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전시

지난전시

  • 전시
  • 지난전시

김동기 초대전

  • 전시명:Splendid Sorrow
  • 전시장소:대구보건대학 인당박물관
  • 전시기간:2008-05-06 ~ 2008-06-01

 

 

 

김동기 초대전 <Splendid Sorrow>

 

 

내밀한 사유의 공간속으로

 

생동하는 기운이 부챗살처럼 퍼지는 오월, 인당박물관은 독특한 발상과 기법을 대담한 스케일로 풀어 놓는 작가 김동기의 작품으로 맞으려 합니다. 조급하게 서두른다고 꽃 없이 열매가 영그는 법이 없듯이, 잰걸음이 아니라 단단하고 우직하게 걸러온 이 작가는 침묵으로 깨우치는 묵언의 수련자처럼 느림과 정적인 공간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그의 작품에는 찬란한 슬픔이 묻어나는가 하면 희망이 없는 곳에서 희망을 기다리는 이에게 한없이 따뜻한 위로를 건네기도 합니다.
 
작가는 늘 “화가는 운명의 절벽에서 자신을 던져야 한다”고 말합니다. 나아갈 것인지, 물러날 것인지에 대한 선택의 여지없다는 것이지요. 13시간 이상을 화실에 붙박여 작품을 해왔기에 작품의 양은 방대합니다. 그러한 작가에게서 한 치의 게으름도 허용하지 않는 엄결성과 그림에의 뜨거운 열망을 읽을 수 있었습니다.
 
예술과 창작은 우리에게 잘 가꾸어진 한 그루의 나무가 되어 주기도 합니다. 한 그루 한 그루가 모여 숲을 이루는 것처럼 이 전시회가 세상의 푸른 숲을 이끄는 기틀이 되길 바랍니다. 열정적인 작가 김동기의 날갯짓은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오셔서 그의 아름답고 힘찬 비상을 지켜봐 주십시오.

 



대 구 보 건 대 학   학 장  보현  남 성 희
대구보건대학 인당박물관  관장  소 명 숙

 

 

 

 


Into the space of private contemplation
 

 

May, when everying is full of light and vigor, the lndang Museum will be hosting an exhibition of the works of Dong-gi Kim, who has demonstrated his unique ideas and techniques through his artistic works in a liberal-and open-minded manner. A flower never bears fruith before it blooms, no matter what we do. Likewise, this artist has attained his own way of taking time and going slow in a quiet manner, like a monk who receives enlightenment while remaining silent and composed. Consequently, his works, which are inspired by his splendid sorrow, will infinitely comfort those who are waiting for a ray of hope amid hopelessness.
The artist always says, "An artist shall plunge himself/herself over the cliff of his/her fate." This means that the artist has no choice butto ho forward or go down. It also gives us a glimpse of the serious fact that artists, who have to be stuck in their studio for more than 13 hours a day, should never be lazy and should never lose their great enthusiasm for their art.
Artistic and creative works provide us with the building blocks of self-understanding. Similarly, I hope, this exhibition will provide a momentum to turn our world into a place of deep enjoyment. Dong-gi Kim, as an enthusiastic artist, has already begun to take flight. And you are all invited to come and witness as he soars to the sky.

 

  
Dean of Daegu Health College   Nam, Sung Hee
Director of Daegu Health College Indang Museum   So, Myung suk

.

 

 

KIM, Dong gi

 

Born in 1961, Busan, Korea


B.A KeiMyung University of Fine Arts, Daegu, Korea
M.A KeiMyung University of Fine Arts, Daegu, Korea

 


         Solo Exhibitons


2008   Daegu Health College Arts Center Indang Museum, Daegu, Korea
2006   GaI|ery Boondo, Daegu, Korea
2005   Seoul Arts Center, Hangaram Museum, Seoul, Korea

            KWanhoon Gallery, Seoul, Korea
2003   Gallery M, Daegu, Korea
2001   Gongsan Gallery, Daegu, Korea

 


         Group Exhibitions


2008   old and new-Harmony Suseong Artpia, Daegu
2008   <BIueDoot ASIA> Seoul Arts Center, Seoul, Korea
2007   <New Aspects of Korean Painting> Jeonju Culture &
 Art center, Jeonju, Korea
2006   <KIAF>Coex, Seoul, Korea
2005   <Four people> Hankisook Gallery, Daegu, Korea

             <YoungNam Established Artists> Ulsan Culture & Art Center, Ulsan, Korea
2004   <Life Landscape>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New Direction of Figurative Art> Woobong Art Museum, Daegu, Korea
             <Exchange Exhibition Daegu - Milano> Daegu Culture & Art Center, Daegu, Korea

 


         Collections


Seoul Museum of Art, Seoul
Daegu MBC, Daegu
Daegu Bank, Daegu
Daegu Health College, Daegu

 

 

 

블랙티어스 어둠의 껍질을 벗기다


 

박혜연

미술평론가

 

   예부터 서양에서 검은색은 주로 죽음, 공포 등 불길하고 부정적인 사건들을 암시하는 모티프로 받아들여져 왔다. 독일 표현주의의 형식을 빌려 한국적 감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김동기는 통용되는 부정의 어둠이 아닌, 옛날 우리 어머니들이 밤새 켜놓은 호롱불 아래서 바느질을 하고 귀지를 파주며 타닥타닥 타는 화롯불에 고구마가 익기를 기다리던, 그런 따뜻한 어둠에 깔려있는 토속적인 정서를 이끌어낸다.

