists of Today, Daegu Arts Center, Daegu
          55 Artists Masterpiece, Daegu Gyeongbuk Design Center, Daegu
          ANDANTE, Daegu Arts Center, Daegu
          The story of spring, Gallery G, Daegu
2009   Art with an Accent, Fukuoka Asian Art Museum, Fukuoka, Japan
          8 Artists NewWork, Gallery yfo, Daegu
          Contempory Printmaking Phase, Gallery Chungdam, Daegu
          AP-111, Gallery Ami, Seoul
2008   Daegu Contemporary Art, Daegu Citizen Hall, Daegu
          Movie, poem-Art With Meeting, Suseng Artpia, Daegu
          Korea Contemporary Artist Invitation, Jeju-do culture & art center, Jeju, Jejudo
          MULTIPLE ART LOVERS, Daegu MBC Gallery M, Daegu
2007   Made in Daegu, Bongsan Cultural Center, Daegu
          Mergence in Daegu Arts, Suseug Artpia, Daegu
          Daegu Print Biennial, Daegu Arts Center, Daegu
2006   Nov-Dec 22, Bibi Space, Daejeon
          NewYork-Daegu Contemporary Print, Daegu Arts Center, Daegu
          "INK" International Print Network by Korean Contemporary
          Printmakers Association in HEYRI, Heyri Artvillage, Paju, Gyeonggido
2005   The Cross NewYork x Daegu, Hankeesook Gallery, Daegu
          Korea Modern Prints International Exchange,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Seoul
          Busan International Print Art Festival, Busan Metropolitan City/Busan Citizen's Hall, Busan
          The Visual Contemporary Printmaking, Daegu Arts Center, Daegu
2004   Printmaking 2004-New Vision, Digital Kepco Plaza Gallery, Seoul
          Invitation Exhibition ofTaiwan International Print, Nation
          Taiwan Univ Gallery, Taipei, Taiwan
          Yesien Gallery Opening Exhibition, Yesien Gallery, Daegu


       
         
Selected Collections


Art Bank, Daegu Art Museum, Cian Art Museum, Daegu
Arts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Fashion Industry,
The Daegu Bank, Jung-gu Office of Daegu Metropolitan
City, Keimyung University, TAEGU BROADCASTING
CORPOTATION, Charm Savings Bank, Daegu District
Public Prosecutor's Office

박철호 기획초대전  <Spielraum>

 

 

 

박철호 : 세계의 지평, 그 차안(此岸)의 회화

 

                                                            

유진상

미술평론가

 

   ‘Spielraum’은 주체로부터 세계의 지평에 이르는 공간을 가리킨다. 다른 말로는 ‘활동역’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태어난 것은 그것이 인식할 수 있는 범위까지를 자신의 세계로 삼고 그 안에서 살아간다. 후설(E. Husserl)은 세계의 지평에 대한 인식을 외적이고 수용적인 것과 내적이고 자발적인 것 사이의 상호작용 내지는 구성체로 보았다. 주어진 조건으로서의 객관적 세계와 주체가 자발적으로 생성하는 것으로서의 개별적 세계 사이에서 예술가는 끊임없이 양자를 오가면서 그 공간을 자신의 집으로 삼는다. 예술은 세계의 지평을 비-가시적인 영역, 언어의 한계 너머로 넓히는 활동이며 예술가가 재현하는 것은 사물이 아닌 그것의 좌표에 이르는 노정이다.

   박철호의 작업은 신체적 운동과 그것에 대응하는 세계의 관계항들로 이루어진다. 예술가의 의식은 절대적으로 자신의 신체를 토대로 하여 외부로 연장한다. 그 형식은 자신이 들고 있는 붓, 연필, 목탄과 그것이 닿는 종이, 캔버스, 벽면 사이에서 일어나는 사건들로 구성된다. 예술가의 신체가 이 화면 위에 일으키는 사건을 ‘호출’, 혹은 하이데거의 개념을 빌면 ‘부름 (rufen)’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예술가의 신체가 손짓을 하면 잠재성의 심연, 세계의 경계 너머로부터 대상이 모습을 드러낸다. 그것은 때로는 새이고 때로는 그것의 날개짓이며, 잊혀진 사람들의 얼굴이기도 하고, 또 때로는 그것이 방금 스쳤던 꽃 혹은 나뭇잎이기도 하다.

