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전시

지난전시

  • 전시
  • 지난전시

이명미 기획초대전

  • 전시명:Game
  • 전시장소:대구보건대학교 인당뮤지엄
  • 전시기간:2019-04-26 ~ 2019-06-30

 

 

이명미 기획초대전 <Game>

 

 

놀이..


여러분들은 놀이라고 하면 어떤 것들이 떠오르시나요?
편을 나누어 운동장을 가로지르며 뛰어다는 것들이 떠오르시나요?
어느 순간부터 앞만 보고 달리느라 삶 속의 소소한 재미를 찾는 여유조차 잃어버리고, 잘 노는 법을 책이나 강연을 통해 배우고 있죠.
 
저는 매일 끊임없는 놀이를 합니다.
매일 아침 옷을 고를 때도, 음식을 먹을 때도, 영화를 보고 대화를 나누는 것조차 저에게는 색깔놀이, 식감놀이, 관찰놀이, 공감놀이 등...

제 삶을 행복하고 풍요롭게 해주는 놀이들입니다.
 
이번 전시는 이명미의 희노애락을 과감한 모습으로 표현해낸 작품들로 인생을 달콤하게 즐겨보라고 이야기 하는 듯 합니다.
여러분의 아름다운 순간들을 함께 나누어 보시기 바랍니다.
 


                                                                                                                                             대구보건대학교 총장 남 성 희

 

 

 

 

이명미 기획초대전 <Game>

 

 

 

이 명 미

 

1950   대구 출생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

 

 

         개인전

 

2019   인당뮤지엄, 대구

2018   갤러리 신라, 대구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2017   분도갤러리, 대구

2015   리안갤러리, 대구

           대구미술관, 대구

2013   아소갤러리, 대구

           분도갤러리, 대구

2010   봉산문화회관, 대구

2009   리안갤러리, 대구

2003   현대예술관, 울산

2002   갤러리 M, 대구

           갤러리 신라, 대구

2000   갤러리인데코, 서울

1999   시공갤러리, 대구

1997   갤러리 신라, 대구

1996   갤러리 신라, 대구

1995   인공갤러리, 서울

1993   동경화랑, 도쿄

1990   진화랑, 서울

1987   인공갤러리, 서울

           갤러리 THAT, 대구

1985   수화랑, 대구

           관훈미술관, 서울

1982   문예진흥원 마로니에 미술관, 서울

           맥향화랑, 대구

           Catholic Center, 부산

1981   Tamula Gallery, 도쿄, 일본

1979   Komai Gallery, 도쿄, 일본

1978   서울화랑, 서울

1977   Growrich Gallery, 서울

 

         단체전

 

2019   이명미의 꽃, 아소의 꽃’, Aso Gallery, 대구

           ‘Ace Avenue Collaboration, Lee Myung Mi’, Ace Avenue, 대구

2018   지우기, 그리기, 비우기’ Art space purl, 대구

           ‘저항과 도전의 이단아들’, 대구미술관, 대구

2017   ‘기억정원’, 자갈마당아트스페이스, 대구

2016   강정 대구현대미술제 : 5, 강정보 디아크, 대구

2014   사유로서의 형식 : 드로잉의 재발견, Museum SAN, 원주

2013   강정 대구현대미술제 : 강정간다, 강정보 디아크, 대구

           뜻밖의 초대,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12   강정 대구현대미술제 : 강변랩소디, 강정보 디아크, 대구

2011   Made in Daegu, 대구미술관, 대구

2009   최병소, 이명미 Show, yfo Gallery, 대구

           Color Inspiration, 경북대미술관, 대구

2008   이미지의 반란, KT&G, 대구

           Sence & Spirit, 경북대학교 미술관, 대구

           Digital Artexmoda, 경북대학교 미술관, 대구

2007   회화의 정체성 : 네 편의 메모, MJ Gallery, 대구

          진화랑 개관 35주년 기념전, 진화랑, 서울

2006   종합 예술 세트 : 토탈 아트 세트, 대구 MBC Gallery M, 대구

2005   분도갤러리 개관전 : 꽃, 너의 이름을 부른다, 분도갤러리, 대구

2004   대구 미술 다시보기,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개관기념전 : 현대미술의 초상, 우손갤러리, 대구

2003   영남 호남 그리고 충청,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New Frontier,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내안의 풍경들,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2001   갤러리 M 개관기념전 : 정신의 풍경, 대구MBC Gallery M, 대구

2000    PARADIGM SHIFT : 신체-게임-공간,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1998    여성의 여성, 예술마당 솔, 대구

           판화기획전 : 천년의 향기 - 경주, 경주세계문화엑스포, 경주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1996   서울판화미술제(갤러리 신라), 한가람미술관, 서울

           10人Metaphors, 인공갤러리, 대구

1995   한국여성표현전, 대구문화예술회관

           한국 여성 미술제,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포스코 갤러리 개관전 : 오늘의 동서작가 85인전, 포스코 갤러리, 서울

1993   한국현대미술 12, 미야자키현립미술관, 일본

           여성화가 10, 여성신문사, 서울

1992   동경 Art EXPO(진화랑), 도쿄, 일본

           ArtIn An Age Of Tele Communication, 오스트리아

1991   선재미술관 개관 기념전 : 한국현대미술초대전, 선재 현대미술관, 경주

           한국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 III부전, 한원갤러리, 서울

           한국여성미술 : 그 변속의 양상전, 한원갤러리, 서울

           갤러리 타임 개관기념 : 91 현대미술의 모색전, 갤러리 타임, 서울

           갤러리 이톤 초대전 : 조형적 가능성, 갤러리 이톤, 서울

           작은 마음 큰 마음, 송원화랑, 서울

1990   자연의 꿈, 예일화랑, 서울

           여성작가 56, 토탈미술관, 서울

1989   80년대의 여성미술전, 금호미술관, 서울

           꿈과 일상, 갤러리 서미, 서울

1988   한국미술의 오늘전, 토탈미술관, 서울

           한국작가 12, 로마

           88 한국현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모더니즘 이후 : 1980~85, 무역센터 현대미술관, 서울