 

   그러나 급속도로 변해가는 현대사회로 넘어오면서 어머니 품 속 같은 어둠은 도시 속의 수많은 군중 안에 갇힌 외로운 인간들의 불안한 존재감, 고독, 그리고 소외를 대변하는 오브제가 된다. 작가는 이러한 어둠의 양면성을 '종이를 벗겨내는' 행위를 통해 마치 양파껍질을 벗기듯이 보여준다. 짙은 블랙으로 채운 종이 위를 못으로 긁고 망치로 두들겨 바늘처럼 내리 꽂히는 날카로운 선을 만들고 검게 칠한 종이의 겉 표면을 찢고 벗겨내 그 밑에 꽁꽁 숨겨져 있던 어둠의 하얀 속살과 못 자국의 상흔을 드러낸다.

 

   짙은 외투 속 주머니에 손을 찔러 넣고 퀭한 눈으로 허공을 응시하는 인물은 지탱할 수 없는 인생의 무게에 눌려 물감을 타고 무너져 내릴 것 같은 연약한 인간의 존재를 드러낸다. 막다른 복도 끝에서 나타나 점점 거리를 좁혀오는 인물은 감옥을 연상시키는 어둡고 폐쇄적인 분위기와 문에 붙은 번호와 함께 보이지 않는 힘에 의해 끊임없이 감시 당하고 호명 당하는 현대인의 불안한 정서를 표현한다. 흑백의 강렬한 대비, 판화에서나 볼 듯한 날카롭고 세밀한 선, 2차원적인 평면성의 강조 등은 20세기 초반 독일 드레스덴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표현주의를 정립해나갔던 Brucke그룹 작가들의 작품과 많이 닮아있다. 김동기의 작품들은 이렇듯 정형화된 인물이나 배경이 아닌 날(raw)것의 감정, 느낌의 표현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보편적인 미를 아름다움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작가는 정형화된 아름다움 속에 내재한 허구의 본질을 집요하게 파고든다. 인간과 그 주변의 사물을 포장하고 있는 모든 겉치레와 위선을 벗겨내고자 하는 작가의 욕망은 촛불이라는 또 하나의 중요한 오브제를 통해 표출된다. 작가가 스스로 '촛불인간'이라고 명명한 작품을 보자. '자신을 까맣게 태우고 난 후의 잿더미에서 새로운 미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는 작가의 말처럼 작품 속의 인물은 강렬한 블랙을 배경으로 활활 타오르는 불빛 속에 서서히 녹아 들어가며 흑과 백의 구분을 무료화시키고 있다. 군중 속의 고독을 표현한 또 다른 작품에서는 무표정한 얼굴로 보는 이를 응시하는 무수한 익명의 인물들이 불꽃에 그을린 것처럼 검은 물감을 타고 흘러내린다. 어쩌면 작가는 연소 후에 발견되는 아름다움의 가능성보다는 짧게 반짝이는 찰나의 순간으로서의 연소 그 자체에서 순간으로밖에 존재할 수 없는 미의 단편성을 말하고자 하는 게 아닐까.

 

   김동기의 작품은 얼핏 보기에는 마치 가슴을 짓누르는 듯 무겁게 다가오지만 결코 체념과 상실을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보면 볼수록 어둠을 직시하는 자 만이 얻을 수 있는 궁극의 긍정을 느끼게 해준다. 모든 것을 흡수하고 수용한다는 점에서 블랙이 가지는 매력을 발견했다는 작가는 자신의 작품세계의 지향점을 희망이 없는 곳에서 희망을 기다린다고 표현했다. 뒤틀리고 왜곡된 현실을 직시하며 보일 듯 보이지 않는 희망에 대한 믿음을 버리지 않는 작가의 모습에서 카뮈의 실존주의 철학, 그리고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를 떠올리게 되는 것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한 마디로 김동기는 어둠의 경계에 갇히지 않고 그 너머를 바라볼 수 있는 여유를 가진 작가다. 온 몸에 긁힌 못 자국이 선명한 채 어둠에 웅크리고 앉아 눈물과 같은 눈을 하고 있는 인물은 절망 그 자체처럼 보이지만 그의 품 안에는 마지막 남은 숨을 헐떡이는 듯한 새 한 마리가 희미한 희망의 가능성을 말해주고 있다. 자신의 온기로 꺼져가는 한 생명을 지켜내려는 인물의 모습에서 작가의 휴머니즘을 엿볼 수 있다. 희망의 모티브로서의 새의 이미지는 김동기의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검푸른 파도 속으로 침잠하는 인물의 한 가운데에도 하얀 새가 날아오르고 있으며 바닥에 망연자실 무릎을 껴안고 주저앉아 있는 인물의 주위를 셀 수 없이 많은 하얀 새들이 둘러싸며 어둠은 늘 빛과 함께 오는 것이라는 자명한 진리를 다시 한번 깨닫게 해준다.

 

   회색 빛 어둠을 뒤로 하고 무너질 듯 꼿꼿이 정면을 향해 서있는 인물의 머리 위에는 김동기의 작품을 이해하는 키워드라고 할 수 있는 ‘TRANS (초월)’이 아로새겨져 있다. 여기서 초월이란 단순히 어둠으로부터의 초월이 아니라 우리를 속박하는 모든 규범으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한다. 그런 면에서 작가는 흑과 백, 선과 악, 부정과 긍정을 서로 상반되고 대치되는 이원성의 개념으로 보는 것 자체에서 자유로워져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어둠과 빛은 상호보완적이며 늘 함께 존재하는 것이라는 여유로움을 견지하는 작가의 유연한 태도는 동그랗게 오므린 손가락 사이로 세상을 보는 인물의 모습에서 하나의 유희(play)로 발전한다. 어두운 현실 속에서도 꺼지지 않는 삶에 대한 무한한 긍정은 첼로를 키고 트럼펫을 부는 인물들을 통해 암흑 속에 울려 퍼지는 한 줄기 빛 같은 음악으로 다시 태어난다.

