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전시

지난전시

  • 전시
  • 지난전시

김동유 기획초대전

 

 

김동유 기획초대전  <Nothing or Something>

 

 

"1990년대에 나는 다양한 기법을 시도하며 나만의 그림 스타일을 구축해나갔다.

그동안 해왔던 작업들을 바탕으로 내 그림에 변화를 주던 시기였다. 그렇게 여러 작업을 하다 찾게 된 스타일은 무심無心하고 무정無情한 느낌의 점과 도형을 반복하여 어느 형상을 캔버스에 그려내는 작업이었다. 수많은 점들이 모여 안중근 열사가 되기도 하고. 다양한 사이즈의 수많은 원이 여인의 모습으로 탄생하기도 했다. 마치 바닷가에 모래로 만들어진 조각품처럼 캔버스를 모래알 같은 점과 도형으로 형상화하던 시기였다."

 

김동유는 2012년 출간된 자신의 『그림꽃, 눈물밥』에서 밝히고 있다. 담담하게 드러내는 세계는 역설적이게 감동을 불러 일으키기도 한다. 개인의 인생사가 환기시키는 다큐멘터리보다 미술사의 화면은 냉정하다. 김동유의 회화에 의한 에피소드 혹은 단편은 단순하지 않다. 그의 회화 전체는 부분의 총합이 아니다. 낱낱의 그림만으로 김동유 회화미학을 구축할 수는 없다.

 

'김동유의 회화미학: 퀀텀과 프랙털 사이에서' 일부 발췌


김병수

미술평론가

 

 

 

 

 

김동유 기획초대전  <Nothing or Something>

 

 

 

김 동 유

 

1965   공주 출생

 

1988   목원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1990   목원대학교 미술대학원(서양화 전공) 졸업

 

 

 

         개인전

 

2017   롯데 에비뉴엘 아트홀, 서울

2016   KIAF 갤러리세솜, 코엑스, 서울

           스콥 뉴욕 2016, 뉴욕, 미국

2015   Sis Gallery, 뉴욕, 미국

           Hasted Kraeutler, 뉴욕, 미국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2014   갤러리세솜, 창원

2013   롯데갤러리, 서울

2012   갤러리현대, 서울

           Hasted Kraeutler, 뉴욕, 미국

2011   갤러리바톤, 서울

2010   성곡미술관, 서울

2009   세브란스 아트 스페이스, 서울

           이화익갤러리, 서울

2008   브라운베렌스갤러리, 뮌헨, 독일

2007   사비나미술관, 서울

2005   아트파크갤러리, 서울

2004   롯데화랑, 대전

2001   스페이스몸, 청주

1999   금호미술관, 서울

1997   조성희화랑, 서울

1996   대전문화원, 대전

           조성희화랑, 서울

1993   3갤러리, 서울

1989   현대화랑, 대전

 

 

         단체전

 

2017   싱가폴 컨템포러리, 싱가폴

2016   아트 아부다비,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연합국

           아트 마이애미, 마이애미, 미국

           아트 파리, 파리, 프랑스

           아트 자카르타,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그림, 시대의 얼굴, 롯데갤러리, 서울 / 대구

2015   디올정신,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서울

           스콥 바젤 2015, 바젤, 스위스

2014   정원,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컨스트럭티브 유닛, 제임스크리스티스룸, 홍콩

           사람, 독립궁전미술관, 카자흐스탄

           의미의 패턴, 아트센터 화이트블록, 파주

           회화의 발언전, 이공갤러리, 대전

           아트14런던, 올림피아그랜드홀, 런던, 영국

           아트스테이지싱가폴, 마리나베이샌즈 익스히비션&컨벤션센터

2013    LA 아트쇼, LA 컨벤션센터 / 사우스홀 J&K, LA,미국

           아트 팜비치, 팜비치컨츄리컨벤션센터, 마이애미, 미국

           모방의 미학, 이화여대 박물관, 서울

           아트13런던, 올림피아그랜드홀, 런던, 영국

           아트스테이지싱가폴, 마리나베이샌즈 익스히비션&컨벤션센터, 싱가폴

2012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 일우스페이스, 서울

           현대미술사용설명서 , 포스코미술관, 서울

           미술경작 ,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2012   더 퀸: 아트&이미지, 내셔널뮤지움, 아일랜드 / 내셔널포트레이트 갤러리, 런던, 영국