   그의 많은 작품들은 석판화와 에칭과 같은 판화로 이루어져 있다. 해먹의 강렬한 묵색 얼룩과 에칭의 날카로운 선들은 초기의 작품들을 특징 짓는다. 90년대 초의 작품들은 매우 거칠고 강한 붓질과 선묘로 이루어진 흑백의 드로잉을 보여준다. <형 Shape>은 빠른 순간 동안 화면에 남겨진 신체의 움직임과 그로 인해 파생된 우연적 사건들 위에 날카로운 선들이 그어지며 생겨난 다양한 ‘글쓰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shape’은 마치 한낮의 풍경 속에 떠오른 짙은 심연과도 같은 기원을 알 수 없는 형태를 가리킨다. 이 형체를 분간하기 어려운 그림자는 이후에 <절망과 희망 Despair & Hope> 연작에서 새 혹은 새의 날개로 나타난다. 작가는 이 연작이 ‘존재에 대한 회의와 실존을 확인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일컫는데, ‘새’와 ‘날개’가 갖는 상징성은 충분히 그가 의도한 서사를 표현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작은 이전의 연작에서 볼 수 있었던 강렬한 신체의 운동과 그것의 기록으로서의 화면, 그리고 그것이 함축하는 세계관을 그대로 발전시키고 있다. 여기서 ‘새’는 추상적 제스추어와 상징적 기표 사이의 모호한 간극을 드러낸다. 그것은 얼룩이면서 동시에 강력한 지시체다. 이 연작들이 다소 극적인 것은, 작가가 그리는 새들이 주로 추락하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기 때문이다. 새들의 추락은 그것들이 있던 자리에서 전락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 비극적 사건에 대해 작가는 ‘희망’을 언급한다. 90년대 말의 한국 사회의 정황은 IMF 사태로 대표되는 사회적 붕괴로부터 일어서기 위한 치열한 몸부림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의 비극은 거기에서 더 나아가 존재하는 것들 모두가 자신들에게 부여된 합당한 실존의 장소를 상실한 것이었다고 봐야할 것이다. 박철호의 회화는 이런 관점에서 역사적 서사로 읽히게 된다.

   2000년대에 시작된 식물을 주제로 한 작업은 표현적이고 상징적인 기호로부터 드로잉의 즉각적 ‘글쓰기’(écriture)로 이어지는 전개를 보여준다. 여기서 ‘글쓰기’란 주관적이고 자의적인 언어로부터 출발하여 세계 안에서의 태도의 선택으로 이어지는 주체적 행위를 가리킨다. 여기에는 두 가지가 전제가 되는데 그것은 작가가 적극적으로 자신의 신체와 그것의 운동을 긍정하는 것, 그리고 세계, 사회, 자연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자발적으로 떠오르는 것들을 가감 없이 기록하는 것이다. 이 연작에서 식물의 생장과 군생, 그리고 그것이 만들어내는 풍경은 시점과 시공간의 추이에 따라 수없이 많은 ‘텍스추어’들을 파생시킨다. 예술가는 의미의 관계망 안에서 시시각각 조합되는 새로운 ‘텍스트’를 읽어나가면서 그것을 자신의 화면에 기록한다. 옥타비오 파스(Octavio Paz)는 <원숭이 문법학자 El mono gramàtico>에서 우리가 자연이라고 부르는, 무한히 변용하는 기호들의 우주를 ‘나무-덤불(la maleza)’이라고 불렀다. 식물들은 세계의 철자들이다. 원숭이 신 하누만(Hanuman)은 나무들로 표상된 수없이 많은 우주의 차원들을 가로지르며 순식간에 그것의 텍스트들을 읽어나간다. 이러한 작가의 세계관은 나중에 <순환>에서 나타나는 수면의 파동과 그 입자들이 나타내는 표상에서 다시 엿볼 수 있다.