1987   한국현대미술 : 80년대의 정황, 교토시립미술관

           한국현대미술의 최전선, 관훈미술관, 서울

           평판과 Object 그리고 Image, 서울

           소형작업전, 서울, 대구

           Art of Today, 부다페스트 F.M.K 갤러리

           한국현대미술-대구전, 현대미술센타

1986   한국현대미술 :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9개의 지점 : 한일 여성 작가의 표현전, 화랑, 도쿄

           에꼴 드 서울, 관훈 미술관, 서울

1985   제2회 아시아 현대미술전, 후쿠오카시립미술관, 후쿠오카

           오늘의 대구미술, 수화랑, 대구

           Image, 전화랑, 후화랑, 서울

1984   제 9회 국제 Original Drawing, 유고슬라비아

           서울 국제 Drawing Biennale, 한국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한일현대미술전84, K Gallery, 도쿄

           한국 현대미술 7여류전, 촌송화랑, 도쿄

           한국 현대미술 : 70년대의 조류, 타이페이미술관, 타이페이

1983~91   Ecole de Seoul, 관훈미술관, 서울

1983   청년작가 초대전, 서울신문 초대, 서울

           청년작가회,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서울 국제 Drawing, 미술회관, 서울

           서울 국제 Mail-Art, 서울

           새로운 종이 조형 : 한국, 타이페이

1982~86   국제 Impact, 서울, 도쿄

1982~83   현대미술 20인의 여류전, 관훈미술관, 서울

                현대미술의 조명, 인천

1982   판화 Drawing, 명동화랑, 서울

1981   대구Y.M.C.A 화랑 개관기념전, 대구 YMCA 화랑, 대구

           81Drawing대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대구판화가회 창립전, 삼화랑, 서울, 대구

1980   서울 Paris 방법전, 서울, 파리(Paris)

           한국판화 Drawing대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78   아시아 현대미술제, 도쿄

           24人 방법전, 서울미술회관, 서울

           금산 현대미술제, 부산

1976~81   서울 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75~76   회화 5, 6, U.S.I.S화랑, 서울

1975~80   35/128 Group, 대구

1974~76   대구현대미술제, 계명대학교 미술관, 대구

                서울Biennale,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74   한국 실험작가전, 대구백화점 화랑, 대구

1973~79   한국여류화가회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73~74   시점 Group, 명동화랑, 서울

1972~75   국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72~79   Indepandant,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72~80   한국미술협회,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한국기계연구원, 대전

홍익대학교 박물관, 서울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대구 중구청, 대구

현대중공업, 울산

포스코, 서울

달성군청, 달성군

대구은행, 대구

대구가톨릭대학병원, 대구

대구미술관, 대구

 

이명미 기획초대전 <Game>

 

 

 

LEE,  Myung  Mi

 

1950   Born in Daegu, Korea

 

B.F.A Graduated from Dept. of Western Painting, Hong-Ik University, Seoul

M.F.A Graduated from Dept. of Art Educ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Solo Exhibitions

 

2019   Indangmuseu, Daegu

2018   Gallery Shila, Daegu

          Daegu Art Factory, Daegu

2017   Bungo Gallery, Daegu

2015   LEEAHN Gallery, Daegu

          Daegu Art Museum, Daegu

2013   Aso Gallery, Daegu

          Bundo Gallery, Daegu

2010   Bongsan Cultural Center, Daegu

2009   LEEAHN Gallery, Daegu

2003   Hyundai Arts Center, Ulsan

2002   Gallery M, Daegu

          Gallery Shilla, Daegu

2000   Gallery Indeco, Seoul

1999   Cigong Gallery, Daegu

1997   Gallery Shilla, Daegu

1996   Gallery Shilla, Daegu

1995   Ingong Gallery, Seoul

1993   Tokyo Gallery, Tokyo, Japan

1990   Jean Art Gallery, Seoul

1987   Ingong Gallery, Seoul

          Gallery THAT, Daegu

1985   Soo Gallery, Daegu

          Kwanhoon Gallery, Seoul

1982   The Korean Culture & Arts Foundation Art Center, Seoul

          MaekHyang Gallery, Busan

          Catholic Center Gallery, Seoul

1981   Gallery Tamura, Hiroshima, Japan

1979   Komai Gallery, Tokyo, Japan

1978   Seoul Gallery, Seoul

1977   Growrich Gallery, Seoul

 

 

         Group Exhibitions

 

2019   Lee Myung Mi’s flower.. Aso’s flower, Aso Gallery, Daegu

          Ace Avenue Collaboration

2018   Em ptying, Drawing, & Erasing, art space pearl, Daegu

          Renegades in Resistance and Challenge, Daegu Art Museum, Daegu

2017   Memory garden.Jagaimadan, Jagalmadang Art Space, Daegu

2016   Daegu Contermporary Art Festival In Gangjeong: 5, The ARC Daegu

2014   A form of Thinking – Rediscovery of Drawing, Museum SAN, Wonju

2013   Daegu Contermporart Art Festival in Gangjeong : Gose to Gangjeong, The ARC, Daegu

2012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in GangJeong: RIverside Rhapsody, The ARC, Daegu