 

   김동기에게 있어서 블랙은 이 모든 것을 드러내며 동시에 감출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표현의 방식이다. 가식적인 밝음을 표방하는 빛 보다는 정직한 어둠이 더 편안하게 다가온다는 작가는 프랑스 작가 알퐁스 도데의 구절에 자신의 작품세계를 비유했다. “인간이 밤하늘의 별을 보며 고향을 떠올리는 것은 인간이 우주에서 온 존재이기 때문이다.”신이 태초에 어둠 속에서 빛을 만들듯이 인간은 어머니 자궁의 어둠 속에서 처음 잉태되어 어둠 속에 눈을 감는다. 이처럼 어둠은 인간 존재의 시작이자 끝이며 아름다움과 추함을 동시에 잉태하고 있다. 눈에 보이는 블랙의 어두운 단면이 아닌, 그 뒤에 가려진 무수한 빛의 단면들을 드러낸다는 점에 있어서 김동기는 그 누구보다도 블랙이라는 색을 자유자재로 변주할 수 있는 탁월한 재능을 가진 작가다. 우주와 같은 그의 작품세계가 나날로 깊어지기를 바란다.

 

 

 
 

 

 

 

 

비밀의 화원 유년의 화원, 그 지독한 성장통을 내장하다

 

고충환

미술평론가


 

   현대인은 좌표 상실의 질병을 앓고 있다. 신을 상실하고 중심을 상실하고 종래에는 자기조차 상실하는 결여와 결핍의식이 현대인의 실존적 위기의식과 자의식을 대변해주고 있는 것이다. 게오르그 짐멜Georg Simmel 은 현대인의 질병을 고향의 상실로부터 비롯된다고 진단한다. 여기서 고향은 실질적인 지리적 의미이기보다는 일종의 원형의식에 가깝다. 그러니까 원형, 뿌리, 본질에 해당하는 궁극적인 그 무엇인가를 결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온통 암울한 비전으로 가득한 김동기의 그림은 이러한 결여의식과 결핍의식, 고향과 원형에의 상실감과 맞닿아 있다. 물론 작가 개인의 경험에서 비롯된 비전이겠지만, 그림들이 드러내 보이는 존재론적 상처나 자의식은 저마다의 심연 속에 도사리고 있는 무의식적 자아와 대면케 함으로써 보편적 언어를 획득하고 있다.

 

 

   무의식적 자아와 대면하다

   김동기의 그림은 대략 된 블랙 티어스 연작(2003년 전후로 집중적으로 제작), 된 비밀의 화원 연작(2005년 전후로 제작), 그리고 2008년 최근의 소위 칼 드로잉 연작으로 구별해볼 수 있다. 이는 형식적인 측면에서의 구별일 뿐, 그림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이나 주제의식 면에서는 서로 내통하고 있다. 그러니까 블랙 티어스 연작은 종이에다 망치로 드로잉 하듯 그린 그림으로서, 어두운 화면이 불러일으키는 암울하고 격렬한 내적 파토스와 감정의 직접적인 표출이 어필돼온다. 그리고 캔버스에다 붓으로 그린 비밀의 화원 연작은 전작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정적이고 관조적인 인상이 짙다. 감정을 전달하는 방식이 직접적인 방식으로부터 우회적이고 은유적이며 암시적인 방식으로 변화했다고나 할까. 근작은 주로 드로잉의 감각이 두드러져 보이며, 이로부터 인간 존재의 심연을 파고드는 강력한 호소력이 느껴진다.

 

   비밀의 화원에서 작가는 자신을 꽃들 중에서도 특히 백합과 동일시하는 한편, 이를 통해 유년시절에로의 회귀를 감행한다. 특히 두 연작이 내용이나 주제 면에서 더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는데, 이를테면 비밀의 화원은 사실상 유년의 화원으로서 일종의 성장통을 내장하고 있으며, 그 증상이 불러일으키는 암울한 비전이 심연과도 같은 블랙티어스 연작과 연결돼 있는 것이다. 반면 칼 드로잉 그림에서 엿보이는 섬세하고 장식적인 인상은 형식적으로나 내용적으로 작가의 여느 그림들과는 사뭇 다른 인상이다.

 

   김동기의 그림에는 이처럼 타자의 시선을 의식하고 자기 내면으로 숨고자 하는 자아가 그려져 있는데, 이때 그는 현실원칙으로부터 벗어나 무의식적 환상에로의 도피를 감행한다. 여기에는 자기가 자기를 대면하는, 자기가 자기를 보는 일종의 자기반성적 과정이 덧붙여진다. 의식적인 자아가 무의식적인 자아와 대면하고, 현실의 자장에 속해있는 자기가 현실원칙에 의해 밀려난 억압된 자기와 만난다. 주체와 타자와의 관계에 대한 의식과 함께, 의식적인 자아와 무의식적인 자아로 분리되는 자기소외현상이 중첩돼 있는 것이다.

 

   이러한 소외현상이나 반성적 과정과 관련된 그림들 가운데 특히 손에 식물의 구근을 들고 물에 반쯤 잠겨 있는 자화상이 눈에 띤다. 여기서 식물의 구근은 에로스 즉 삶의 충동을 상징하고, 검은 물은 타나토스 즉 죽음충동을 암시한다. 이로써 삶과 죽음의 귀로에 선 자신을 표현한 것이다. 검은 물 같은 존재의 심연을 들여다보면 누구든 그렇게 느끼지 않을까 싶다. 다만 현실원칙과 타협함으로써 애써 그 실체를 외면하고 있을 뿐.