2011   코리안 랩소디, 리움, 서울

           더 퀸: 아트&이미지, 로얄아카데미, 에딘버러 / 얼스터뮤지움, 노던 아일랜드

           이화익갤러리 개관 10주년 기념전, 이화익갤러리, 서울

           듀얼 이미지,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전환된 이미지V, 갤러리룩스, 서울

           비욘드 더 블루, 갤러리현대, 서울

           어 글로컬 뷰 : 한국의 현대미술, 웁살라미술관, 스톡홀름, 스웨덴

           38°N 스노우 사우스: 한국의 현대미술, 갤러리샤롯데룬드, 스톡홀름, 스웨덴

           분단미술-눈위에 핀 꽃,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아트 스테이지 싱가폴, 싱가폴

2010   코리안 아이, 런던 / 싱가폴, 영국 / 싱가폴

           From Seeing To Discovering, 이공갤러리, 대전

           아시안 컨템포러리 아트, 컨벤션센터, 홍콩

           서울 오픈 아트페어, 코엑스, 서울

           아트 두바이, 두바이, 아랍에미리트연합국

           스콥 뉴욕, 링컨센터, 뉴욕, 미국

           코리안 아트 쇼, 뉴욕, 미국

           한국 현대미술의 중심에서, 갤러리현대, 서울

2009   From Seeing To Discovering, 이공갤러리, 대전

           미술과 놀이-Art in Superstar, 예술의전당, 서울

           개관 10주년 기념전-재현에 대한 재현, 이공갤러리, 대전

           프롬 연희동, 연희동프로젝트, 서울

           스몰 이스 뷰티플, 이화익갤러리, 서울

2008   아시안 아트 인 런던 메이페어, 런던, 영국

           전후 동시대 미술, 런던, 영국

           아트 싱가폴, 선텍, 싱가폴

           아시아 탑 갤러리 호텔아트페어, 동경, 일본

           개관 30주년 기념전, 브라운베렌스갤러리, 뮌헨, 독일

2007   브리지 아트페어, 런던/마이애미, 영국 / 미국

           아시아 동시대 미술, 컨벤션센터, 홍콩

           아시아 컨템포러리 아트페어, 뉴욕, 미국

           아시안 아트 인 런던 메이페어, 런던, 영국

           아트 싱가폴, 선텍, 싱가폴

           아트 타이페이, 타이페이 쇼, 대만

           북경 아트페어, 중국세계무역센터, 북경, 중국

           스몰 이스 뷰티플, 이화익갤러리, 서울

2006   아트 싱가폴, 선텍, 싱가폴

           아시아 동시대 미술, 컨벤션센터, 홍콩

           베스트 콜렉션, 이화익갤러리, 서울

2005   대전 미술제,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금호미술관 개관15주년 기념전, 금호미술관, 서울

2004   한국현대미술전-미술과 놀이,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회화의 조건, 신세계갤러리, 인천 / 광주

           신소장품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3   센스&센서빌러티,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아시아 현대미술 프로젝트 시티-넷 아시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백화점에 간 미술가들, 롯데화랑, 대전

           페인팅 앤드 페인팅, 인사갤러리, 서울

           움직이는 정물, do ART갤러리, 서울

2002   롯데화랑 개관기념전-Contemporary Daejeon, 롯데화랑, 대전

           한국현대미술제-한국미술을 이끄는 66인의 개인전, 예술의전당, 서울

           상상력과 호기심, 인사아트센터, 서울

2001   젊은창작-보는 것, 보이는 것, 세종문화회관, 서울

           나이트&라이트, 이공갤러리, 대전

           한일 현대미술 교류전, 사이타마미술관, 동경, 일본

2001   나비도상전,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2000   한국현대미술 시대의 표현-눈과 손’, 예술의전당, 서울

           강경-아트. 히스토리. 이미지, 한림미술관, 대전

           머리가 좋아지는 그림, 갤러리사비나, 서울

           뷰파인더 캔버스, 서남미술전시관, 서울

           롯데화랑 개관기념 유망청년 작가전, 롯데화랑, 대전

           21C .일 미술교류전,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용꿈, 성곡미술관, 서울

1999   금호미술관 개관10주년 기념전, 금호미술관, 서울

           한국현대미술-90년대의 정황, 앨런 킴 머피 갤러리, 서울

           이공갤러리 개관기념전, 이공갤러리, 대전

           그리기 그리기, 한림미술관, 대전 / 프랑스문화원, 서울

           전환의봄,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1998   그림보다 액자가 더 좋다, 금호미술관, 서울

           대지와바람,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인스턴트 휴먼, 사이갤러리, 서울

           일상의신화, 선재미술관, 경주

           BOM, 현대화랑, 대전

1997   선화랑 개관 20주년 기념전-6인의 큐레이터 선정, 선화랑, 서울

           현대미술의 표상, 현대화랑, 대전

1996   젊은 모색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95   대전현대미술의 조망, 한밭도서관전시실, 대전

