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전시

지난전시

  • 전시
  • 지난전시

대구보건대학 아트센터 기획전 곽훈 초대전 郭薰 KWAK HOON

  • 전시명:우주적 생명의 빛
  • 전시장소:대구보건대학 대구아트센터
  • 전시기간:2006-09-20 ~ 2006-10-29

 

 

곽훈 초대전 <郭薰 KWAK HOON>

 

 

이상(李箱)의 구절처럼 ‘가을이 엽서 한 장에 적을 만큼씩’ 다가오고 있는 이때, 우리 대학 아트센터에서

 

곽훈선생님의 초대전을 열게 되어 무척 기쁘게 생각합니다.

 

 

잘 아시다시피 경북 달성 출신인 곽훈 선생님은 대구에서 성장하여 서울대 미대를 졸업한 후

 

30여년간 미국화단에서 활동해 온 세계적인 작가입니다.

 

선생님께서는 그동안 대승불교의 禪에 사용되는 <다완>이나 실패의 형태를 변형시킨 <주문呪文>,

 

생명의 시작과 끝을 상징했던 <기氣>,<겁劫> 시리즈를 비롯하여 옹기 설치 작업이나 퍼포먼스 등으로

 

한국 자연과 풍토를 담아 왔습니다.

 


이번 전시에는 자유롭고 활달한 영감과 말로 재단할 수 없는 여운을 남겨주는 작품들이 펼쳐집니다.

 

곽훈 선생님은 그동안 동양정신, 그 가운데에서도 한국인의 정신세계를 표출해 왔습니다.

 

일견 심오하면서도 추상적인 질료를 작품 속에 녹여내는 일이란 결코 녹록치 않았을 것입니다.

 

그것은 단지 우연성에 그치지 않고 재해석하고 조화롭게 수용했기에 생명력을 지닐 수 있었습니다.

 

 

곽훈 선생님은 ‘과연 한국이란 무엇인가’, ‘나란 무엇인가’ 라는 정체성에 깊이 성찰해 왔습니다. 그 원형질을 찾아나섬으로써

 

마치 깊은 우물에서 두레박으로 샘물을 길어 올리듯‘우리 것’의 숭고함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너무나 친숙한 생활용기여서 오히려 주목하지 않았던 옹기나 다완 같은 한국인의 상징물을 소재로 삼거나

 

샤머니즘, 오행사상 그리고 선(禪)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테마들이 그러합니다.

 

이는 <한국의 장롱>과 <한국의 궤>와 같이 옛 생활 공예품을 전시했던 아트센터의 소장전과도 그 연결선상에 놓여 있습니다.

 

옛 것을 새롭게 읽는 힘, 머무르지 않는 창작에의 지구력에 큰 박수를 보내며,

 

이번 전시를 통해서 우리가 잃고 사는 고향의 울림과 미묘한 정신적인 감흥에 젖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대구보건대학 학장  남 성 희
 

 

.

 

 

Hoon Kwak

 

Born 1941, Daegu, Korea

Residence  Los Angeles, California

 

1980-82   California State University, Long Beach, M.F.A

1979-80   California State University, Los Angeles, M.A

1959-63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B.F.A

 

 

 