 

   또한 검은 물은 자기 반성적 계기로 이끄는 거울이며, 그 물거울이 나르시스의 샘과 동일시된다. 주지하다시피 나르시스가 샘에서 발견한 것은 자기가 아닌 타자의 얼굴이며, 아기가 거울을 보고 웃는 것 또한 자신에 대한 확인이 아니라 그저 눈앞에서 움직이는 형상에 반응하기 따름이다. 나는 결코 나의 실체를 볼 수도 붙잡을 수도 없는 것이다. 나는 나를 통해서 다만 나와 다른 어떤 존재를, 나를 빼닮은 어떤 존재를, 그리고 유혹적인 만큼 죽음의 망상에 사로잡히게 만드는 도플갱어를 대면할 수 있을 뿐이다. 자실을 암시하는 작가의 여느 그림에서는 자기의 분신을 단죄하고 엄벌하고 마침내는 죽이기조차 하는 심리적 징후가 느껴진다. 목에 밧줄을 걸고 죽어가는 나의 죽음에의 비전이 나의 분신인 백합꽃을 손으로 비틀어 꺾는 행위에 의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내가 유년의 화원에서 불러낸 백합은 마침내 물에 빠져 죽은 나르시스처럼 비극적 종말을 화려하게 장식해줄 따름이다.

 

   이 죽음에의 유혹, 이 지독한 성장통, 이 치유 불가능한 트라우마에 대한 지나치리만큼 치열한 자의식은 미학과 예술이 만들어준 상상력과 비전이 아니라면 이 부조리한 세상을 어떻게 정당화할 수 있겠는가.

 

   마구잡이로 북북 그어댄 듯 흘러내리는 비정형의 얼룩이나 스크래치, 이를 통한 최소한의 실루엣 형상, 그리고 지우기를 반복한 흔적으로 간신히 드러나는 형상···. 이 일련의 암울한 그림들을 작가는 종이에다 망치로 그리는데, 주로 작은 손망치의 장도리 부분을 날을 옆으로 세워서 그린다. 섬세하고 속도감이 느껴지는 세선이 두드러져 보이고, 판화에서의 표면요철효과마저 느껴진다. 이로 인한 비정형의 얼룩과 스크래치가 내면의 상처를, 존재론적인 상처를 연상시킨다. 형상을 그려놓고 재차 그 위에 붓질을 가해서 그 형상을 지우는 것에서는 자신의 정체성을 무로 되돌려놓으려는 의지의 표현이거나, 자족적인 존재감이 박약한 상태를 반영하고 있다. 망치로 드로잉 하는 과정 중에 때론 안료 층 이면의 종이가 너덜너덜해지기도 하는데, 이는 그 자체 어두운 화면과 대비되는 조형적인 효과와 더불어 결정적으론 종이처럼 너덜너덜해진 작가의 심리적 정황이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이로써 블랙티어스 연작은 단순히 형식적인 요소나 그 특질에 중점을 두었다기보다는, 그 자체 심리적 표상으로 일컬어질 만한 내면적 초상을 내장하고 있다.


 

   되돌아갈 수 없는 곳에 대한 향수, 불가능한 욕망을 표출하다

   김동기는 유년시절에 학교가 파하기가 무섭게 서둘러 집으로 돌아와 온갖 화초들을 가꾸는 일이 주요 일과였다고 한다. 원예전문가를 꿈꾸기조차 했다고 하니 작가의 꽃에 대한 사랑과 조예가 남다를 것이다. 그 기억을 되살린 그림이 비밀의 화원 연작이다. 비밀의 화원 연작은말하자면 블랙티어스 연작에서의 존재론적 상처와 자의식을 치유하기 위해 부러들인 유년의 정원이면서, 이와 동시에 현재의 이상이 투사된 가상의 정원인 것이다. 꽃과 남자 연작으로도 알려진 이 시리즈 작업은 캔버스에다 붓으로 그린 그림으로서, 종이에 망치로 그린 블랙티어스 연작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정적이고 관조적이다. 그 이면에선 유년의 정원 혹은 화원에로의 회귀 본능이 확인되고 있는데, 이는 그 자체 일종의 원형의식과 맞닿아있다. 그러니깐 잃어버린 것들, 상실한 것들, 돌이킬 수 없는 것들, 어른이 되기 위해 접었던 것들을 불러일으킨다(자크 라캉에 의하면, 유아가 자족적인 상상계로부터 언어와 기호가 지배하는 상징계로 건너가기 위해 타협하고 포기하고 억압한 것들).

 

   형식적인 면에서 일련의 금속성분 즉 철, , , , 산화철, 진주가루 등을 연한 젤에 섞어서 엷게 여러 번 칠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주로 검정색이나 회흑색의 화면으로 마무리된다. 이로써 암울한 화면 한가운데로부터 은근하게 빛을 발하는 발광효과가 특유의 분위기를 연출한다. 이때 빛은 외부로부터의 물리적인 빛이라기보다는 작가의 내면에서 유래한 심상의 질감처럼 느껴진다.

 

   이처럼 김동기의 그림을 특징짓는 것은 형식적인 특질보다는 내용적인 측면이다. 그림에서 작가는 꽃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한편, 여타의 자연에다 스스로를 동화시키고 있다. 발기한 성기를 그대로 노출시킨 천진난만한 모습에서는 문명의 옷을 벗고 자연인으로 되돌아가고 싶은 욕망이 읽히는가 하면, 몸에서 온갖 꽃들이 피어나는 것에서는 자신의 몸을 꽃들에게 숙주로 내어줌으로써 자연과의 동화현상을 실현한다. 꽃 중에서도 특히 백합은 순수함으로 인해 유년의 자아(혹은 잃어버린 원형)를 상징하며, 하얗고 투명한 속살의 질감이 여성을 암시한다. 작가는 발기된 성기를 스스럼없이 꽃잎에다 들이대기도 하고, 머리만큼이나 큰 꽃잎 속에 손을 집어넣기도 하고, 심지어는 꽃을 먹기도 한다. 더불어 물고기 혹은 새 형상으로 대체된 눈에서는 아마도 물고기의 눈으로 세상을 보면 뭍과 물이 다르지 않고, 새의 눈으로 세상을 보면 하늘과 땅이 같은 것임을 주지시키는 듯하다.