           인프라-페인팅, 한림갤러리, 대전 / 덕원미술관, 서울

           미술, 습관, 반성, 금호갤러리, 서울

1994   김동유, 배준성, 한수정, 허구영 전, 가인화랑, 서울

           공산미술제, 동아갤러리, 서울

           운현궁미술회관 개관기념전, 운현궁미술회관, 서울

1993   박람과 외연전, 홍인갤러리, 대전

           김동유, 복종순, 황영기, 허구영 전, 학천화랑, 청주

           김동유, 배준성, 허구영 전, 3갤러리, 서울

1992   꽃 조각-설치, 현대화랑, 대전

1989   존재전, 현대화랑, 대전

           한밭 회화전, 대전시민회관, 대전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삼성미술관

호암미술관

금호미술관

성곡미술관

대림미술관

사비나미술관

한림미술관

임옥미술관

93미술관

한국민속촌미술관

뉴올리온즈미술관

 

 

 

김동유 기획초대전  <Nothing or Something>

 

 

 

KIM, Dong Yoo


1965   Born in Gongju, Korea


1988   B.F.A Dept.of paintings, College of Fine Art, Mokwon University
1990   M.F.A Dept.of paintings, Graduate school of Mokwon University

 

 

         Solo Exhibitions


2017   Lotte Avenuel Art Hall, Seoul
2016   KIAF Gallery Sesom, Coex, Seoul
          Scope New York 2016, New York, USA
2015   Sis Gallery, New York, USA

            Hasted Kraeutler, New York, USA
            Daejeon Museum of Art, Daejeon
2014   Gallery Sesom, Changwon
2013   Lotte Gallery, Seoul
2012   GALLERY HYUNDAI, Seoul

            Hasted Kraeutler, New York, USA
2011   Gallery Baton, Seoul
2010   Sungkok Art Museum, Seoul
2009   Severance Art Space, Seoul

            LEEHWAIK GALLERY, Seoul
2008   Galerie Von Braunbehrens, Munich, Germany
2007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2005 Art park Gallery, Seoul
2004   Lotte Gallery, Daejeon
2001   Space MOM, Cheongju
1999   Kumho Museum of Art, Seoul
1997   Gallery JO, Seoul
1996   Daejeon Culture Center, Daejeon

            Gallery JO, Seoul
1993   3rd Gallery, Seoul
1989   Hyundae Gallery, Daijeon

 

 

         Group Exhibitions


2017   Singapore Contemporary, Singapore
2016   Art Abu Dhabi, Abu Dhabi, UAE

            Art Miami, Miami, USA
            Art Paris, Paris, France
            ART JAKARTA, Jakarta, Indonesia
            The Painting, Face of Today, Lotte Gallery, Seoul/Daegu
2015   Esprit DIOR,  DDE Seoul

            SCOPE Basel 2015, Basel, Switzerland
2014   Garden,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Constructive Units, James Christie's room, HongKong
            PEOPLE, The Palace of Independence, The Gallery of Modern Art,
            Kazakhstan
            Meaningful Patterns, Art Center White Block, Paju
            Comment about Paintings, I gong Gallery, Daejeon
            ART 14 London, Olympia Grand Hall, London, UK
            Art Stage Singapore, Marina Bay Sands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2013   LA Art Show, LA Convention Center/South Hall J & K, Los Angeles, USA

            Art Palm Beach, Palm Beach County Convention Center, Miami, USA
            The Aesthetics of Imi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Seoul
            ART 13 London, Olympia Grand Hall, London, UK
            Art Stage Singapore, Marina Bay Sands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Singapore
2012   Human is more beautiful than flower, Ilwoo Space, Seoul

            Instruction of the Contemporary Art, Posco Art Museum, Seoul
            Art cultivation, Daejeon Museum of Art, Daejeon
            The Queen: Art &Image, National Museum, Wales/National Portrait Gallery, London, UK
2011   KOREAN RHAPSODY, Leeum, Seoul

            The Queen: Art & Image, Royal Academy, Edinburgh /Ulster Museum, Northern Ireland
            LEEHWAIK GALLERY 10th Anniversary LEEHWAIK GALLERY, Seoul
            Dual Image, Pohang Museum of Steel Art, Pohang
            Image Transit V,  Gallery LUX, Seoul
            Beyond the Blue, GALLERY HYUNDAI, Seoul
            A Glocal View: Korean Contemporary Art, Uppsala Konstmuseums, Stockholm, Sweden
            38°N SNOW SOUTH : KOREAN CONTEMPORARY ART, Gaileri Charlotte Lund, Stockholm, Sweden
            Art of National Division - The Flower on the Snow, Daejeon Museum of Art, Daejeon
            Art stage Singapore, Singapore
2010   KOREAN EYE, London / Singapore, UK / Singapore