2011   Made in Daegu, Daegu Arts Center, Daegu

2009   Jointshow recentworks : Lee Myung Mi & Choi Byung So, yfo Gallery, Daegu

          COLOR INSPIPATION, Art museum KNU, Daegu

2008   Art in Daegu : Uprising of the Images, KT&G, Daegu

          Sense & Spirit, Art museum KNU, Daegu

2008   Digital ArTexModa, Art Museum KNU, Daegu

2007   Identity of painting : Four notes, Mj Gallery, Daegu

          Jean Art Gallery 35th Anniversary, Jean Art Gallery, Seoul

2006   TOTAL·ART·SET, Daegu MBC Gallery M, Daegu

2005   The Celebrating Exhibition for Opening of Bundo Gallery : Flower, calling your name, Bundo Gallery, Daegu

2004   Daegu Arts Story, Daegu Arts Center, Daegu

          The Celebration Exhibition for Woosoon Gallery : The face of Daegu Contemporary Art, Wooson Gallery, Daegu

2003   New Frontier, Daegu Arts Center, Daegu

          The landscapes within me, Busan Museum of Modern Art, Busan

2002   Yeongnam-Honam & Chungcheong, Daejeon Museum of Art, Daejeon

2000   PARADIGM SHIFT, Daegu Arts Center, Daegu

          The Celebration Exhibition for Opening of Gallery M : Spiritual landscape, Daegu MBC Gallery M, Daegu

1998   Woman of Woman, Artmadang SOL, Daegu

          ‘98 collection show, Jean gallery, Seoul

           Print part : EXPO Millennium’s fragrance -Gyeongju, Gyeongju world culture expo, Gyeongju

1996   Seoul Print Art Fair(Gallery Shilla), Hangaram Art Museum, Seoul

           10 Artist’s Metaphors, In-Gong Gallery, Daegu

1995   Expression of Woman, Daegu Arts Center, Daegu

           Korea Woman Art Festival, Seoul Museum of Art, Seoul

           The Celebrating Exhibition for Opening of Gallery, Posco Gallery Seoul

1993   12 Artists Exhibition of the Korean Contemporary Art, Miyazaki Prefectural Art Museum, Miyazaki, Japan

           10 Woman Artists, The Women’s news, Seoul

1992   Tokyo Art EXPO(Jean Gallery), Tokyo, Japan

           Art in An Age of Tale Communication, Austria

1991   The Celebration Exhibition for Opening of Sonje Museum of Contemporary Art, Sonje Muesum of Contemporary Art, Gyeongju

           The Celebrating Exhibition for Opening of Hanwon Gallery, Hanwon Gallery, Seoul

           Korean Women’s Art, the aspect of the shift, Hanwon Gallery, Seoul

           The celebration Exhibition for Opening of Gallery Time : Seeking Contemporary Art in 1991, Gallery Time, Seoul

           Possibilities of modeling, Gallery Ikon, Seoul

1990   Dream of Nature, Yale Gallery, Seoul

           Dream of Nature, Gallery YEH, Seoul

           ‘55 Korean women artists, Total Museum, Seoul

1990-1991   The 15th_ 16th Ecole de Seoul, Kwanhoon Gallery, Seoul

1989   ‘80’s Women Artists, Kumho Art Museum, Seoul

           Dreams and life, Seomi gallery, Seoul

1988   Contemporary Korean Art Today, Tatal Museum ,Seoul

           12 Artists Korean Contemporary Art, Rome, Italy

           Internatioal Contemporary Paintings,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After Modernism : Hyundai Department Store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1987   Contemporary Art of Korea : Artists in Taegu, Osaka, Japan

           The Spearhead In Our Generation, Kwanhoon Gallery, Seoul

           Flat board, Object And Image, Soo Gallery, Seoul

           Small Size Work, Seoul / Daegu

           Art of Today, F.M.K Gallery, Budapest, Hungary

1986   Korean Art Today,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Point of 9 : Exhibition of Korea and Japan Artists, Muramatsu Gallery, Tokyo, Japan

1985   31 Korean Contemporary Art Women, Kwanhoon Gallery, Seoul

           2nd Asian Art Show, FUKUOKA, Fukuoka Prefectural Museum of Art, Fukuoka, Japan

           Today’s Daegu Art, Soo Gallery, Daegu

           The Celebrating Exhibition : Image, Hoo Gallery / Jeon Gallery , Seoul

1984   International Original Drawing Exhibition , Yugoslavia

           Seoul International Drawing Biennale, The Korean Culture  & Arts Foundation Art Center, Seoul

           Korea – Japan Contemporary Art Exhibition ‘84, K Gallery, Tokyo, Japan

           Korea : 7 Contemporary Women artists, Muramatsu Gallery, Tokyo, Japan

           Contemporary Korean Art : Trend of 70’s, Taipei Fine Arts Museum, Taipei

1983   The 2th 21 Korean Contemporary Art Women, Kwanhoon Gallery, Seoul

            ‘83 Young Artists, The Natioanl Museum of Modern Arts, Seoul

            Seoul International Drawing Biennale ‘83, The Korean Culture & Arts Foundation Art Center, Seoul

            Seoul International Impac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s, Seoul

            New model of paper : Korea, Spring Gallery, Taipai, Taiwan

            The 4th International Impact Art Fesrival’,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s, Seoul

1983-1988   The 8th_ 13th Ecole de Seoul, Kwanhoon Gallery, Seoul

1982   International Impact Art Fesrival, Kyoto International Art center, Kyoto, Japan

           Seoul International Mail Art, Kwanhoon Gallery, Seoul

           Spotlight of Contemporary Art, Montmartre, Incheon

           20 Contemporary Women Artists, Kwanhoon Gallery, Seoul

           Print, Drawing, Myungdong Gallery, Seoul

1981   Commemoration exhibition : Association of Daegu Printmaking, Sambo Gallery, Daegu

           ‘81 Drawing,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Gwacheon

           The Celebrating Exhibition for Opening of Daegu Y.M.C.A., Daegu

           Seoul Contemporary Art Festival, The Korean Culture & Arts Foundation Art Center, Seoul