 

   이렇게 비밀의 화원 연작에서는 은어들처럼 세월의 기슭을 거슬러서 유년의 시절로 되돌아가고픈 무의식적 욕망이 읽히며, 어른이 되고 싶지 않은 아이인 키덜트 현상이 감지된다. 역설적으로 이중섭의 동화적 판타지가 사실은 고단했던 시대가 만들어낸 산물이듯, 작가의 환상 역시 동화적 상상력을 인정하지 않는 차가운 현실을 증언한다. 일종의 반어법으로써 부조리한 삶을 극화하고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 일련의 그림들은 비록 작가 자신의 주관적인 경험과 그로부터 추상된 동화적 판타지를 재현한 것이지만, 다만 그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누구나 할 것 없이 그림이 주는 환상이나 심리적 외상을 의식하고 있는 탓에 쉽게 공감을 자아내고 보편성을 획득한다.

 

   그러나 정작 작가가 암시적인 표현을 위해 불러낸 유년의 정원은 블랙티어스 연작에서의 트라우마보다 오히려 더 강력하게 존재론적 상처의식과 자의식을 환기시킨다. 그것이 되돌아갈 수 없는 곳에 대한 향수, 불가능한 욕망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온통 회흑색의 화면이 암울한 정서를 자아내며, 인간 일반의 실존적 위기의식과 자의식을 테마로한 부조리 연극을 보는 것 같다. 내적 파토스의 즉물적인 표출에 연유한 표현주의와 주정주의를 넘어, 자기 내면을 투시하는 인간의 자기반성적 경향성을 엿보게 된다. 이로써 무의식적 자아에 내장된 어둠 자체와 대면케 한다.

 

 

 

 

 

 

에게해의 진주 기억의 심연으로부터 불러낸 아름다움


 

김영동

미술평론가

 

   '칼 드로잉(drawing by knife)'

 

   <에게해의 진주> 시리즈는 캔버스에 종이를 바르고 배경색을 칠한 다음 그 위에 예리한 칼로 형상을 오려내며 만들어 낸 것이다. 짙은 색의 바닥에서 박리되어 나오는 종이쪽이 흰색의 자국을 남기며 선묘를 형성한다. 마치 소묘를 하듯 예리한 선으로 도려내며 드로잉해서 흑백으로 현출된 그림은 종전의 굵은 윤곽선으로 그려지던 단순한 형상들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이전의 화면에서는 수묵화적인 분위기와 함께 내면적이고 주관적인 상징성을 탐색했다면 여기서는 그것을 아주 세련되고 명료한 이미지로 추구한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붓 그림에서 느낄 수 있었던 다소 둔중한 느낌의 서정성을 수려한 선들로 짜인 섬세하고 복잡한 형태의 울림으로 바꾸어놓았다. 아주 공들인 분위기가 대작의 인상을 풍기기에 충분한데 다만 전체적인 구성에서 장식성이 개입될 여지는 없는지 주시된다.

 

   작업의 과정을 보면 판화의 제작과도 닮았다. 마치 고무판위에 잉크 칠을 해놓고 새겨나가는 것과 비슷해 보인다. 캔버스에 종이를 배접한 뒤 종이 표면에 여러 차례 안료를 덧발라 두꺼운 층을 만들었기에 새김의 깊이가 얇아야하는 것과 뒷면의 캔버스 천에까지 칼날이 들어가서는 곤란하기 때문에 매우 조심스럽게 진행되어야하는 꽤 까다로운 공정이 수반된다. 무엇보다 밑그림 없이 바로 화면에서 시작하여 끝맺는다는 점에서 작품의 시간적 공간적 일회성이 특히 강조된다. 그러나 기술이 숙달되기 전 초기에 겪던 곤란들도 곧 활수한 손놀림에 의해 해결되면서 예기치 않았던 개성적인 작품이 출현했다. 즉흥적이면서도 집중적인 주의력과 독특한 작업방식에 적응한 능란한 테크닉이 빚어낸 결과는 이전의 작업들과 정서적으로 연결되면서도 방법상의 새로움 덕택에 또 다른 감수성을 표현해내게 되었다.

 

   '칼 드로잉' 작품의 표현상의 특징은 톤의 변화가 없는 하드에지(hard-edged)의 선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다. 분위기를 산출할 톤의 변화가 없는 대신 정교하고 복잡한 선묘가 구성에 의해 전체의 조화를 만들어 낸다. 만약 거기서 미적 假像을 의식하여 장식적인 의도에 지배당하게 되면 직접적인 표현들의 생명성은 퇴색된다. 그렇게 되면 섬세한 감수성에 바탕을 두면서 일상과는 거리가 멀어진 이상화된 아름다움을 추구한 아르누보 양식처럼 리얼리티를 잃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련미에 이르기까지 그가 거친 또 한 단계의 과정은 이 새로운 감성이 단순히 붓 대신 칼을 사용한 도구만의 변화도, 본능에서 세련으로의 변화만도 아니란 사실을 깨닫게 한다. ‘칼 드로잉에 이르기 전에 망치, 조각칼, 못 같은 우리에게는 낯선 도구로 거친 원시성이 느껴지는 본능의 순수함을 표출하고 있었다.

 

   작가는 주제와 소재를 자신의 경험과 기억에서 길어내고 있다. <에게해의 진주>라는 제목은 흘러간 시간에서 자신의 을 찾는 일에 하나의 모티프 구실을 한다. 페넬로페라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오디세우스 부인의 이미지를 통해 그는 자신의 기억에 내재한 경험을 불러내고 있다. 그것은 아우라를 가지고 있는 이미지들인데 즉흥적인 칼놀림과 함께 도취적인 열정의 리듬을 지니고 있다. 바로 "생의 흐름을 관조적으로 현재화 시키는 일" 그는 그것을 작품을 통해 실현화하고 있다.