            From Seeing To Discovering, I gong Gallery, Daejeon
            Asian Contemporary Art, Convention center, Hong Kong
            Seoul Open Art Fair, Coex, Seoul
            Art DUBAI, Dubai, UAE
            SCOPE New York, Lincoln Center, New York, USA
            KOREAN art show, La.venue, New York, USA
            In the Midst of the Korean Contemporary Art, GALLERY HYUNDAI, Seoul
2009   From Seeing To Discovering, I gong Gallery, Daejeon

            Art & Play - Art in Superstar, Seoul Arts Center, Seoul
            Exhibition of 10 years Ceremony for I gong Gallery, I gong Gallery, Daejeon
            From YEONHUI-DONG, Yeonhuidong Project, Seoul
            Small is beautiful, LEEHWAIK GALLERY, Seoul
2008   Asian Art in London Mayfair, London, UK

            Postwar Contemporary Art, London, UK
            Art Singapore, Suntec, Singapore
            Asia Top gallery hotel art fair, Tokyo, Japan
            30 Jahre Galerie von Braunbehrens, Galerie von Braunbehrens, Munich, Germany
2007   Bridge Art Fair, London / Miami, UK / USA

           Asian Contemporary Art, Convention center, Hong Kong
           Asian Contemporary Art Fair, New york, USA
           Asian Art in London Mayfair, London, UK
           Art Singapore, Suntec, Singapore
           Art Taipei, Taipei show, Taipei
           Beijing Art Fair, China world trade center, Beijing, China
           Small is beautiful, LEEHWAIK GALLERY, Seoul
2006   Art Singapore, Suntec, Singapore

           Asian Contemporary Art, Convention center, Hong Kong
           Best Collections, LEEHWAIK GALLERY, Seoul
2005   Daejeon Art Festival, Daejeon Museum of Art, Daejeon

           Exhibition of 15 years Ceremony for Kumho
 Museum of Art, Kumho Museum of Art, Seoul
2004   Art and Playing Ⅱ, Hangaram Art Museum, Seoul

           Beyond illusion, Shinsegae Gallery, Incheon / Gwangju
           New Acquisitions, Seoul Museum of Art, Seoul
2003   Sense & Sensibility Busan Art Museum, Busan

           City-net Asia, Seoul Museum of Art, Seoul
           The Artists gone to department store, Lotte Art Gallery, Daejeon
           Painting and Painting, Insa Gallery, Seoul
           Moving still-life, do ART Gallery, Seoul
2002   Contemporary Daejeon, Lotte Art Gallery, Daejeon

           Korean  Contemporary  Art  Festival,  Seoul  Arts  Center
           Imagination and Curiosity, Insa Art Center, Seoul
2001   Young Creations Objects being Watched, Objects being Shown in &
out, Sejong Center, Seoul
           Night &Light, I Gong Gallery, Daejeon
           Exchange Exhibition of Korea and Japan contemporary art, Museum of Art Saitama, Tokyo, Japan
           Conography of Butterfly, The Korean Culture &Arts Foundation, Seoul
2000   Korea contemporary arts 'Expression of period - Eyes and hands',
Seoul Arts Center, Seoul
           Kangkyung- Art. History. Images, Hanlim Museum, Daejeon
           Painting makes good brain, Savina Gallery, Seoul
           View-Finder Canvas, Seonam Art Center, Seoul
           Inaugural Exhibition of Lotte gallery- Youth artist, Lotte gallery, Daejeon

           The Exchange Exhib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for 21st Century, Daejeon Museum of Art, Daejeon
           Dragon Dream, Seongkok Art Museum, Seoul
1999   Exhibition of 10 years Ceremony for Kumho Museum of Art, Kumho
 Museum of Art, Seoul
           Korean Contemporary Art Trends in the 90's, Ellen Kim Murphy Gallery, Seoul
           I Gong Gallery Planning Exhibition, I Gong Gallery, Daejeon
           Peindre la Peinture, Hanlim Museum, Daejeon / France Culture Center, Seoul
           Conversional spring, Daejeon Museum of Art, Daejeon
1998   Frame is better than painting, Kumho Museum of Art, Seoul

           Earth and Wind, The Korean Culture &Art Foundation, Seoul
           Instant Human, Sai Gallery, Seoul
           Legends from Daily Life, Sonje Museum of Contemporary Art, Kyongju
           BOM, Hyundae Gallery, Daijeon
1997   The Third Stage in Comumemorating Exhibition of Opening Sun Gallery - 6
 Curators Selected, Sun Gallery, Seoul
           Contemporary Art Exhibition of partial idea, Hyundae Gallery, Daijeon
1996   The   Grouping Youth '96, I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wacheon
1995   The view of Daejeon contemporary arts, Hanbat library, Daejeon
           Infra-Painting,  Hanlim  Gallery,  Daejeon  /  Deokwon  Gallery,  Seoul
           Art, Habit, Reflection, Kumho Gallery, Seoul
1994   Kim Dongyoo, Bae Joonseong, Han Sujeong, Heo Guyoung Exhibition,
 Gain Gallery, Seoul
           Kongsan Art Festival, Dong-A Gallery, Seoul
           Un Hyeon Gung Fine Art Center Opening show, Seoul
1993   Exposition /Out-position, Hongin Gallery, Daejeon