   2007년부터 시작한 <꽃> 연작에서 작가는 마치 빠르게 지나치면서 본 꽃을 다시 기억 속에서 떠올리기 위해 노력할 때처럼 흐릿한 윤곽과 커다란 색의 얼룩이 거대하게 확대되어 있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꽃은 화면 전체를 압도하는, 핵심적인 주제인 동시에 마치 인물화처럼 내면과 자의식을 지닌 독자적 주체로 그려져 있다. 나중에 그려진 <숲> 연작과 더불어, 이 작품들에는 ‘속도’라는 요소가 부가되어 있다. 초기의 표현적 회화 속에서 신체적 운동이 드러나는 방식을 속도를 통해 강조했다면, 이 작품들에서 속도는 일종의 ‘사진적’ 요소다. 사진기의 셔터 속도(기억, 기록의 속도)보다 더 짧은 순간 동안, 혹은 더 빠르게 대상을 바라봤다면 대상은 흐릿해진다. 특히 대상을 기억(혹은 기록) 속에서 더 확대하여 떠올렸다면 대상은 더 흐릿해진다. 다만 이 흐릿한 빛의 잔상, 혹은 기억의 얼룩은 그것의 불분명한 세부들로 인해 나에게는 기필코 불분명한, 끝내 밝힐 수 없는 존재들로 남게 된다. 삶의 시간 속에서 존재들의 ‘인연’은 이렇듯 불가사의한 흔적들로 가득 채워져 있다. 세계의 지평 안쪽은 삶의 영역인 동시에 수많은 기억과 상념의 얼룩들로 가득한, 잘 읽을 수 없거나 미처 못 읽은 문장들로 채워진 숱한 실패의 공간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개의 잔상들, 얼굴들, 순간들이 사진으로 기록되어 남아있다. 이것을 작가는 삶의 단면, 혹은 세계의 단면이라고 부른다.

   <꽃> 연작 이후에 그리기 시작한 <벌집> 연작에 대해 작가는 ‘순수한 사유의 공간과 공존의 집’이라는 부연을 하였다. 그렇게 해서 그려진 것은 역시 얼룩들처럼 그려진 검은 육각형들이다. ‘벌집’(beehive)은 기독교를 비롯한 많은 고대 종교에서 새로운 삶과 구원을 상징한다. 마찬가지로 벌집의 ‘육각형’(hexagon)은 우주에 편재하는 이상적 조화와 균형을 나타낸다. 육각형은 벌집 뿐 아니라 주상절리와 같은 연결과 힘의 분배를 함축하는 다른 자연적 형태들 속에서도 발견된다. 박철호의 작품들 속에서 벌집의 단위들은 ‘신의 은총’에 의해 내적으로 언제든지 소통과 결합을 이룰 수 있는 단자(monad)들과도 같은 것이다. 육각형은 꽃의 형태들에서도 나타나는데, 그것들은 하늘을 향해 열려있는 얼굴들과도 같다. 동시에 그것들은 ‘집’이므로, 존재가 자리 잡는 물리적 장소이자 그것의 정신적 거처이기도 한 것이다. 하이데거가 언어(die Sprache)를 ‘존재의 집 (das Haus des Seins)’이라고 부른 것처럼 이 얼룩들은 각각 그것들로 회귀하는 존재들의 말(parole)들을 가리키는 것일지도 모른다.

 

   이동하는 시점에서 본 것은 꽃들만이 아니다. 2012년 이후의 <숲> 연작은 맑은 날 숲을 거닐면서 고개를 들고 역광으로 바라본 나뭇잎들을 보여준다. 흐릿한 입자들의 흐름처럼 보이는 숲의 모습은 세계 안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과의 덧없는 조우와 광활한 공간의 끝없는 이어짐을 암시하고 있는 듯하다. 이 작품에서 주목할만한 것은 시야각의 확대, 혹은 ‘줌-아웃(Zoom-Out)’이다. 이제까지의 그의 작품들 속에서 작가의 시점은 대상에 근접한 것으로 표상되어왔다. 그는 꽃을 다가가서 바라보거나 벌집을 세세히 응시하면서 그것들을 근접화면으로 담아내었다. <숲>은 개별적 주체 혹은 단위들이 아닌, 그것들이 이루고 있는 풍경을 다룬 것이다. 물론 <꽃>에서처럼 여기서도 작가의 시점은 숲속을 이동하면서 스쳐지나가는 나무들과 수많은 나뭇가지들과 그것들에서 돋아난 헤아릴 수 없는 나뭇잎들을 기록하고 있다. 이 개별자들을 분간할 수 없을 만큼 도도하게 흘러가는 시간과 공간의 흐름 속에서도 그것의 배후로부터 뚫고 들어와 숲속을 비추는 빛을 간과할 수는 없다. 어쩌면 이 연작의 주제는 ‘숲’이 아니라 그것들을 하나의 전체로 이어주는 ‘빛’이 아닐까 한다. 불교의 ‘인드라망’이 모든 개체들을 전체와 동등한 것으로 인식하는 세계관이라면, 이 빛을 통해 교감하는 개체들의 네트워크 또한 그에 준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그렇다면 그 빛은 어디에서 오는가?