         Solo Exhibitions


2006   Daegu Health College Art Center, Deagu, Korea
           Pyo Gallery, Seoul, Korea
2005   National Art Museum of China, Beijing, China
2004   Pyo Gallery, Seoul, Korea
2003   Andrew Shire Gallery, L.A., USA
2002   Hyundai Art Center Gallery, Ulsan, Korea
           MBC Gallery, Daegu Gallery, Daegu, Korea
2000   Contemplation, Rong Bao Zhai Gallery, Beijing, China
           Kumho Museum of art, Seoul, Korea
1999   Carinthia Gallery, Klagenfurt, Austria
1998   Charles Cowles Gallery, NYC, USA
           Kumho Museum of Art, Seoul, Korea
1997   Carinthia Galleria, Kragenfurt, Austria
           Gallery 63, Seoul, Korea
           Ci-Gong Gallery, Daegu, Korea
1996   Jo Hyun Gallery, Pusan, Korea
           Masan MBC Gallery, Masan, Korea
           Pyo Gallery, Seoul, Korea
           Birmingham Museum of Art, Birmingham, USA
           Daegu Art Center Daegu, Korea
1995   Venice Biennale, Korea Pavilion, Venice, Italy
           Sigma Gallery, NYC, USA
           lnkong Gallery, Seoul, Korea
           Sun Gallery, Seoul, Korea
           Palos Verdes Art Center, L.A., USA
1994   The Works Gallery, Costa Mesa. USA
           Andrew Shire Gallery, L.A., USA
1993   Sun Gallery, Seoul, Korea
           Sonje Museum of Contemporary Art, Gyeongju, Korea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1992   Pusan Gallery, Pusan, Korea
           MacQuarie Gallery, Sydney, Australia
           Chicago International Art Fair by Sun Gallery, Chicago, USA
           Sala Pares Gallery, Barcelona, Spain
           The Works Gallery, Long Beach, USA
           Tokyo International Art Fair by Sun Gallery, Tokyo, Japan
1991   Pacific Asian Museum. Pasadena, USA
           Sun Gallery, Seoul, Korea
1990   Miami International Art Exposition by Sun Gallery, Miami, USA
           L.A. International Art Fair by Sun Gallery, L.A., USA
           MacQuarie Gallery, Sydney, Australia
           The Works Gallery, Costa Mesa, USA
           Sun Gallery, Seoul, Korea
1989   The Works Gallery, Costa Mesa, USA
           Levinson Kane Gallery, Two California, Boston, USA
           London Art Fair, Two Artist Show, London, UK
           lannetti Lanzone Gallery, San Francisco, USA
           Karl Bornstein Gallery, Santa Monica, USA
           Sun Gallery, Seoul, Korea
1988   LA International Art Fair by Sun Art Gallery, L.A., USA
           lannetti Lanzone Gallery, San Francisco, USA
1987   LA. International Art Fair by Sun Art Gallery, LA, USA
           lnkong Gallery, Seoul, Korea
           Duson and Pyung Gallery, Seoul, Korea
1986   Harcourts Contemporary, San Francisco, USA
           Korean Cultural Service Center Gallery, L.A., USA
           Ymok Gallery, Daegu, Korea
1985   Karl Bornstein Gallery, Santa Monica, USA
           Duson and Pyung Gallery, Seoul, Korea
1984   Q Gallery, Tokyo, Japan
1983   Dongsanbang Gallery, Seoul, Korea
           Art Space Gallery, L.A., USA
1982   L.A. Artcore Gallery, L.A., USA
           Dongsanbang Gallery, Seoul, Korea
           Traction Gallery, L.A., USA
1981   L.A. Artcore Gallery, L.A., USA
1980   L.A. Artcore Gallery, L.A., USA

 


         Group Exhibitions


2004   National Museum of Art Contemporary, Seoul, Korea
2003   Chicago International Art Fair by Pyo Gallery, Chicago, USA
           Shanghai Art Fair by Pyo Gallery, Shanghai, China
2000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Korea Cultural Center, NYC, USA
1998   Charles Cowles Gallery, NYC, USA
1997   Charles Cowles Gallery, NYC, USA
1996   Venice Biennale, Seoul Art Center, Seoul, Korea
           Who's Afraid of Freedom, Newport Harbor Art Museum, Newport
           Beach, USA
1993   Fusion'93, Pauline Hirsh Gallery, L.A., USA
1992   Levinson Kane Gallery, Boston, USA
           Sandra Walter Gallery, Hong Kong
           Watts Tower, L.A., USA
           MacOuarie Gallery, Sydney, Australia
           Art Space Gallery, L.A., USA
           Sun Gallery, Seoul, Korea
1991   Levinson Kane Gallery, Boston, USA
           Hanwon Gallery, Seoulr Korea
           The Annex Gallery, La Jollar USA
           The Annex Gallery, San Diego, USA
           The Works Galleryr Long Beachr USA
           Vallerie Miller Gallery, Brunswick, USA
           East and West, Hobe Sound Gallery, Brunswick, USA
1989   The Thumb Gallery, London, UK
           The Works Gallery, Long Beach, USA
           Art Unlimited, Cerritos College Fine Art Gallery, Cerritos, USA
           Vallerie Miller Gallery, Palm Desert, USA
1988   Van Straaten Gallery, Chicago, USA
           5 Contemporary American Artists, with Laddi John Dill, Eric Orr,
           Michael Hayden, George Geyer, Sun Gallery, Seoul, Korea
           Vallerie Miller Gallery, Palm Desert, USA
           lannetti Lanzone Gallery, San Francisco, USA
           Kukje Gallery, Seoul, Korea
           Kar 1 Bormstein Gallery, Santa Monica, USA
          The Works Gallery, Long Beach, USA
1987   Karl Bormstein Gallery, Santa Monica, USA