           Kim  Dongyoo,  Bok  Jongsoon,  Whang  Youngki,  Heo  Guyoung  Exhibition, Hakcheon Gallery, Cheongju
           Kim Dongyoo, Bae Joonseong, Heo Guyoung Exhibition, 3rd Gallery, Seoul

1992   Flower sculpture installation, Hyundae Gallery, Daijeon
1989   Existence, Hyundae Gallery, Daijeon

           Hanbat Painting, Daejeon Citizen Hall, Daejeon

 

 

         Collections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Kyongkido Museum of Art
Seoul Museum of Art
Busan Art Museum
Daejeon Museum of Art
Samsung Museum of Art
Ho-am Art Museum
Kumho Museum of Art
Sungkok Art Museum
Daelim Contemporary Art Museum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Hanlim Museum of Art
Imok Museum of Art
93 Museum
Korean Folk village Museum
New Orleans Museum of Art.

김동유 기획초대전  <Nothing or Something>

 

 

 

김동유의 회화미학: 퀀텀과 프랙털 사이에서

 

김병수

미술평론가

 

   1. 리얼한 회화, 혹은 회화의 현실

 

   도대체 리얼이란 무엇일까? 이것은 물리학의 물음일 뿐만 아니라 회화의 의미에 대한 끝나지 않은 물음이다. 회화의 현실을 이루는 것은 어떤 구조일까? 김동유는 단언한다. “내 그림에 정서나 역사는 없다. 내가 관심을 두는 것은 인물과 인물의 이미지가 겹쳐져서 발하는 일종의 시너지이다. 무미건조한 형상들이 오버랩되는 이미지의 창출이다.” 그는 두 차례 다른 자리에서 조형성에 대한 강조를 했었다. 동시대 미술에서 거의 망각 속에 빠진 어휘로 회화의 원리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려던 장면이 인상 깊었다. 우주의 원리도 그렇지 않을까. 학창 시절에는 수소에서 우라늄까지 우주를 이루는 기본적인 모든 물질들을 배열한 멘델레예프의 원소주기율표를 암기하느라 쩔쩔맸던 경험이 있다. 그런데 왜 주기율표는 그렇게 구성되어 있고, 왜 하필이면 그 원소들이 나열되어 있으며, 왜 원소들은 각자의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일까? 이탈리아의 저명한 물리학자 카를로 로벨리는 모든 원소가 양자역학 기본 방정식을 따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면서 신이 두꺼운 선으로 사물의 실체를 그려서 만들었다면, 아마 전자(electron)는 아주 가느다란 실선으로 그린 모양일 것이라고 덧붙인다. 이것은 독일 출신의 천재적인 물리학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를 따른 것이다. “그는 전자가 언제 어느 곳에나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그저 다른 무엇인가가 전자들을 봐줄 때, 즉 무엇인가와 상호작용을 일으킬 때만 전자가 존재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전자는 어느 한 장소에서 무엇인가에 부딪히면 물질화되는데, 이때 물질화된 수치를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한 궤도에서 다른 궤도로의 양자도약은 실제로 전자들이 존재하는 방식입니다. 한 전자가 다른 무엇인가와의 상호작용으로 도약을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방해하는 요소가 아무것도 없으면 정확히 어느 장소에 존재한다고 말할 수 없지요.” 김동유는 자신의 회화가 그러한 장소이기를 원한다.

 

 

   2. 하이퍼리얼리티의 미학과 개념미술

 

   “1990년대에 나는 다양한 기법을 시도하며 나만의 그림 스타일을 구축해나갔다. 그동안 해왔던 작업들을 바탕으로 내 그림에 변화를 주던 시기였다. 그렇게 여러 작업을 하다 찾게 된 스타일은 무심(無心)하고 무정(無情)한 느낌의 점과 도형을 반복하여 어느 형상을 캔버스에 그려내는 작업이었다.