 

   근래의 연작인 <순환 Circulationt>에서 작가는 수없이 많은 군상들과 사건들을 각각 독립적인 개체들로, 혹은 얼룩들로 그려냄과 동시에 그것들이 공존하고 있는 공간을 수많은 부분들로 나뉜 화면(장소)들의 연결로 나타내고 있다. 어떤 화면에서는 좀 더 근접한, 또 어떤 화면에서는 더 멀리서 바라본 풍경들이 결국 하나의 화폭으로 이어져 다-시점적 옴니버스이자 거대한 묵시적 서사로 구성되어 있다. ‘수면’을 다룬 것으로 보이는 좀 더 최근의 작품들 속에서 얼룩들은 점차 물결 위의 일렁이는 빛의 단위들로, 먼 곳에서 바라본 수면의 미세한 반짝임들로, 극미의 찰나적 존재들로 재해석되고 있다. 앞서 언급한 ‘전체-개체’의 상호-주체적 네트워크는 이 연작에 이르러 일종의 음악적 ‘해결(resolution)’에 이르고 있다. 마치 이 찰나적 존재들에 빛을 부여한 그 원천이 지평의 바깥인 것처럼.

 

   이십 년이 넘는 시간 동안 미시(微視)에서 거시(巨視)의 세계로 도도하게 ‘줌-아웃’ 해온 작가의 이 인상적인 세계-지평(Spielraum)에 대해 그 개관을 논하는 것은 아직 이르다. 작가의 여정은 이제 중간 지점에 이르렀을 뿐이다. 다만 지금으로부터 그의 세계관이 어떤 운동성을 보여줄 것인지는 매우 흥미로운 논제가 될 것이다.

박철호 기획초대전  <Spielraum>

 

 

 

Park Cheol-ho: Paintings of the World’s Horizon, the Tormenting Reality

                                                                             

Yu, Jin sang

Art critic

 

   ‘Spielraum’ refers to the space from the subject to the world’s horizon. In other words, it could be called an ‘active zone’. What is born takes its own world as far as it can recognize and lives in it. E. Husserl perceived the world’s horizon as an interaction or construct between external and receptive and internal and spontaneous. As the artist constantly moves between the objective world as a given condition and the individual world that the subject spontaneously creates, he uses the space as his home. Art is an activity that extends the world’s horizon to the non-visible realm and beyond the limit of language and what the artist reproduces is not an object but a journey to its coordinates.

   Park Cheol-ho’s work consists of physical movements and their referents. The artist’s consciousness extends to the outside based absolutely on his body. The form consists of events that take place between his brush, pencil and charcoal and the paper, canvas and wall that it touches. The event that the artist’s body causes on this screen can be called ‘calling’ or ‘rufen’ in Heideger’s concept. When the artist’s body beckons, the object emerges from the abyss of the potential and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world. It can be sometimes a bird, sometimes the flapping of its wings, a face of a forgotten person or sometimes a flower or a leaf that has been just passed by. 

   Many of his works consist of engravings such as lithography and etching. Intense dark stains of an ink stick and sharp lines of etching characterized his early works. The works of the early 90s were black and white drawings of very rough and strong brush strokes and lines. <Shape> is composed of various ‘writings’ created by sharp lines drawn over the body’s movements left on the screen for a quick moment and accidental events resulting from them. Here, ‘shape’ refers to an unknown form of origin, like a deep abyss that appears in the midday landscape. The indiscernible shadow is later shown as a bird or a bird’s wing in the series of <Despair & Hope>.  The artist refers to this series as ‘the process of doubting and confirming existence’ and the symbolism of ‘bird’ and ‘wings’ fully expresses his intended narrative. Nevertheless, this series has developed the intense body movements seen in the previous series, the pictures as their records, and the worldview that they imply. Here, ‘bird’ reveals an ambiguous gap between abstract gestures and symbolic signifiers. It is a stain and a powerful indicator at the same time. What makes this series somewhat dramatic is that the birds the artist draw are mainly depicted as falling. Birds’ fallings represent fallings from where things are. The artist mentions ‘hope’ for this tragic event. The Korean society in the late 90s could be described as a scene of a fierce struggle to stand up from the social collapse caused by the IMF crisis. However, the tragedy here goes further that all beings lost their proper places of their existences. Park Cheol-ho’s paintings are read as historical narratives in this sense.

   The works based on plants, which began in the 2000s, show the development from expressive and symbolic symbols to the immediate ‘writing (écriture)’ of drawings. ‘Writing’ here refers to a subjective act starting from a subjective and arbitrary language to a choice of attitude in the world. There are two premises here: the artist’s active affirmation of his body and its movement and his recording of things that spontaneously emerge from interrelations between the world, society and nature. The growth and colony of plants and the landscape they create in this series derive countless ‘textures’ according to the trends of time and space. As the artist reads a new ‘text’ combined from time to time within a network of meaning, he records it on his screen. Octavio Paz called the universe of infinitely changing symbols, what we call the nature, ‘tree-bush (la maleza)’ in <Monkey Grammarian (El mono gramàtico)>. Plants are spellings of the world. Hanuman, the monkey god, crosses the myriad of universe dimensions represented by trees and reads their texts in an instant. The artist’s worldview can be spotted again later in the waves of water and the representations of their particles in <Circulation>.