            Contemporary Art of Korea: Artists in Daegu, Osaka Contemporary
           Art Center, Osaka, Japan
           Basel International Art Fair by Harcourts Contemporary Gallery,
           Basel, Switzerland
           The Works Gallry, Long Beach, USA
           Contemporary American Art: Southern California, Taipei Fine Arts
           Museum, Taipei, Taiwan
           New Talent Showcase2, The Works, Gallery, Long Beach, USA
1986   Karl Bornstein Gallery, Santa Monica, USA
           Cultural Fusion: 6 Contemporary Korean American Artists, Simard
           halm Gallery L.A., USA
           The Works Gallery, Long Beach, USA
           Karl Bornstein Gallery, Santa Monica, USA
           Basel International Art Fair by Harcourts Contemporary Gallery,
           Basel, Switzerland
           Only L.A.: Contemporary Variations, Los Angeles Municipal Art Gallery,
           Barnsdall Park, LA, USA
           Law Firms Collections, Loyola Law School, L.A., USA
           Gallery Artists, Harcourt Contemporary Gallery, San Francisco, USA
1985   Trio, Harcourts Contemporary Gallery, San Francisco, USA
           Fusion 85, Jewish Federation Council, L.A., USA
           Gallery Artists, the Works Gallery, Long Beach, USA
           Screens and Scrolls, 18th Street Gallery, Santa Monica, USA
           1 to 1, Art Rental Gallery, L.A. County Museum of Art, L.A., USA
1984   Korean-American Expressions: 5 Artist from Los Angeles, California
           State University, L.A., USA
           May I Have Attention Please!, Doninguez Hills, Carson, USA
           Wing Luke Memorial Museum of Art, Seattle, USA
           Kar1 Bornstein Gallery Santa Monica, USA
           Harcourts Contemporary Gallery, San Francisco, USA
           Gallery Artists, Art Space Gallery, L.A., USA
           Korean Art Today, Korean Cultural Service, L.A., USA
           MetroRail Transit Corporation, L.A., USA
           Gallery Artists, Art Space Gallery, L.A., USA
1983   California Dreaming, Los Angeles Municipal Art Gallery, Barnsdall
           Park, LA, USA
           8 Korea American Artists. Korean Cultural Service, L.A., USA
           3 Artist Show in Conjuction with L.A.V.A., L.A. Visual Art Tours, L.A.
           Artcore Gallery, L.A., USA
           Additional Space Expose VI, Rental Gallery, LA County Museum of
           Art, L.A., USA
           Long Beach Connection, Palos Verdes Art Center, Palos Verdes, USA
           Works on Paper, 1:16 Gallery, L.A., USA
1982   15 L.A. Artist, Scope Gallery, L,A,, USA
           Bowl-Shaman: Transitions, One Man Show, Gallery C, California
           State University, L.A., USA
           1 :16 Gallery, L.A., USA
           Traction Gallery, L.A., USA
           24th Annual National Exhibition of Prints & Drawings, Oklahoma
           Art Center, Oklahoma City, USA
           L.E.A.A. Juried All Median National Exhibition, New Mexico Junior
           College, Hobbs, USA
           Alice Lloyd College 3rd Annual Works on paper, Pippa Passes, USA                

           Pensacola Nateional Water Media Exhibition, Visual Art Gallery,
           Pesacola Jonior College, Pensacola, USA
1981   Show-1, Winter, Art Rental Gallery,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L.A., USA
       
   Rutgers National '81, Stedman Art Gallery, Rutgers University.
 