수많은 점들이 모여 안중근 열사가 되기도 하고, 다양한 사이즈의 수많은 원이 여인의 모습으로 탄생하기도 했다. 마치 바닷가에 모래로 만들어진 조각품처럼 캔버스를 모래알 같은 점과 도형으로 형상화하던 시기였다.” 김동유는 2012년 출간된 자신의 그림꽃, 눈물밥에서 밝히고 있다. 담담하게 드러내는 세계는 역설적이게 감동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개인의 인생사가 환기시키는 다큐멘터리보다 미술사의 화면은 냉정하다. 김동유의 회화에 의한 에피소드 혹은 단편은 단순하지 않다. 그의 회화 전체는 부분의 총합이 아니다. 낱낱의 그림만으로 김동유 회화미학을 구축할 수는 없다.

   21세기 회화의 한 현상에 대하여 나는하이퍼리얼리티의 미학으로 2010년에 응대했다. “역사적 정보를 감각적으로 변형시키고 진리를 전설과 뒤섞는 하이퍼리얼리티의 미학은 전체적으로 몽환적이고 야릇한 꿈같은 느낌을 주는 게 사실이다. 그들의 절대적 도상성은 상업성과 결부된 예술성의 문제에 다다라서는 기어코 우리에게 새로운 미적 체험을 주고야 만다. 어제의 극사실에서 느껴지던 서정성은 없다. 굳이 문학성이 필요치 않은 것이다. 그들이 그려내는 세계는 이미지이다. 마음 속에 그려지던 심상으로서의 그리움이 그림이 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가 드러나는 장소로 변한 것이다. 각각의 그림들 옆에 원래의 사물들 혹은 유사한 이미지의 복사본들이 놓이더라도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바로 이어서 그 뿌리의 사례를 들었다. “김동유의 1993년 작세 개의 팔레트(three palettes)가 그것이다. 팔레트 사진을 콜라주한 것, 실제 팔레트 그리고 캔버스에 그린 팔레트가 한 작품인 것이다.” 작가가 간직하고 있는 예술의 형태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오늘날 개념미술에 대한 아이디어와 접속하고 있는 장면이다. 이것과 가족유사성을 띄는 작업이 조셉 코수스의 1965년작인하나이면서 셋인 의자(One and Three Chairs)인데 하나의 의자를 일반적인 의자, 의자를 찍은 사진, 그리고 의자의 사전적 정의, 이렇게 세 가지 방식으로 표현했다. 그는 사물, 이미지, 언어를 사용해 의자의 의미를 동등하게 끌어낼 수 있다는 것을 직접 보여주었는데, 이 작업을 통해 아이디어가 상징하는 사물과 별개로 독립해 존재할 수있다는 점과 하나의 의미가 여러 다른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던 것이다. 수공예 작업적인 김동유의 작업과 맞바로 연결시키기 어렵다고 할 수도 있으나 회화와 현실에 대한 고민을 풀어내는 그만의 방식이 가능해진 지점이 바로 여기라고 할 수 있다. 동시에 동시대 미술이라고 번역되는 컨템퍼러리 아트의 콘텍스트를 획득하는 장면이기도 하다!

 

 

   3. 미메시스와 프랙털

 

   미술계가 글로벌해지면서 역으로 서양미술이 자애스러운 제스처를 취하기도 한다. 김동유의 회화는 이중적이다. 프랙털하면서 역-프랙털하기 때문이다. 미술의 지정학과 동시에 화면의 특징이 그러하다. 그림의 전체 모양과 일부분의 모양이 비슷하게 반복되는 상태가 마치 계속 부서져서 만들어지는 듯해 보이는 느낌이 들어서 붙여진 프랙털이라는 이름은 부서진 상태라는 어원을 갖는다. 프랙털의 표준적인 정의는 하우스도르프의 차원을 이용한 것으로, 엄밀하게 따졌을 때 프랙털이라고 해서 무조건 자기 유사성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수학자 망델브로가 자기 유사성을 고려해서 프랙털이라는 용어를 제시한 바 있기 때문에 좀 더 대중적인 문맥 속에 느슨하게 프랙털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면 오히려 김동유의 작업을 역설적으로 해명할 기회를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의 회화미학은 컨템퍼러리 아트가 취하는 미메시스에 대한 공포를 지속적인 퍼포먼스로 해결하려는 방식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플라톤은 묻는다. “그림은 각각의 경우에 어느 걸 상대로 하여 만들어지는가? 실재(實在; to on)를 상대로 있는 그대로 모방하게 되는가, 아니면 보이는 것(現象; to phainomenon)을 상대로 보이는 것 그대로 모방하게 되는가? 그것은 보이는 현상(phantasma)의 모방인가, 아니면 진실(眞理; alëtheia)의 모방인가?” 이른바 그의 이중그림은 프랙털이면서 역-프랙털이다. 그래서 그는 노골적으로 말한다. “그들의 이미지와 줄거리, 감동 모두가 허구일 뿐이라고 여긴다. 그렇기에 나의 그림은 서정성을 제하고 봐야 한다. 내 이중그림 속 인물들의 사적 비밀은 내게 아무런 의미가 없으나, 그 이미지들의 충돌은 그것을 접하는 이들에게 특별한 정서로 다가갈 것이다.” 갑자기 계산을 한다. 제작자는 감상자의 반응을 염두에 두는 것이다. 자신의 스탠스를 그린다는 행위에 두는 연기를 하면서 잠정적인, 혹은 기대하는 미래에 예상으로 그림을 그린다. 일종의 기약 없는 퍼포먼스라고 할 수 있다. 짐짓 이러한 모방은 일종의 놀이이지 진지한 것이 못 된다는 의미이다. 결론적으로 회화는 진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자신의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이다.(시지포스의 신화, 혹은 노동에 대한 그의 언급은 이렇게 해석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모방술은 변변찮은 것과 어울리어 변변찮은 것들을 낳는 변변찮은 것이다. 그 이유는 친구를 잘못 사귄 까닭이다. 우리 안에서 분별과는 멀리 떨어진 상태로 있는 부분과 사귀면서, 건전하지도 진실하지도 못한것과 동료가 되고 친구가 된다. 이 세계를 눙치면서 김동유는 그리고 있다. 전시의 카테고리, 범주화된 전시로는 잡을 수 없는 회화의 미학이 그에게는 지속되기를 바란다.