 

 

 

Black tears Peeling Away the Skin of Darkness

 

Park, Hae Yun

Art critic

 

   Since ancient times, the color black has been used as a motif in the West to conjure up images of ominous and negative

   Incidents such as death and horror. Kim Dong-Gi, in his effort to express Korean sentimentality in the form of German expressionism, elicits a nostalgic ethos of a “Warm” darkness, in which our mothers used to do needlework, clean our ears, or bake sweet potatoes in the charcoal burner.

 

   However, as society transitions to rapidly changing modern life, the “warm darkness like a mother’s embrace”(quotation from the artist), is transformed into an object that represents the insecure existential crisis, loneliness, and isolation of restless individuals caught in the middle of an urban crowd. Theartist exposes such double-sided nature of darkness through the action of peeling off the paper, just like peeling away layers of an onion. Over the paper painted in thick black, Kim creates needle-sharp lines by scratching and hammering the surface with nails. Then he carefully rips and peels off the uppermost layer of the paper to expose the white skin of darkness and nail marks.

 

   The image of a person who stares blankly into the empty space with his hands buried deep inside his coat pockets reveals the fragile existence of a human being who is about to dissolve into a flow of paints, burdened by the unbearable weight of life. An ominous figure who appears from the end of the hallway and narrows down his distance towards the viewer evokes images of a prison, along with the numbers written on the doors ?it expresses the anxiety of modern day individuals who feel as if they are constantly supervised and called out by an invisible force. The stark contrast between black and white, sharp and sensitive lines that remind one of a lithograph, emphasis on the two-dimensionality of the surface are similar to the works by the Brucke Group who worked in Dresden at the beginning of the century, paving away the path for German Expressionism. As such, Kim Dong-Gi’s works focus on expressing the raw emotion and feeling of a subject instead of a standardized figure or landscape.

Claiming that “I cannot accept a universally accepted beauty as beauty,” the artist tenaciously chases after the emptiness that lies within a constructed beauty. His desire to expose every hypocritical surface which embellishes a human being and the objects surrounding him, is conveyed through another important object, namely, the candle. Let us take a look at the work that the artist entitled “Candle-Man.

” Just like the artist’s statement that “I discover the possibility of a new beauty in the heaps of ashes left after the candle burns itself,

” the figure in the painting is slowly melting into the burning light against the dark background, obliterating the distinction between black and white. In another painting, numerous individuals staring blankly at the viewer look as if they are about to dissolve into liquid along with the black paint that looks like soot. Perhaps the artist wants to address the ephemeral nature of beauty that can only exist as a fleeting moment in the process of combustion rather than divining the possibility of a beauty that can be found after the task of self-combustion is completed. 

 

   At first glance, Kim Dong-Gi,s works seem to engulf the viewer with heaviness. However, they do not speak of renunciation or loss. Instead, upon multiple viewing, the artworks start to convey the message of an ultimate affirmation that is available only to those who can stare straight into the eye of darkness. Confessing that he was attracted to the color of black because it absorbs and embraces every light, Kim expressed his philosophical standpoint as "waiting for hope in a place without hope.” It is perhaps no coincidence that one is reminded of Albert Camus’s existential philosophy or Samuel Beckett’s

 

   Waiting for Godot when viewing the works of Kim Dong-Gi, who never abandons his belief in an invisible hope even when standing eye to eye to an ugly and twisted reality.

 

   In short, Kim Dong-Gi is an artist who possesses the ability to see beyond the darkness instead of being caught within its boundary. The figure with an eye like tears who crouches in the dark with nail marks all over his body seems like the ultimate representation of despair itself; however, the image of a bird drawing its last breath within his arms hint at the vague possibility of hope. We witness the artist’s humanism in the figure’s attempt to safeguard a withering life with the warmth of his body. The image of a bird as a metaphor for hope constantly appears in Kim Dong-Gi’s works. A white bird flies away as a figure drowns into the black waves of the sea. Numerous white birds surround the vicinity of a figure crouched on the floor with despair, reminding us of the irrefutable truth that darkness is always accompanied by light.

 

   Over the head of a figure who stares out at the viewer upfront against a grey background, one can find the word “TRANS” written across the surface. It is the keyword to understand Kim Dong-Gi’s artwork. Here,

 

   “TRANS’’refers not only to a transcendence from darkness, but a freedom from every device that entices us. In that sense, the artist is saying that we need to free ourselves from seeing black and white, good and evil, negation and affirmation as an oppositional concept set up against each other. The artist’s flexible belief that darkness and light are complementary and exist alongside each other is transformed into a kind of play in the figure who sees the world through the circle formed by his thumb and index finger. The infinite affirmation toward life that cannot be extinguished in the midst of dark reality is born again as the music of light played by the cellist and the trumpeter in the paintings.

 

   To Kim Dong-Gi, black is the most effective means of expression in both revealing and hiding all this.

 

   Confessing that he feels more comfortable in an honest darkness than a hypocritical brightness, the artist likened his work to the words of French writer Alphonse Daudet: “The reason humans think of home when gazing at the stars in the dark is because they are beings who originally came from the universe.”Just as God crates light from darkness in the beginning, man is first conceived in the darkness of the mother *s womb andends his life in darkness. As such, darkness is the beginning and end of human existence and conceives both beauty and ugliness at the same time. As an artist who can reveal not only the dark side of black, but also its countless dimensions of light hidden behind the dark facade, Kim Dong-Gi is an artist with remarkable talent. I look forward to witnessing the continual growth and maturity of his world that is as grand as the universe.