1980   Method : Seoul, Paris, The Korean Culture & Arts Foundation Art Center / Orly Gallery, Seoul / South Korea, Paris / France

           The Grand Art Exhibition of Korea Print Drawing,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s, Seoul

           Seoul Contemporary Art Festival, The Nationa Museum of Modern Arts,Seoul

1978   Asian Contemporary Art Festival, Tokyo, Japan

           Busan Contemporary Art Festival, Busan Citizen Hall, Busan

           Seoul Contemporary Art Festival,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s, Seoul

           Korean Art Today ‘Method, The Korean Culture & Arts Foundation Art Center, Seoul

1977   Seoul Contemporary Art Festival,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s,Seoul

1976   Painting 6 Artists, U.S.I.S. Gallery, Seoul

           Seoul Contemporary Art Festival,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s,Seoul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Keimyung University Art Museum, Daegu

1975   Avant – grade artist Group : 35-128, Daegu Metropolitan Library, Daegu

           Painting 5 Artists, U.S.I.S. Gallery, Seoul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Keimyung University Art Museum, Daegu

1974   Korea experimental artists, Daegu Department Store Gallery, Daegu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Keimyung University Art Museum, Daegu

           Point of view ‘74, Myungdong Gallery, Seoul

1974-1976   Seoul Biennale,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Seoul

1974-1979   The 2th_ 7th Indepandant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Seoul

                   The 2th_ 7th Korea Women Fine Artists Association,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Seoul

1973   Point of view, Myungdong Gallery, Seoul

           The 1st Korea Women Fine Artists Association,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s, Seoul

1972   The 1st Korea Women Fine Artists Association,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s, Seoul

 

 

         Collections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 Gwacheon, Busan Museum of Art

Daegu Arts Museum, Jung-gu District Office Daegu Metropolitan City, Dalseong-Gun,

Daegu art center, Hongik University Art Museum,

Daegu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enter, POSCO, Hyundai Heavy Industry,

Daegu Bank, Korea Institute of Machine & Materials  

 

 

 

 

 

 

이명미 기획초대전 <Game>

 

 

 

이명미, 카르페 디엠(carpe diem)의 예술가

 

이진명

대구미술관 학예연구실장

 

 

   미술사는 매우 복잡다단하다. 미술계 역시 사람과 관념, 가치와 회의, 도전과 도피가 뒤죽박죽 섞여있어, 그 끝을 알 수가 없다. 그러나 한 가지 확실한 것이 있다. 미술계의 작가들은 늘 둘로 나뉜다는 사실이다. 하나는 불세출의 소설가 박경리가 써 내려간 대하소설 ≪토지≫의 인간형이다. 나머지 하나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Dead Poets Society)≫의 인간형이다. ≪토지≫의 인간형은 사회의 전통적 규율과 시대적 한계를 체념해가는 삶을 택한다. 할머니의 고난은 그의 딸 어머니에게 이어지며 어머니의 고난은 딸인 나에게 유전된다. 나의 삶은 할머니와 어머니의 고난을 이해해가는 과정의 역사로 정의된다. 그 이해 과정 속에서 마치 ≪화엄경≫이나 헤겔 ≪정신현상학≫처럼 숭고한 의미가 발현된다. 반면에 ≪죽은 시인의 사회≫의 인간형은 전통적 규율과 제도에 저항하면서 자유를 쟁취하려는, 흡사 소년처럼 순수한 투사이다. 때로는 좌절하지만, 언제나 지금을 붙드는 현자들이다. 과거에 집착하지 않고 아직 오지 않은 미래를 겁내지 않는다. 그것이 키팅 선생이 아이들에게 알려준 ‘카르페 디엠(carpe diem)’, 즉 “현재를 잡아라.”라는 위대한 가르침이다.


   ‘카르페 디엠’은 원래 고대 로마 시인 호라티우스의 "현재를 잡아라. 가급적 내일이란 말은 최소한만 믿어라."(Carpe diem, quam minimum credula postero)의 부분 구절이다.” 나는 이 위대한 문구에서 니체의 영겁회귀(永劫回歸, eternal recurrence) 사상이 지닌 참된 의미를 발견한다. 그리고 이명미 선생의 예술세계가 지니는 본질이 ‘카르페 디엠’과 ‘영겁회귀’에 연결된다고 믿는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이야기하겠다. 그렇다면 영겁회귀란 무엇인가? 현재 내가 하는 행동거지와 말은 1만년 전에도 이미 똑같이 일어났었고 1만년 후에도 똑같이 재연된다는 뜻이다. 가령, 직장 상사가 공연한 일을 들고 트집잡고 괴롭힌다. 나는 숨죽이며 이 순간이 지나가기만을 바란다. 변명도 해보고 무의식적으로 타인 핑계도 댄다. 그렇게 비겁하고 나약하고 사특한 순간이 지나간다. 니체에 의하면, 이러한 나의 행동과 언사들은 이미 1만 년 전에도 일어났었다. 그리고 1만 년 후에 똑같이 재생된다. 영겁회귀가 사실이라면 이 얼마나 끔찍하고 아찔한 것인가? 그렇다면 나는 상사의 괴롭힘에 이렇게 맞서야 한다. “제가 잘못한 일이 있으면 고치겠습니다. 이제 그만 하시지요. 그리고 사실 큰 잘못도 아니잖습니까? 충분히 인식하고 있고 더 좋은 해결점을 찾았습니다.” 이렇게 당당하게 현재 순간을 대처하면 1만 년 전에도 당당했고 1만 년 후에도 당당한 일이 재연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나간 어제와 다가오지 않은 내일을 위하지 말고, 바로 지금 모든 것을 지혜롭고 용감하게 맞이하고 유쾌하게 보내야 한다. 이명미 작가의 회화세계가 그러하다.