          Camden, New Jersey, USA
  
         Ink and Clay 9, California State Polytechnic University, Pomona, USA
   
        1:16 Galle「y, Los Angeles, California 15th National Juried Exhibition,
      
     Orange Country Art Association, Brea Art Gallery, Civic Cultural Center,   
           Brea, USA
   
        Long Beach Art Association, Open Juried Exhibition, Visual Arts, Long 
      
     Beach Gallery, Long Beach, USA
       
   Los Angeles Visual Arts '81(L.A.V.A.), Japanes American Community
  
         Cultural Center, L.A., USA
     
      Newcomers'81, Los Angeles Municipal Art Gallery, Barnsdall Park,
       
   L.A., USA
 
          61th National Watercolor Society Annual Exhibition Traveling Palm
    
       Springs Desert Museum, Palm Springs, USA
       
   Tucson Museum Art, Tuson, USA
       
   Pheonix A다 Museum, Phoenix, USA
       
   Arnot Art Museum, NYC, USA
           6 Artist Travelling Exhibition, M.M. shinno Gallery, LA, USA
           California Travelling, Nagasaki Prefecture Museum, Tenjin Salon
           Gallery, Fukuoka, Japan
           Japan & American Cultural Center, Pusan, Korea
           13 Contemporary Korean Artists Exhibition, Los Angeles Artcore
           Gallery, L.A., USA
           Dongsanbang Gallery, Seoul, Korea
           Asian Pacific American Artists Exhibition, Japanes American Com-
           munity Cultural Center, LA, USA
           Long Beach Art Association, Open Juried Exhibition Visual Arts,
           Long Beach Gallery, Long Beach, USA
           Selections '81, National Juried Art Exhibition, Vertex Gallery, Taos, USA
           Alice Lloyd College 2nd Annual National, Pippa Passes, Kentucky, USA
           Brand XI. 11th Annual Juried Art Exhibition, Brand Library Art Gallery,
           Glendale, USA
           8 Artists Invitational Drawing & Paintion Exhibition, Weber State
           College, Ogden, USA
           Drawing Conclusion, Junior Art Center Gallery, Barnsdall Park, L.A, USA
           L.E.A.A. Juried All Media National Art Exhibition, Hobbs, USA
           10th National Prints & Drawing Exhibition, Minot State College, Minot, USA
           Dakota Ink & Clay 8, California State Polytechnic University, Pomona, USA
           Spokane National 1981, Eastern Washington State Historica Society
           Cheney Cowles Memorial Museum, Spokane, USA
1980   14th Juried Art Exhibition, Orange Country Art Association, Brea
           Art Gallery, Civic Cultural Center, Brea, USA
           Long Beach Art Association, Open Jureid Exhibition Visual Arts,
           Long Beach Gallery, Long Beach, USA
           Asia Pacific American Artists Invitational, Japanese American Community
           Cultural Center, L.A., USA
           42nd Annual Exhibition of Contemporary American Paintings,
           The Society of Four Arts, Four Art Plaza, Palm Beach, USA
           Wesleyan International Exhibition of Prints & Drawings, Wesleyan
           College, Macon, USA

 

 

          Public Collections & Commisions

 

Security Pacific National Bank(L.A.), Amoco Production Co.(Standard oil), Minor State College,

Pensacola State Junior Colleg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Seoul). First L.A. Bank,

Columbia pictures Co , Santen Seyak Co., Wilshire House, Hotel Bel-Air, Manatt, Phelps,

Rothenberg&Tunney, Sheraton Harbor Island West, American Food & Beverage Co ,

American Bar & Grill(Santa Monica). Executive Life Insurance Co., Walker Hill Art Center,

Compri Hotel(Aurora), Southbrook Entertainment(Beverly Hills), Held Properties(beverly Hills). Trident Ltd.,

Ana Hotel(Tokyo). Bryan, Cave, McFetters & McRoverts, Robertson Designs, Four Season Hotel(Newport Beach),