 

 

   4. 리얼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

 

   김동유는 회화를 실천하면서 리얼을 답변한다. 그것은 퀀텀과 프랙털 사이라고!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에너지의 최소량 단위인 퀀텀과 우주의 모든 것이 그 구조라는 프랙털 사이를 염두에 두는 회화 방식이 작가의 회화미학이다. 어떤 최소한의 원리나 거대한 미메시스의 작동과는 다른 모색이 거기에 있다. 다양한 변주를 통해 형상의 상처에까지 이른 현재는 모든 순간의 회화미학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지속적인 답변을 그의 작업에서 찾아보게 되는 것이리라.

 

김동유 기획초대전  <Nothing or Something>

 

 

 

Aesthetics of Paintings in Kim Dong-yoo:

Between Quantum and Fractal

 

Kim, Byoung soo

Art critic

 

   1. Real painting or the reality of painting

 

   What does “being real” ever mean? This is an endless question not only of physics but of the meaning of painting. What is the structure consisting the reality of painting then? Kim Dong-yoo affirms: “There are no such things like emotion or history in my painting works. I only pay attention to a sort of synergy produced by the image overlapped between one figure and another. It is the creation of image in which dry and prosaic shapes are overlapped.” He put emphasis on “formativeness or sculptural nature” in two different occasions. Personally, I was deeply impressed by his attitude trying to explain the principle of painting or fine arts with the vocabulary almost fell into oblivion of the contemporary arts. This must be the same with the cosmic principle. When in school, everyone must have had a hard time memorizing the periodic table of the elements of Mendeleev, a tabular arrangement of the basic elements constituting the universe, from hydrogen to uranium. By the way, why is the periodic table composed of that manner? What are the elements arranged for? Why does each element have its own property? Carlo Rovelli, a well-known Italian theoretical physicist explains that every element obeys the basic equation of quantum mechanics, and adds that, if God made substances of things by drawing thick lines, the electron must have the shape drawn in thin lines. This concept coincides with that of Werner Karl Heisenberg, a genius physicist of Germany.  “He thought that electron was not an element, which existed anytime and anywhere. According to him, only when something looks at electron, in other words, when there is interaction with something, electron can finally exist. When electron bumps into something in one place, it transforms into a material. At this moment,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figure of this substance turned into a material. The “quantum leap” from one orbit to another is a method of which the electrons exist in reality. One electron makes a leap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something else. But, if there is no impediment, we can’t say where exactly it exists.” Kim Dong-yoo wants his painting to resemble a place of this character.

 

 

   2. Aesthetics of Hyperreality and Conceptual art

 

   “In the 1990s, I tried a variety of methods and started to establish my own painting style. It was the period of which I began bringing changes to my painting, based on the works done until then. Through many trials, I finally found my own style: It was repeating dots and figures full of emotionlessness and indifference until portraying some configuration on the canvas. With numerous dots, sometimes it made Patriotic Martyr An Jung-geun, and at other times, it created a female figure made of countless circles of different sizes. Like a sculpture made of sand by the beach, I used to give shape to the canvas with sand-like dots and figures.” Kim Dong-yoo clarifies this in his book “Painting flower, meal in tears” published in 2012. Paradoxically, the world he displays with a disinterested attitude moves our heart. The canvas of art history is more cold-hearted than any documentary aroused by an individual life history. The episodes or fragments created by the painting of Kim Dong-yoo are far from being simple. The entirety of his painting is not the synthesis of parts. With only fragmentary painting, it is not fair to establish the aesthetics of paintings of Kim Dong-yoo.