   ≪토지≫ 인간상의 예술가들은 역사와 규범과 스타일의 무게를 수용한다. 무거운 멍에를 지는 것이 오히려 진실한(authentic) 작가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것은 자기 세계가 아니다. 무언가의 전대의 전통과 선배 예술가를 겨누어 다른 형식을 구축하려는 사람들이다. 따라서 스스로를 한계에 가둔다. 전대의 전통을 변형시키면서 자기를 확정하려는 시도들이다. 그러니 선배의 반명제가 된다. 선배의 반명제란 역설적이게도 선배의 후예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리고 선배의 우산 아래 서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러나 호라티우스의 <송가(Ode)>도 니체의 영겁회귀 사상도 ≪죽은 시인의 사회≫도 타인을 위해서 살지 말라고 가르친다. 나를 위해서 공부하고 나의 삶을 강하게 긍정하라고 가르친다. 그러한 가르침을 따르는 예술가들은 전통이나 선배에 매달리지 않는다. 오로지 나의 실존만이 문제가 된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이명미 작가는, 열린 세계에서 모든 가능성을 묻는, 자기와의 진정한 만남에서 의미를 찾는다. 선배 작가의 테제를 물고 뜯으며 혈투를 벌이는, 아레나를 거부한다. 오로지 지금 이 순간의 나를 대면하기 위해서 최고의 즐거움을 그린다. 그것은 유희를 위한 유희가 아니다. 카프페 디엠을 수행하면서 맞이하게 되는, 즐거움과 기쁨으로 충만된 나를 확인하는 유희이다. 이러한 일은 1976년도부터 일어났다. 개념주의 작가에서 확고한 자기 세계관과 스타일을 찾은 화가로 변모한 것이다. 당시 우리나라 화풍은 네 개의 거대한 기단(氣團)이 형성되어 있었다. 하나는 색면추상이나 문자추상, 아니면 단색화나 모노크롬이라고 부르던 무채색 · 무형상의 기단이 있었다. 둘째로 윌렘 드쿠닝(Willem De Kooning), 잭슨 폴록(Jackson Pollock)으로 대표되는 추상표현주의가 대유행을 이끌었다. 셋째로 조셉 코수스(Joseph Kosuth)가 창안한 개념, 즉 색도 형도 아니라 의미를 쫓는다는 개념미술이 있었다. 이것이 아방가르드와 혼용되기도 했다. 넷째로 미국이 우리나라 국내의 정치와 경제에 개입하는 것을 반대하는 정서가 미술에 표면화되기도 했다. 동시에 한국 미술의 현대화 과정에서 수반되는 서구 미술의 일방적이고 절대적 영향력을 우려하거나 반발하는 기류가 있었다. 뒷날 이를 민중미술이라고 부르게 된다. 이 네 개의 기단은 리얼리즘과 형식주의라는 두 축으로 다시 분화된다. 문제는 이명미 작가가 이 세력들로부터 애당초 유리되어서 다짜고짜 스스로의 유희를 찾은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명미 작가는 76년 이전에 주류 작가들과 활동을 함께 했다. 70년대 말부터는 서울 화단을 뛰어넘어 도쿄의 화단으로까지 실력을 펼친다. 박서보 · 이우환 · 하종현 · 최명령 · 최병소 · 이강소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작가들이 이른 시기부터 작가의 가능성을 알아보았고 또 인정했다. 그런데도 기존의 틀을 탈피한 것이다. ≪토지≫의 인간상을 지양하면서 ‘카르테 디엠’의 진실성으로 다가간 것이다.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다. 스스로 내건 모험이자 자기 확신에서 비롯된 용기였다. 이명미 작가의 그림 속 화면은 따라서 사랑 · 용기 · 지혜가 마치 짜임새 있는 삼각형처럼 화면의 추뉴(樞杻)를 이룬다.


   그렇다면 작가의 화면을 채우는 에너지의 세 요소인 사랑 · 용기 · 지혜란 무엇인가? 이것을 알기 위해서 스피노자의 코나투스(conatus) 개념을 알아야 한다. ‘코나투스’는 ‘노력하다’는 뜻을 지닌 라틴어 ‘코노르(conor)’에서 파생된 말이다. 아리스토텔레스 · 에픽테투스 등에 의해서 발전된 개념인데 노력 · 경향 · 성향을 의미한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스스로를 지키고 보존하려는 노력을 한다는 것이다. 스피노자 역시 자기를 보존하는 능력, 곧 본인의 존재 속에 계속해서 머무르려는 노력을 사물의 본질 자체로 보았다. 따라서 사물의 현실적 본질이란 각 사물이 자신의 존재 안에서 지속하고자 하는 성향이며, 인간이나 사물이 행하는 자기보존의 노력이 코나투스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코나투스는 외부 환경에 따라서 증대되기도 하고 감소하여 위축되기도 한다. 가령, 좋아하는 음악을 듣고 몸에 맞는 음식을 섭취하며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면 코나투스는 증대한다. 반면에 취향에 거스르는 음악을 듣거나 거북한 음식을 먹고 싫어하는 사람을 억지로 만나면 코나투스는 감소한다. 코나투스가 제로에 가까워지면 죽음에 가까워진 것이다. 반대로 코나투스가 증대되면 생명력으로 약동하는 상태에 이른다.