 

 

 

 

The secret garden

A flower garden of childhood suffering with the pains of growth

 

  Kho, Chung hwan

art critic

 

   Modern people suffer from the disease of losing their coordinates. Modern people* s existential consciousness of crisis and their self-awareness are typically attested in their sense of what they have lost, including the loss of their God, focus and even ego. George Simmel said that modern people* s disease started with their loss of hometown. Here, hometown does not refer to a real geographic entity but implies a sense of archetype. In other words, modern people have lost their archetype, root, essence or the ultimate.

 

   Dong-gi Kim, s paintings, which are filled with gloomy visions, describe such a sense of loss 一 the loss of hometown and archetype. Of course, the visions are derived from the artist* s personal experiences. However, the paintings show modern people’s ontological wounds or self-awareness, which force them to face their unconscious ego crouching in their psychological abyss and which may be expressed in a universal language.

 

   Encountering the unconscious ego

   Dong-gi Kim’s paintings may be largely divided into the Black Tears continuous work (primarily created around 2003), the Secret Gardencontinuous work (created around 2005), and the so-called knife drawing continuous work created in 2008. This division is made according to the paintings forms, but their contents and subject matter intertwine with one another. More concretely, the Black Tearscontinuous work consists of paintings created with a hammer on paper in the same way a drawing is created. The direct description of gloomy and violent internal pathos and emotions is impressive, which should be incited by the dark scenes of the paintings. The Secret Gardencontinuous work, which is drawn with a brush on canvas, gives a relatively stable and contemplative impression than the previous continuous work. The way for communicating emotions has been changed from a direct one into one that is roundabout, metaphorical and suggestive. Kim* s recent works mostly highlight her facility with drawings and, subsequently, strongly appeal to the abyss of human existence.

 

   In The Secret Garden, the artist particularly identifies herself with a lily among other flowers and, while doing so, dares to regress to her chldhood days. In particular, the two continuous works are more organically connected with each other in terms of content and subject matter. For example, The Secret Garden is in fact a flower garden from the artist's childhood, through which she expresses the pain of growth, whose instigators include gloomy visions connected to the Black Tearscontinuous work, which in turn seems to represent an abyss. In contrast, knife drawing paintings demonstrate a delicate and decorative impression, which appears to be much different from other paintings of the artist in terms of form and content.

 

   As such, Dong-gi Kim’s paintings portray her ego that is conscious of others* eyes and tries to take cover in itself. In this manner, the artist tries to get away from all the principles of reality and escapes into unconscious fantasies. Here is an additional sort of self-reflective process through which the artist encounters and stares at herself. The conscious ego encounters the unconscious ego, and the ego that belongs to the magnetic sphere of reality finds itself pushed away and suppressed by the principles of rea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others is perceived, and self-estrangement takes place while the ego is divided into the conscious ego and the unconscious ego.

 

   Among such paintings that are related to the theme of estrangement or the reflective process, a self-portrait, which depicts the artist holding a bulb of a plant in her hands and whose body is half-drowned in black water, will win particularly more attention from appreciators. The bulb symbolizes Eros or the impetus of life, and the water implies Tanatos or the impetus of death. This work expresses the artist herself who stands at the crossroads of life and death.

 

    Anyone may have the same feeling when one looks into the abyss of one’s existence, which is analogous to the black water. Nevertheless, people will just compromise with the principles of reality and endeavor to turn away from reality.

 

    Furthermore, the black water corresponds to a mirror that reflects the artist herself, and the water mirror is identified with the spring of Narcissus. As is generally known about the myth, what Narcissus found in the spring was not his face but that of anothers. It is not because a baby confirms itself but it merely responds to a moving thing in front of it, that the baby smiles at a mirror. You can never grasp or see your substance. You can merely see another existence analogous to your own, very similar to you, and find the Doppelganger, which is so tempting as to make you lost in wild fancies of death. The artists other paintings, which are suggestive of suicide, have clues that the artist shall condemn, severely punish and, at last, kill her other self. A vision of the death of you, who are dying on a rope hanging around your neck, is underscored by your action of twisting off a lily flower, which is your other self. The lily, which you have called out of the flower garden of your childhood, just serves as a gorgeous decoration to the tragic end of your life, like Narcissus whose life ended in drowning.

 

   Without imaginations and visions incited by aesthetics and art, whatsoever can justify our unreasonable world, which is packed with temptation to death, severe growth pains, and excessively high self-consciousness of our incurable trauma?

 

   Atypical spots or scratches made by the careless drawing of lines, subsequent minimum silhouette profiles, and shapes barely formed by repeated drawing and erasing the artist draws a series of these gloomy paintings on paper with a hammer, or more specifically, with the blade of a hammer-head. Prominent are the three subtle lines that seem to be moving so fast that the surface relief effect of engraving can be felt from them. The lines remind us of internal wounds or ontological wounds, which are formed by atypical spots or scratches. The artist makes strokes with a brush over formed shapes so that the shapes may be erased. This action is an expression of the artist’s will to nullify her own identity, or a reflection of the poor self-sufficient sense of her existence. In the process of drawing with a hammer, sometimes the paper under the pigments is torn and tattered. This itself is in formative contrast with the dark canvas and clearly depicts the psychological condition of the artist, which is reduced to rags and tatters like the drawing paper. In a word, the Black Tearscontinuous work does not simply focus on formal elements or their characteristics, but comprises an internal portrait, which may be called a symbol of the psychology of the artist.

 

   Expressing the nostalgia for the place where you cannot return, an unrealizable desire

   In her childhood days, Dong-gi Kim made it a rule that she would come back home immediately after school and cultivate flowering plants. She was so fond of flowers and knew so much about them that she once dreamed of becoming a horticulturist. Such memories materialized in her paintings called The Secret Garden continuous work. In a sense, The Secret Garden continuous work is the garden of her childhood, which is invited in just to cure her ontological wounds and self-consciousness depicted in the Black Tearscontinuous work. The garden is an imaginai one, upon which the ideal of the present is projected. This series of work, which is also known as "flower and man continuous work," are paintings drawn with a brush on canvas and more static and contemplative than the Black Tears continuous work, which is drawn with a hammer on paper. In these works is confirmed an instinct of the artist to regress to a garden in her childhood or flower garden, which is a kind of archetype consciousness.