   In 2010, I responded with “Aesthetics of hyperreality” to a phenomenon of the 21st century. “It is true that the aesthetics of hyperreality transforming the historical information in a sensuous way and mixing the truth with legend brings us the oneiric and dreamlike sensations in general. Their absolute iconicity never fails to provide us with a new aesthetic experience, when reaching the problems of artistic values involved in commercialism. There is no lyricism perceived from hyperrealism of the past. In other words, the literary value is not really required. The world portrayed by them is the image. The longing as an image imagined in mind does not transform into a painting but a place where the image is revealed. There will be no big problems even if we place the original objects or some copies of similar images next to each painting.” Then he explained the case of the root. “This is clarified by ‘Three palettes’ of Kim Dong-yoo created in 1993. The collage work of a photographed palette, the real palette and a palette painted on canvas… all form one work.” This is the very scene showing how the overall awareness of the form of art in the art encounters the idea of conceptual art of today. Another work with family resemblance with this can be “One and Three Chairs” of Joseph Kosuth” created in 1965. This work expressed the “chair” in three different methods at the same time: a general chair, a photographed chair, and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a chair. He demonstrated that it was possible to equally draw the meaning of a chair by using objects, images and language. Through this work, he proved that an idea can exist independently from the symbolizing object, and one meaning can be expressed in a variety of forms. The handicraft-like works of Kim Dong-yu may not be directly connected to this nature defined by Kosuth, but this is the very point allowing the way of which he untangles the conflictive relationship between painting and reality in his own manner. At the same time, this is also a scene of which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is acquired.

 

 

   3. Mimesis and Fractal

 

   As the world of art becomes globalized, conversely, “the Western paintings” show a sort of benevolent or affectionate gestures in a way. The paintings of Kim Dong-yoo are double-sided. It is because they have fractal aspects and contra-fractal aspects at the same time. This refers to the geopolitics of a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canvas in general. The repetitive state of the general shape of painting and partial shape seem to be formed by constantly smashing pieces. That is why it is called fractal whose etymological origin is “broken or fractured state.” The standard definition of fractal is based on the “dimension” of Hausdorff. Strictly speaking, not all fractals have self-similarity. However, mathematician Mandelbrot already proposed the term “fractal” in consideration of self-similarity, therefore, if we use this term “fractal” in a bit more popular and relaxed context, this will also give an opportunity to clarify the works of Kim Dong-you, in a paradoxical way though. It is because the aesthetics of his paintings seems to be a method trying to solve the fear for mimesis taken by contemporary art through constant performances.  Plato asks this way: “To which object is the painting created in each case? Is it oriented to the real object (on) and imitate it in a faithful way?  If not, is it oriented to something visible (phainomenon) and imitate it in a faithful way? Is it an imitation of a visible phenomenon (phatasma) or an imitation of truth (Aletheia)?” In other words, his “dual paintings” are fractal and contra-fractal at the same time. For this reason, he tells outright. “I consider their images, plot and impression (emotivity) nothing but a fiction.” That is why it is necessary to see my pictures excluding lyricism. The private secrets of the figures of my dual paintings are not meaningful to me at all, but the crash of such images will approach the person, who contacts them, with special emotions.” He suddenly calculates all this. The producer bears the appreciator’s reaction in mind. While acting that he is drawing his own stance, he paints with the estimation of a provisional future or an expectative future. It is considered a sort of performance without promise. This means that this kind of imitation is a sort of play but nothing to do with something serious. In conclusion, paintings are an act of creating his own work which is located far from the truth (His comment on the Myth of Sisyphus or labor can be interpreted this way). For this reason, mimesis is something insignificant producing something insignificant after being gathered with something insignificant. It is because it got into bad company. Making friends with the part away from discernment in us, it became a friend with those who are not sound or true. Kim Dong-yoo paints while appeasing this world.  I hope that the aesthetics of paintings, which cannot be acquired by the category of exhibitions and categorized exhibitions, will continue with him.

 

 

   4. Constant quest for the real

 

   Kim Dong-yoo puts paintings in practice to answer to the real: “It is between quantum and fractal!” His aesthetics of paintings consists in the concern on the distance between quantum, the minimum unit of indivisible energy and fractal, whose structure is considered all things of the universe. There is a quest in it, which is different from a certain minimum principle or an operation of huge mimesis. The present reached even “wound” of figuration through many variations can be considered the aesthetics of paintings of every moment. For this reason, we may keep looking for the continuous answer to the question of “who are we?” through his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