   In the <Flower> series that began in 2007, the artist depicts huge enlargement of blurred outlines and large stains of color, as if trying to recall the flowers that he saw as passing by quickly. The flowers are depicted as independent subjects with inner sides and self-consciousness like portraits as well as the core topic that overwhelms the full picture. In addition to the series of <Forest> drawn later, these works have the element of ‘speed’. While the way that physical movements were revealed in the early expressive paintings was emphasized through speed, the speed in these works is sort of a ‘photographic’ element. If you look at the subject for a shorter time or faster than the speed of the camera shutter (memory, recording speed), the subject becomes blurry. In particular, if you remind the subject in a more enlarged way in the memory (or in the record), the subject becomes more blurry. However, the afterimage of this blurry light or the stain of the memory remains to me as an unclear and never-to-figure-out being due to its unclear details. The ‘ties’ of beings in the time of life are full of such mysterious traces. The inside of the world’s horizon is not only the realm of life but the space of many failures filled with stains of memories and thoughts and unreadable or unread sentences. Nevertheless, a few afterimages, faces and moments remain recorded in photos. This is what the artist calls a section of life or a section of the world.

   About the series of <Beehive>, which began after the series of <Flower>, the artist added ‘a space of pure thought and a house of coexistence’. What was drawn in this manner was black hexagons drawn like stains. ‘Beehive’ symbolizes a new life and salvation in many ancient religions including Christianity. Likewise, ‘hexagon’ of beehive represents ideal harmony and balance existing in the universe. Hexagons are found in other natural forms that imply connection and distribution of power like columnar joints as well as beehive. In Park Cheol-ho’s works, the units of beehive are like monads that can internally implement communication and unity at any time by ‘God’s grace’. Hexagons are shown in the form of flowers and are like the faces open toward the sky. Since they are ‘houses’, they are physical locations that beings are situated at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their spiritual homes. As Heideger called the language (die Sprache) as ‘house of beings (das Haus des Seins)’, these stains can be words (parole) of beings returning to them.

   What he saw while moving was not just flowers. The series of <Forest> after 2012 shows leaves in the back light viewed with his head up while walking in the forest on a clear day. The appearance of the forest, which looks like a flow of fuzzy particles, implies vain encounters with everything that exists in the world and the endless continuance of vast spaces. Notable in this work is the enlargement of the viewing angle or ‘Zoom-Out’. The artist’s point of view in his works so far has been represented close to the subject. He looked at flowers closely or started at the beehive and captured them in close-up. <Forest> is not about individual subjects or units but about the landscape that they create. Of course, the artist’s point of view here, as in <Flower>, records trees, numerous branches and countless leaves sprouting from them that he passes by while moving through the forest. Even in the flow of time and space that drifts so proudly to the extent that these individuals cannot be distinguished, the light that penetrates and shines the forest cannot be overlooked. Perhaps the theme of this series is not ‘Forest’ but ‘Light’ that connects them to one as a whole. If ‘Indramang’ of Buddhism is the worldview that perceives all individuals as equal to the whole, the network of subjects that communicate through this light might be its equivalent. Then, where does the light come from?  

   In a recent series of <Circulation>, the artist draws countless figure groups and events as independent subjects or stains and at the same time the spaces that they coexist are shown as connections of the countlessly split screens (places). The landscapes viewed closer on some screens, and further on other screens are eventually linked to a single canvas, consisting of multi-visual omnibus and big epics. In more recent works that appear to have dealt with ‘Water Surface’, stains are gradually reinterpreted as units of light rolling on the waves, fine sparkles of the water viewed from a distance and fleeting beings with extreme beauty. The mutual-subjective network of the above-mentioned ‘whole-individual’ has reached a kind of musical ‘resolution’ in this series, as if the source that gave light to these fleeting beings is outside the horizon.

   It is still too early to discuss the overview of this impressive world-horizon (Spielraum) of the artist who has been ‘zooming-out’ from microscopic world to macroscopic world for over twenty years. The artist’s journey is now only half way. However, it will be a very interesting topic from now on what kind of mobility his worldview will sh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