Jewish Federation Council. Bear Stearn & Co., Tyson's Corner of Sheraton Hotel, Spierer, Woodward,

Denis & Furstman, MBC TV. Crop., Grand Hyatt Regency(Washington, D.C.), Omni Hotel, Touch, Ross & Co.,

Philippe Guimiot Art Gallery, O'Connor-Cavanaugh Art Gallery, Beverly Hills Hotel, Pacific Bell,

International Kunstverlag, Directors Guild of America, Yesteryear Inc., Conner Peripherals,

Raddisson Hotel(Palm Springs), Sheraton Torrey Pines (La Jolla),

Ocean Grand Hotel(La Jolla). Hilton(Seoul. Shanghi, Tokyo, Taipei, L.A.  International Airport, Chicago),

Nikko Hotel(Sydney), Kinsella, Boesch, FujiKawa & Towle, Jules &. Co., Costa Mesa, California,

Hyatt(Melbourne, Taipei, Singapore). Warner Chappell Music, Keumho Museum of Art. Hoam Art Museum,

Art Sonje Museum(Kyoungju). Korea Bank(Daegu). Gallery 63, Daegu City, llsin Group, Sungkok Art Museum,

Debec Cul­tural Foundation, Art Sonje Center, The South Wales Gallery,

Orange County Museum of Art. Arkansas Museum of Art, Ilmim Museum of Art, Philadelphia Art Museum,

National Art Museum of China, lndagn Museum, Fondation Maeght

 

 

 

곽훈의 예술-우주적 생명의 빛

 

임두빈

미술평론가

 

   화면 한 곳에 시선이 닿자 투명한 수면(水面)같은 색면(色面)위로 빛이 번져 나온다. 그 빛의 파장 속에서 우주가 열리고 있었다. 곽훈이 보여주고 있는 우주는 수수께끼의 우주다. 생성(生成)의 비의(秘儀)를 간직한 우주, 그 속에선 파괴조차 생성의 한 과정이다.

   어느 것 하나 결정된 것이 없는 화면, 수많의 붓 터치에 의한 다양한 선()과 면()의 흔적들로 곽훈은 독특한 기운의 색채로 뒤덮인 공간을 조성한다. 화면에 뒤덮인 수많의 색선(色線)과 색면(色面)의 흔적들은 작가의 의도하는 독특한 기운의 공간을 얻기 위한 주의 깊은 회화적 고려의 산물이다. 하나의 선()과 면()의 출현이 언제 시작되어 어디에 어떻게 끝나야 하는가를 아는 것은 작가뿐이다. 아니 사실은 작가 자신도 그것을 미리 계획하고 아는 것은 아니다. 거의 대부분 그의 독특한 화면은, 그리는 과정 속에 형성될 수 밖에 없는 무의식적(無意識的)인 열린 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곽훈이 조성한 독특한 기운의 화면은 끊임없이 일러이며 미묘하게 변화하는 창조적 에너지로 충만한 정신의 장()이다. 그것은 강한 힘으로 감상자의 마음을 진동시켜 끝없는 상상의 우주로 인도한다.

 

   그림을 보면서 나는 곽훈을 생각한다. 20년 가까이 곽훈을 보면서 느끼는 것은 전형적인 한국 선비의 모습이다. 인내하고 절제하며 끊임없이 정진하는 모습은 영락없는 선비의 모습이다. 아무리 술을 마셔도 흐트러진 모습을 보인 적이 없고, 항상 명석하고 솔직 담백하며 끊임없이 스스로를 응시하고 있는 화가이다. 이런 그를 보고 여러 사람들이 화가답지 않은 화가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것은 모르는 소리다. 우리나라의 옛 화가들 중엔 이런 모습의 화가들이 꽤 있다. 특히 선배로서 화가의 길을 걸었던 사람들이 그런 모습을 우리에게 남기고 있다.

   곽훈은 선비정신으로 타향에서의 모든 어려움을 뚫고 세계의 미술계에 우뚝 선 사람이다. 그의 작품에는 항상 한국의 토양에 뿌리를 둔 동양사상의 지혜가 회화적 언어로 녹아들어 빛나고 있다.