   이명미 작가는 코나투스가 최상급으로 증대되는 순간을 화면에 담는다. 기법도 가장 간소하면서 원초적인 붓질을 지향한다. 가령, 최초의 인간이 그렸던 순수무구한 붓질과 정확히 같다. 색채 역시 오렌지 윤기가 돌고 빛을 머금은 올리브 빛깔이 쓰이다가 수박 향을 머금은 빨간색이 연출되는가 하면 어머니 뱃속 따뜻함을 연상시키는 천연의 분홍이 등장하기도 한다. 신록이 머금은 청신한 녹색이 등장하기도 하고 시원한 얼음 빛깔이 뜨거운 열정을 달래기도 한다. 죽음을 연상시키는 잿빛과 흑색, 의미 없는 백색은 가급적 지양된다. 주목할 것은 이 모든 색채들이 조화를 이루면서 절대적인 인력으로 서로를 안고 보듬는다는 점이다. 이명미 작가는 그림을 그리면서 사랑의 미덕을 견지한 것이다. 실제로 이명미 작가의 작품 화면에서 색채끼리 밀어내고 거부하는 현상을 한 부분도 발견할 수 없다. 더욱 중요한 것은 화면 구성이다. ≪토지≫ 인간형의 예술가들은 선배들의 테제에 반발하거나 외부 문화의 요소를 차용하면서 자기 스타일을 만들었다. 더구나 자기 스타일을 또 다른 자기 스타일로 재생산시키면서 끊임없는 자기 모방을 낳았다. 이명미 작가는 자기가 그린 특정 시기의 스타일이 완성되면 더 이상 재생산하지 않고 다음 단계로 넘어갔다. 자기 스타일을 과감히 허물고 새로운 스타일로 일신시켰다. 용기의 미덕이 그림에서 발현되는 대목이다. 우리는 또 공자가 ≪계사상전(繫辭上傳)≫에서 말씀하셨던 “근취저신, 윈취저물. (近取諸身, 遠取諸物.)”이라는 문장에 주목해야 한다. “가깝게는 내 몸에서 진리를 구하고, 멀게는 각각의 사물에서 진리를 찾아야 한다.”는 뜻이다. 이명미 작가의 가까운 신변에서 주제를 취한다. 작가가 즐겨 듣는, 아름답고 경쾌한 음악 자체가 주제가 되기도 하며, 사랑하는 가족의 헤진 셔츠나 옷을 기우던 단추와 실이 사용되기도 한다. 읽은 책이나 사용했던 그릇과 컵이 주제가 된다. 상미했던 꿀과 설탕의 달콤함, 커피와 차의 향기가 화면에서 퍼진다. 우리나라 70년대에는 윌렘 드쿠닝(Willem De Kooning), 잭슨 폴록(Jackson Pollock)으로 대표되는 추상표현주의나 도널드 주드(Donald Judd)로 대표되는 미니멀리즘 페인팅이 대단한 영향을 끼쳤다. 전자는 무의식에서 끌어낸 것이고 후자는 과도하게 설정된 이념의 산물이었다. 이명미 작가는 이 둘에 흔들리지 않고 자기 길을 스스로 열고자 했다. 자기의 길을 자기가 가장 잘 알고 가장 잘 느끼는 내 주변에서 찾았고 나를 떠받치는 주변 사물 모든 것에서 무한한 가치를 발견한 것이다. 당시 이러한 그림을 그리는 작가를 좀처럼 발견할 수가 없다. 이러한 점이 이명미 작가의 기지와 지혜를 충분히 증명해준다. 그렇기에 사랑과 용기, 지혜가 활발발(活潑潑) 샘솟아 화면 속에 가득 채워졌음을 우리는 알게 된다.


   그렇다면 궁극적으로 이명미 작가가 미덕의 세 요소를 화면에 구성하면서 얻으려는 것은 무엇인가? 작가는 타인의 이목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의 화풍을 완성하고자 했던 위기지학(爲己之學)의 연구 자세를 일관되게 관철한다. 이러한 자세는 현재를 붙잡고 즐기는 카르페 디엠의 세계관을 견지하게 했다. 카프페 디엠의 세계관은 언제나 코나투스가 증대하는 방향으로 화면을 구축했다. 나는 이러한 점이 이명미 작가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려는 힘에의 의지(Der Wille Zur Macht)라고 판단한다. 니체가 ≪유고(Nachgelassene Fragmente Herbst)≫ 3권에서 말했던 힘의 의지는 "주인이 되고자 하고, 그 이상이 되고자 하며, 더욱 강해지고자 하는 의지 작용(Herr-werden-, Mehr-werden-, Stärker-werden-wollen)”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명미 작가는 그 누구도 가지 않았던 길을 걸으며 회화 세계와 예술계에서 자주권을 확보하고자 했다. 교단과 강단의 지속적인 유혹을 뿌리쳤고 상업미술의 기제가 판을 치는 곳에 발을 딛지 않았다. 작가의 힘에의 의지는 70년대부터 지속되어 지금까지도 변치 않고 있으며, 화풍을 간단(間斷) 없이 일신시켰다. 그리고 현재의 화풍은 오히려 젊은 날의 그것을 압도한다. 나는 작가의 이토록 위대한 삶을, 그리고 예술을 향한 절실한 자세를 판타지아(fantasia)나 유희(play), 아니면 게임(game)으로 해석하는 일은 중지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작가는 단순한 호모 루덴스(Homo Ludens)가 아니다. 카르페 디엠 인간형이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른 예술적 화신이다. 그렇다면 카르페 디엠을 궁극적으로 실현한 예술가들은 누가 있을까? 그들은 미술이 갖는 역사적 무게를 훌훌 털어내고 꽃이 만개한 길을 스스로 찾아낸 사람들이다. 서양에서는 카라바조(Michelangelo da Caravaggio) · 세잔(Paul Cézanne) · 고흐(Vincent van Gogh) ·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이 대표적이다. 동양에서는 팔대산인(八大山人) · 이토 자쿠추(伊藤若) · 혜원 신윤복이 있다. 이들을 특정 사조에 가두어서 해석하려는 시도는 모두 무용하다. 사조를 초월한 사람들이고 특정 사조의 개념이나 철학 없이도 스스로 충분히 증명되는 사람들이다. 나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명미 작가가 이 위대한 화가들의 사랑과 격려를 받을만하다고 생각한다.
 