 

   That is, the works remind us of what is lost, forfeited, unable to return, and sacrificed for 니s to be an adult the words of Jacques Lacan, what infants have compromised with, given up on and suppressed in order that they may depart from the self-sufficient world of imagination to the world of symbols where languages and signs are predominant).

 

   A formal procedure to create a painting includes that of a soft gel mixed with several metals such as iron, gold, silver, copper, oxidized steel and pearl powder and then, the mixture is brushed many times, resulting mainly in a black or grayish black screen. The procedure contributes to the creation of a particular ambience in which dim light is shed from the gloomy screen. This light is not identified as a physical one coming from the outside but a psychological one emanating from the artist* s imagery.

 

   Therefore, Dong-gi Kim’s paintings are not characterized by their formal traits but by their contents. In her paintings, the artist identifies flowers with herself and assimilates herself into the other things of nature. From the artist’s innocent action to show erected genitals as they are, you can perceive the artist’s desire to get off the clothes of civilization and regress to a natural state. Meanwhile, all kinds of flowers bloom from the body of the artist, which realizes her intention that herbody should be given to flowers to be their host and assimilated with them. Among such flowers, the lily is so pure that it can symbolize the ego of the artist in her childhood (or her lost archetype), and its white and transparent skin indicates that theartist is a woman. The artist does not feel ashamed in putting erected genital organs onto flower petals, her fingers into petals that are as big as her head, and even eating the petals.

 

   Furthermore, her eyes are substituted by the form of a fish or bird, for the eyes of a fish do not distinguish land from waters and those of a bird consider heaven to be the same as the earth.

 

   As is self-evident in the above, The Secret Garden continuous work reveals the artist’s unconscious desire to regress hack to the old years or returning to her childhood days, a desire to remain a kid or be a “kidult”. It is a paradox that as Jung-seop Yi’ s childhood fantasy is in fact a product of troubled times, so the artist* s visions also demonstrate the cool reality that does notacknowledge childhood imagination. In an ironic way, the works dramatize and highlight human beings unreasonable life. This series of paintings is a reproduction of the artist’s subjective experiences or her nonrepresentational childhood fantasies. So,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pectators appreciation, any appreciator can easily sympathize with the paintings, because people universally share the visions psychological trauma that the works represent.

 

   However, the artist herself resorts to suggestive expressions embodied in the garden of her childhood, which depicts her ontological trauma and self-consciousness in a stronger manner than the Black Tearscontinuous work does. It is because The Secret Garden continuous work is based onthe nostalgia for a place she cannot return to, her unrealizable desire. The sheer grayish black screen represents gloom and reminds us of an absurd play whose themes are derived from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of crisis and self-consciousness of the common man. The work goes beyond expressionism and emotionalism originating from the realistic expression of internal pathos and is inclied toward self-reflection, which sees through the interior of human beings, so that we can face the darkness itself that is locked in our unconscious.

 

 

 

 

Pearl of the Aegean Beauty Invoked from Repository of Memory: Drawing by Knife

 

Kim, Young dong

art critic

 

   The series, Penelope was created by a sharp cutting on large canvases pasted with black-colored paper.

   When the paper is carved out from the background, it leaves white traces and composes black and white line-drawings. This time, his graphical images which are drown by fine cut lines present comparatively different atmosphere from his former simple shapes: they were expressed by thick contours. In his former work which delivers the feeling of Indian ink paintings, he searched inner and subjective symbolism. Now he seems to persue it with highly refined and plain images. In other words, he changes lyricism which brush paintings have into the sound of shapes which are delicate and complicated. Although they can be fully treated as masterpieces due to the elaborated ambience, he should be very cautious not to focus on adornment in the total composition.

 

   His working process is similar to that of woodcut graphic art: it looks like carving on inked rubber plates The first step is to paste paper on a canvas, and the next is to make thick layers by applying pigment repeatedly. This papered background requires him delicate hands only to cut out the papers without damaging the canvas. Above all, it is notable that he begins his work without background drawing and finishes it. This emphasizes on its uniqueness. However, some difficulties he used to have when he was not accustomed with this technique are unraveled by his adroit hand. This brings us unexpected individual work. Once his hand acquired the skill which needs improvisation and acute intensity, the result is that he is able to maintain emotional tying with former work and express another kind of sensibility thanks to new technical approach.

 

   The characteristics of his work in Drawing by Knife’ are that it has no tonal variation and is composed of hard edged lines. Instead of giving his work varied tones, he produces total harmony with elaborate and complicated lines. The more he is drown by the decorative intention of producing beautiful semblance, the more his expression may lose its unique and direct life force. If so, the same as Art Nouveau style which seeks the idealized beauty that keeps the distance from ordinary lives but is based on subtle sensibility, there is a danger of losing its reality. Another step he preformed to reach this polished style makes us realize that neither is this new sensibility the change of his tools from a brush to a knife, nor the change from instinct to refinement. Before he produces his 'knife drawing’, work, he has reflected the innocence of instinct by using unfamiliar implements, such as a hammer, a carving knife, and a nail.

 

   He brings his theme and subject matter from his past experience and memory. The music Penelope becomes the motif in forming the images of his past. With the image of a Greek heroin, Penelope, Odysseus" wife, he invokes his inner experience which buries under his memory. It has its aura and at the same time it has the refined rhythm of intoxicated passion. He applies this into his work: "Turning to the contemplative actualization of the stream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