   氣(CHI), (KALPA), 제례목(RITUAL TREE), 찻그릇(TEA BOWL)등의 제목에서도 그의 사상의 지향점이 어디에 있는가를 알 수가 있다.

   곽훈은 동방의 성리학(性理學:특히 退溪Toegye栗谷Yulgok의 사상)과 노장사상(老莊思想)과 인도사상에 깊은 관심을 지니고, 그것에 근거하여 그의 예술을 지속적으로 사색해온 작가다. 간혹 그의 옛 작품에는 샤머니즘적 사상에 대한 관심도 보이지만, 그가 지금까지 일관되게 추구해온 정신은 한국의 토양에 뿌리를 둔 동방의 3대 철학사상인 것이다.

   오늘날 서양철학은 한계에 부딪쳐 세계에 대한 어떠한 대안도 내지 못한 채 자기 껍질 속에 웅크리고 들어간 느낌이다. 서양의 철학자들이 퇴계사상이나 불고철학 등 동양의 사상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도 그런데서 비롯된 현상이 아닌가 한다.

 

   이 문제투성이의 비인간화(非人間化)된 문명사회에서 저들의 철학이 아무런 힘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지금, 더욱이 우리도 우리 전통의 철학을 망각한 채 어두운 문명의 바다 위를 표류하고 있는 듯한 지금, 작가 곽훈은 바로 그런 점을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한 시대의 문명이 그 역동적인 정신성을 잃어가고 있다는 사실은, 저 근원적인 우주적 생명력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다는 말에 다름이 아니다. 일찍이 독일의 철학자 니체(F. Nietzsche)는 오늘의 시대를 예언하여 앞으로 인간은 그 자신을 경멸할 수도 없는 가장 경멸한 만한 시대를 맞이할 것이다.”라고 말한 바 있다. 그는 현대를 문화의 쇠멸기로 보고, 문화의 쇠멸 현상은 그것을 내부로부터 지탱하고 있던 디오니소스(Dionysos)적 생명력의 쇠퇴로부터 비롯된다고 간파했다.

   곽훈의 작품 <River, 1996>은 그런 우려를 담고 있는 것처럼 보여 진다. 화면 가득 소용돌이 모양의 나선형이 감상자를 빨아들일 듯 그려져 있는 이 작품은, 비인간화된 현대문명의 어두운 힘이 모든 것을 집어 삼킬 듯 탐욕스럽게 움직이고 있는 것을 연상하게 한다. 지금의 문제 상황을 직시하고 있는 깨달은 소수 지성인조차 어두운 문명의 소용돌이에 무력하게 빨려들고 있는 현()상황에서 작가 곽훈도 그런 시대적 위기를 느꼈던 것이리라.

   그리하여 그는 오늘의 시대적 위기의 대안으로 그가 생래적(生來的)으로 터특하고 있던 동방의 지혜를 회화적 언어로 표출하게 되었던 것이다.

 

   <氣CHI>라는 제목의 대부분의 작품들은 수많은 붓 터치의 흔적에 의한 다양한 색들의 자유로운 배치와 혼합으로 바탕이 이루어져 있는데, 이 바탕은 무언가 새로운 생성의 가능성으로 충만한 독특한 기운의 장()이 되고 있다. 마치 동양의 우주관(宇宙觀)의 하나인 태허(太虛)를 상징하듯, 그것은 아직 구체적인 사물들로 가시화(可視化) 되진 않았지만, 만물을 생성시킬 수많은 기()로 가득찬 무한한 공간과도 같다. 곽훈은 그의 그림에서 바탕공간을 시원(始原)의 우주인 태허(太虛)로 설정하고 있는 것이다. 태허는 정지된 공간이 아니라 끊임없이 움직이며 생성의 기운을 내뿜는 살아있는 우주다.

   곽훈은 이런 화면위에 수수께끼의 원추형이나 씨앗과 같은 형체들을 알 수 없는 이미지들과 함께 그려 넣는다. 그것들은 곽훈에 의해 창조된 우주적 생명력(宇宙的生命力)을 구체화(具體化) 하기 위한 상징적 장치들이다. 씨앗과 같은 독특한 형태들은 마치 점을 찍듯이 자유롭게 화면에 그려짐으로써 원추형의 등장과 함께 작품에 조형적 긴장감을 가져오고 있다. 그것들은 새로운 세계의 탄생을 기다리고 있는 근원적 생명력의 시원적 상징체인 것이다.