 

 

 

이명미 기획초대전 <Game>

 

 

 

Lee Myung-mi, the artist living in Carpe diem

 

Lee, Jin myeong 

Head of Department of Curation

& Research at Daegu Art Museum

 

   Art history is enormously intricate and complex. The end of the art world is unknown for it is blended with many elements such as people, concepts, values, skepticism challenges and evasion. However, one thing is as clear as daylight. The artists of the art world are always divided into two. One is the human type observed in “The Earth,” the epic novel of Park Kyung-ri, a nonpareil writer.

   Another one is a type appeared in the movie “Dead Poets Society.” The human type of “The Earth” opts for a life under the traditional disciplines of the society, being resigned to the limits of the time. My grandmother’s hardship is continued to her daughter, and my mother’s suffering is inherited to me. My life is defined as a history of process of getting to understand adversity of my grandmother and my mother. During the process of such understanding, the sublime meaning is manifested as in “Avatamsaka Sutra (Flower Garland Sutra)“ or Hegel’s “The Phenomenology of Spirit.” On the contrary, the human type seen in “Dead Poets Society” is a pure fighter like boys resisting conventional disciplines and systems to gain freedom. It is the portrait of the wise, who sometimes feel frustrated but grasp the present. Without being obsessed about the past, they do not afraid of the future. This is the great teaching “Carpe diem” or “Seize the day” taught by Mr. Keating.

 

   Carpe diem comes from the Roman poet Horace’s work and the expression is extracted from “carpe diem, quam minimum credula postero,” meaning “Seize the present; trust tomorrow e'en as little as you may.” Out of this great aphorism, I come to discover the true meaning of Nietzsche’s thought “eternal recurrence.” I believe that the essence of the art world of Lee Myung-mi is connected to the concepts of “Carpe diem” and “eternal recurrence.” This subject will be discussed again later. Then what does this eternal recurrence mean? This signifies that your words and deeds of the present already happened 10,000 years ago, and the same thing will occur again in 10,000 years. For instance, your boss at work finds fault with you for trivial things and stresses you out annoying you. You just hold your breath. The only thing you want is to desperately wait for this moment to pass fast. You make an excuse and blame others to justify yourself. Finally, the coward, weak and even evil moments have gone. According to Nietzsche, this kind of behaviors and speech already happened 10,000 years ago. Yes, the same thing occurs again in 10,000 years. If eternal recurrence were true, how terrible and scary the world would be? If so, you are to face your boss’s torment this way. “If there is something I did wrong, I will correct it. I sincerely believe it is enough. By the way, it was not a big mistake. I am well-aware of it and I found a better solution to this.” If you bravely cope with the present moment, this means you were brave and confident 10,000 years ago and the incident full of bravery and confidence will be recreated in 10,000 years. For this reason, do not focus on your past or future, but receive what happens here and now with wisdom and bravery and enjoy every single moment. This is how the world of painting of Lee Myung-mi develops.

 

   The artists belonging to the human type of “The Earth” accept the weight of history, norms and style. I think that being under the heavy yoke is being an authentic artist. However, it is not living in the world of their own. They are the ones who intend to establish a different form through aiming at tradition and artists of the previous generation. Therefore, they are imprisoned in their own limitations. Such attempts are made to transform the tradition of the previous generation and determine themselves. For this reason, this constitutes an antithesis of the artists of the previous generation. This antithesis paradoxically means being descendants of the artists of the previous generation as well. Moreover, this means that they are standing under the umbrella of the artist of the previous generation. Horace’s Odes, Nietzsche’s thought of eternal recurrence and the film Dead Poets Society all teach us not to live for others. Instead, they teach us to study for ourselves and acknowledge our lives with powerful positivism. The artists following this teaching do not cling to tradition or artists of the previous generation. What matters is the existence of one’s own. All possibilities are widely open. Lee Myung-mi finds the meaning from the true encounter with herself, asking all possibilities in the open world. She rejects the arena where artists fight a bloody fight to criticize the theses of the artists of the previous generation.

 

   She paints the supreme joy to face herself of this very moment. This is not about amusement (play) for amusement (play). It is amusement (play) of self-confirmation when receiving her ego full of joy and happiness while practicing Carpe diem. This thing started to happen since 1976. She transformed from a conceptualist artist into an artist who found the firm view of the world and style of her own. Back then, our country’s painting styles consisted of 4 big streams. Firstly, there was a stream of color-field abstraction or letter abstraction or non-color & non-figure which used to be called monochromatic paintings. Secondly, abstract expressionism represented by Willem de Kooning and Jackson Pollock was a great boom. Thirdly, there was a stream of conceptual art, created by Joseph Kosuth, referring to pursuit of meaning and not colors or shapes. This was used in combination with avant-garde art. Fourthly, art also expressed denial of intervention of the USA in our country’s politics and economy. At the same time, there were concerns on the unilateral and absolute influences of the Western art on ours accompanied by the modernization process. Such concerns sometimes expanded into resistance. This is later called “Minjung art” or “People’s art.”. These four streams are divided into two watersheds of realism and formalism. What matters here is that Lee Myung-mi did not look for amusement (play) by herself all of a sudden being disconnected from this group from the beginning. She shared her artistic activities along with mainstream artists before 1976. Since the late 1970s, she started to display her talent even in the art world of Tokyo beyond the boundary of Seoul. Our country’s representative artists such as Park Seo-bo, Lee Woo-hwan, Choi Myeong-ryeong, Choi Byeong-so and Lee Kang-so recognized and acknowledged her possibilities from the early stage of her activities. Despite this, she escaped from the existing frame. Denying the human type of “The Earth,” she approached the veracity of “Carpe diem.” Nobody taught her this. It was based on the adventure she herself started and courage backed up by self-conviction. In the paintings of Lee Myung-mi, love, courage and wisdom constitute the central axis of the canvas like a well-structured triangle.

 

   Then what are these three elements of love, courage and wisdom filling her canvas? To get the answer,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pinoza’s concept of “conatus.” It is derived from “conor,” a Latin term meaning “to make an effort.” This concept was developed by Aristotle and Epictetus, and it embraces the significance of “effort,” “tendency” and “propensity.” This means that all living creatures make an effort to keep and conserve themselves. Spinoza also regarded the ability of self-conservation, namely, the effort-making of keeping in the existence of oneself as the essence itself of each thing. Therefore, the real essence of a thing is a propensity intending to continue in one’s being, and this effort of self-conservation of humans and things can be considered “conatus.” However, conatus alternates its increase and decrease depending on the external environment. For instance, conatus increases when you listen to your favorite music, enjoy food in tune with your body and meet your loved one. On the other hand, conatus diminishes when you listen to music against your taste, have uncomfortable food and meet people grudgingly. When conatus reaches close to zero, death is near. Contrariwise, extended conatus leads you to the state full of dynamic vitality.

 

   Lee Myung-mi brings the superlative moment of expanded conatus to the canvas. When it comes to techniques, she seeks brush strokes which are the most simple and basic. It is exactly the same as the pure brush strokes painted by humans in the beginning. Observing the colors, she sometimes uses olive colors tinted with orange shine and gloss, but other times, she chooses red full of watermelon aroma. At the same time, she tries natural pink reminding us of warmth of maternal womb. Green imbued with fresh verdure fascinates us, while cool icy colors wisely calm hot passion down. If possible, she tries not to use gray and black evoking shadows of death or meaningless white.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all these colors are in harmony and they hug and embrace one another with absolute attraction. While drawing paintings, she holds on to virtue of love. In fact, no part of her paintings shows the scene of which colors push and reject one another. What is more important is the composition of screen. Artists belonging to the human type of “The Earth” opposed the theses of artists of the previous generation or adopted elements of the external culture to create their own styles. Moreover, the process of reproducing their own styles as additional styles of their own brought about incessant self-imitation. On the contrary, Lee Myung-mi stopped reproducing once a painting style of a specific period is completed and moved on to the next step. She daringly broke her “brand” style and tried innovation with new styles. This is the point from which virtue of courage is displayed through paintings. It is worthwhile to pay attention to what Confucius mentioned in his “Xici zhuan” or “The Great Commentary.” The line says. “In the proximity, seek truth from your body. From a far-sighed view, seek truth from each thing.” Lee Myung-mi picks up subjects from the everyday codes around her. For instance, her subjects are sometimes based on some beautiful and cheerful music, her favorite selection. Sometimes she utilizes buttons and threads used for sewing up the worn shirts or clothes of her loved family members. She also takes books as well as dishes and cups she used before. Enjoyable sweetness from honey and sugar combined with deep aroma of coffee and tea spreads the canvas all over. In the 1970s, our country was greatly influenced by abstract expressionism led by Willem de Kooning and Jackson Pollock, and minimalist painting represented by Donald Judd. The first one was brought out from unconsciousness while the second one was the product of excessively established ideology. Lee Myung-mi wanted to open the way of her own without wavering between the two. She sought her way nearby since she knows and feels them most. This way, she discovered infinite values from the things supporting her around her. Back then, it was highly difficult to find artists who stick to the similar practice to hers. This sufficiently proves her wits and wisdom. For this reason, we come to understand that love, courage and wisdom surge up with vivacity and fill the canvas screen with opulence.

 

   Then what could be the thing she really wants to achieve through structuring three elements of virtue? She consistently attains the research attitude of “moral completion through learning” to accomplish her own painting style away from how others think of her art world. This attitude led her to stick to the view of the world based on “Carpe diem” for seizing and enjoying the present. Her view of the world based on “Carpe diem” made her establish the screens towards the direction where conatus enlarges. I know that this is the very will to power (Der Wille Zur Macht) she ultimately pursues. This will to power mentioned in the Vol. 3 of Nietzsche’s “Posthumous (Nachgelassene Fragmente Herbst)” can be defined as a will action wishing to be an owner and to become more and stronger (Herr-werden-, Mehr-werden-, Stärker-werden-wollen). Lee Myung-mi took a path where nobody had travelled by and wanted to secure autonomy in the world of painting and art circle. She kept resisting a series of temptations of teaching at schools and universities. She did not get involved in the places where the mechanism of commercial art was predominant. Her will to power has been maintaining since the 1970s renewing her painting style without stopping. Today’s painting style of hers even overwhelms that of her days of youth. I strongly believe that this great life of hers and earnest attitude for art must not be interpreted any more as “fantasia,” “play (fun)”, or “game” Lee Myung-mi is not a mere Homo Ludens. She is an artistic incarnation of which the human type Carpe diem almost reached the stage of completion. Then who other artists had ever realized Carpe diem in life? They are the ones who succeeded in finding the path with flowers in bloom after having overcome the historical heaviness of art. In the West, they constitute Michelangelo da Caravaggio, Paul Cézanne, Vincent van Gogh and Francis Bacon. In the Orient, there are Bada Shanren, Ito Jakuchun and Shin Yoon-bok. It is useless to try to interpret them limiting in a specific school of thought or style. They are the ones who transcended any school of thought or style and they are amply proved by themselves even without the presence of concept or philosophy of mainstream trends. I am sure that Lee Myung-mi in our country deserves to receive love and encouragement from all these great art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