 

   곽훈은 몇 년전 고국의 산야에서 박주가리가 흰색의 씨앗을 바람에 날려 보내는 것을 보았다. 그는 그 순간, 그 자신과 불가사의한 우주의 생명력이 깊은 섭리 속에서 하나가 되는 빛나는 체험으 했다. 그 체험은 작품에서 무수히 많은 줄무늬 흔적들이 힘차게 진동하며 화면을 가득 채우고 뻗어나가는 형상으로 나타났다. 그 독특한 형상들은 생성의 기()를 방사(放射)하는 우주의 눈빛처럼 압도적인 시각적 호소력을 담고 보는 이의 가슴속에 희망의 불을 지피는 것이다.

 

   곽훈의 예술세계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또 한기지 주제는 그릇(Bowl)이다. <그릇>은 작가로 데뷔한 초기부터 최근까지 그려지고 있다. 최근에는 <찻그릇Tea  Bowl>이란 이름으로 실제 그가 가마에서 구운 그릇들을 전시장에 설치하여 보여주거나, 그림으로 그려 보여주고 있다.
수많은 그릇들이 큰 화면에 촘촘히 그려진 회화작품은 강렬한 느낌으로 감상자를 사로잡는다. 많은 평론가들이 곽훈의 그릇 그림을 어린시절에 그가 땅에서 파냈던 도자기 유물의 기억에서 비롯된 것으로 말하고 있다. 나 역시 그런 영향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곽훈이 지속적으로 <그릇>을 그리고 보여주는 데에는 그 보다 깊은 정신적 이유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곽훈은 수많은 <그릇> 그림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중여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동방의 성인(聖人)들이 깨달은 지혜와 공(空)의 지혜, 허의 지혜를 그는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장자식으로 표현 한다면, 그릇은 비어있는 부분이 있기에 쓸모가 있는 것이다. 즉 그 존재성의 중심에 공을 담고 있기에 가치가 있다는 말이다. 이처럼 현대인들도 존재의 중심인 마음의 근원이 비어 있음을 깨달아, 그를 묶고 있던 온갖 편견과 허구의  욕구로부터 벗어나라는 메시지이다. 전시장의 빈 그릇들 속에는 깨달음으로서의 공허가 담겨있는 것이다.

   오늘날 인류는 진정한 정신의 지향점을 상실한 채 방황하고 있다. 끊임없이 벌어지는 전쟁과 편견에 찬 정치적 주장들은 위대한 삶의 비상을 가로막고 우리 인간을 한없이 추락 시키고 있는 듯하다.  오늘날 인간의 사고는 너무나 왜소해져 버렸다. 우리가 얼마나 크게 하나의 위대한 정신으로 만날 수 있는 존재인지 현대인들은 까마득히 잊고 있는 것이다. 인종과 지역 종교와 가진 것으로 분리하는 어리석은 편견들은 우리를 각기 다른 존재로 분열시켜 놓음으로써 진실을 외면하고 허구의 미움과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
그러나 엄연한 현실은 우리 모두는 저 깊은 우주작 생명력으로부터 나온 하나의 존재라고 하는 사실이다. 여기에 무슨 분리와 대립이 있을 수 있겠는가?
곽훈의 작품은 보는 이에게 우리가 잊고 있던 존재의 고향인 우주적 생명의 세계를 열어 보임으로써 우리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던 근원의 힘을 깨닫게 하고, 모드를 감싸 안아 하나로 느끼게 하는 진정한 예술의 힘을 성취하고 있다.

 

 

 

Art of Kwak, Hoon Universal light of life

 

Lim, Doo Bin

Art Critic

 

   When a gaze hits a point on a canvas, light diffuses from the clear water-like color field. The universe opens up in the midst of wavelength of this light. Hoon Kwak reveals universe of riddles. Universe stores secretive ritual of creation, even destruction is one of the processes of formation.

   On an undetermined canvas, Hoon Kwak constructs a space covered with unique energy of colors through traces of his numerous stroke of brush creating various lines and surfaces. Traces of numerous color lines and color surfaces that covers the canvas to brings out the artist's intention to create a unique space of aura is a thoughtful product of pictorial consideration. Only the artist knows where the appearance of lines and the surfaces start and end. In fact, the artist himself does not plan this or know of it. Almost all of his unique pictures have unconscious open-structure that could only be formed during the process of drawing.

   Painting of unique aura created by Hoon Kwak that endlessly bobs up and down with its energy becomes the ground for spirits with subtly transforming force of creation. This strong power sways the minds of the audience and guides them to boundless imaginary universe.

   I think of Hoon Kwak as I gaze into his pictures. From watching him for 20 years, I feel that is the looks of Korean man of virtue. His perseverance, self-restraint and endless assiduity to move forward is infallibly the image of Korean classical scholar. He is never disheveled even when drinking, always clearheaded and ingenuous and he is continuously contemplative of himself. Some people even describe him as an 'un-artist like artist.' But that is an ignorant remark. There are numerous past artists of Korea who show such characters. Especially, those scholarly men who walked the path of artists shows such attributes. His spirit of Korean classical scholar enabled him to get through the difficulties in a foreign land and stand tall in the middle of international world of art. The wisdoms of Eastern philosophies that are rooted in Korea are found and merged in the language of art shine in all his artworks.

   From the artworks' titled such as CHI, KALPA, RITUAL TREE, TEA BOWL and etc, one can detect where his philosophical direction lies. Hoon Kwak has deep interest in Orient's Neo-Confucianism (especially ideas of Toegye and Yulgok) and doctrines of Lao-tzu and Chuang-tzu and ideas of India. He has continually based these ideas in his art. Occasionally, his old artworks show interest in Shamanism as well, but he has consistently sought after three major eastern philosophies that are deeply rooted in Korean soil.

   Nowadays, it seems as though western philosophies has reached a dead-end, curled up inside of its shell unable to provide any kind of plan. Perhaps this is the reason why western philosophers are showing interests in Eastern ideas such as Toegye and Buddhology and etc.

   Perhaps Hoon Kwak is seriously concerned with social problems in civilized society that has been dehumanized, and inability of western philosophies to address such problem especially when we also seem to be drifting on the sea of darkness oblivious of our traditional philosophies.

   The fact that an era's civilization is losing its dynamic spirit is analogous to distancing ourselves from the fundamental universal life force. At one time, German philosopher F. Nietzsche foretold our time and stated that 'mankind will encounter most despicable future even more contemptible than ourselves.' He viewed our time as cultural deterioration and such phenomenon has its origin in deterioration of Dionysiac life force.
   Kwak's artwork (River, 1996〉seems to incorporate these concerns. The artwork appears to pull in its audience with swirl of spiral patterns reminds us of the avaricious dark force of modern civilization that seems to swallow us all. Hoon Kwak must have felt the crisis of the time when even few intellectual minds who have recognize this problem have been powerlessly sucked into the present condition. Thus, he expresses countermeasures in pictorial language from his innate understanding of wisdoms of the East for crisis of our time.

   Most of artworks titled <CHI氣> are composed of traces of numerous brush strokes of diverse colors that are arranged and merged freely. This becomes the ground of rich and unique aura for new and creative possibilities. It seems to symbolize an eastern vision of universe, the Great Void, a universe that has yet no definite forms but is filled with creative forces that can bring life to all things on a infinite space. Hoon Kwak establishes backgrounds of his pictures as the origin of universe, the Great Void. The Great Void is not a suspended space, rather a live universe that ceaselessly gushing out forces of creation.

   Hoon Kwak draws enigmatic cone shapes or seed-like unexplainable images on this canvas. There are symbolic devices to embody universal life force created by the artist. Peculiar shapes like seeds that look as though it's been freely marked on the canvas and the appearance of cone shapes bring about figurative tension. These are the emblems of origin of fundamental life force waiting for the birth of new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