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전시
장거리 출장을 다녀온 다음 날 아침 출근길에서
“총장님은 철인이네요” 하는 소리를 듣습니다.
건강하다는 덕담인지 게으름 부릴 명분이 없다는 불평인지 모르지만
“너무 강해”라고 들립니다.
철의 물성은 강도와 내구성으로 하중이나 압력에도 잘 견딥니다.
한번 뜻을 품으면 불리한 외부환경이나 내부의 파열음도 다독거리며
해내고야 마는 성격이라 철인이라는 표현이 싫지만은 않습니다.
하지만 그들이 놓치고 있는 철의 물성 중 연성이 있는데요.
온도에 따라 잘 늘어나고 얇게 펴지기도, 쉽게 접히거나 구부러지기도,
단단하게 압축되기도, 다른 성분과 결합해서 부식의 공포에서 벗어나기도 합니다.
맞닥뜨린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주가 가능한 철의 가장 큰 장점이지요.
어려운 과제를 잘 풀어내기 위한 지혜를 철에서 배웁니다.
강하기만 해서는 안 되고 유연하며 개별적으로 대응하고
내 마음을 반쯤 비워 너에게도 공간을 내어주고 의지가 없이 누워있다면
소원지처럼 접어서 일으켜 세워야 합니다.
김인겸 선생님이 비워내기의 달인인 것은 철을 닮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아니 철이 곧 당신이었나봐요.
생 속이었던 철덩어리를 당신의 숙명으로 끌어안고 펴고, 접고,
비우고 누군가가 들어올 공간을 넓히고 넓혀
텅 빈 공간을 충만하게 채우는 마술.
철의 마지막으로 꼽히는 물성은 열전도율이라지요.
김인겸 선생님의 마술로 데워진 인당의 공간 속에서
여러분들도 서늘한 가을밤의 한기를 데워보시면 좋겠습니다.
2025년 10월 대구보건대학교 총장 남 성 희
김 인 겸 (金仁謙, 1945-2018)
홍익대학교 조소과, 동 대학원 졸업
1995 베니스비엔날레 한국대표작가
1996-1997 프랑스 퐁피두센터 초대작가
수상
2004 김세중 조각상
1997 가나미술상
1980 중앙미술대전 장려상
개인전
2025 《김인겸: 공간의 시학》, 대구보건대학교 인당뮤지엄, 대구
《Papier Sculpté, Sculpture Pliée / Sculpted Paper, Folded Sculpture》, 우손 갤러리, 대구
2023 김인겸 5주기 전 《Image-Sculpture》, Space 21, 서울
2017 《김인겸, 공간과 사유》, 수원시립미술관, 수원
2011 《스페이스리스》, 가나아트센터, 서울
2010 《스페이스리스》, 타이파 국립미술관, 마카오
2009 《스페이스리스》, 표갤러리, 서울
2005 《빈 공간》, 시공갤러리, 대구
2001 《빈 공간》, 사이트 오데옹5, 파리, 프랑스
《빈 공간》, 갤러리 모니떼르, 파리, 프랑스
1999 《묵시공간-공》, 가나아트센터, 서울
1997 《드로잉 조각》, 프랑스문화원, 서울
퐁피두센터 스튜디오, 파리, 프랑스
1996 《묵시공간-존재》, 표 갤러리, 서울
1995 《프로젝트21-내추럴 네트》,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베니 스, 이탈리아
1992 《프로젝트-사고의 벽》,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1991 《묵시공간 Ⅱ》, 가나화랑, 서울
1988 《묵시공간》, 가나화랑, 서울
주요 단체전
2025 《백색 이후 1975-1995》, 홍익대학교 박물관, 서울
2024 《30 Years: Passages-백남준, 곽훈, 김인겸》, 예화랑, 서울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30주년 기념전 《모든 섬은 산이다》, 몰타수도원, 베니스, 이탈리아
《삶에서 건진 아름다움의 지분》,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
2023 《Space·Space-Less》, The SoSo, 서울
《조각의 시간: 울림》, 세종문화회관, 서울
《또 다른 물성》,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박물관, 서울
《물은 별을 담는다》, 수원시립미술관, 수원
《SeMA-Project A》, 서울시립미술관 아카이브, 서울
2022 《우리가 마주한 찰나》, 수원시립미술관, 수원
2021 《국립현대미술관 드로잉 소장품전》,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청주
2018 《한국현대조각회 창립 50주년 기념전》, 홍익대학교 현대 미술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기증작품 특별전 2010~18》, 국립현대미술 관 과천관, 과천
《아트 파리 2018》, 그랑 빨레(Grand Palais), 파리, 프랑스
《서울대학교 미술관 소장품 100선》,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
2017 《종이 조형-종이가 형태가 될 때》, 뮤지움 산, 원주
《Korea Now 2017》, 오페라 갤러리, 제네바, 스위스
2016 《아트 파리 2016》, 그랑 빨레(Grand Palais), 파리, 프랑스 2015
《물성을 넘어, 여백의 세계를 찾아서-한국 현대미술의 눈과 정신 1》, 가나아트센터, 서울
《사물의 소리를 듣다-1970년대 이후 한국현대미술의 물질성》,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Perspective on Contemporary Korean Art》, 오페라 갤러리, 파리, 프랑스
《아트 런던 15》, 런던, 영국
《소묘》, 갤러리 소소, 파주
2014 《벽-컬렉션 하이라이트》,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3
《White & White - Dialogue Between Korea and Italy》, 카를로 빌로티 미술관, 로마, 이탈리아
《가나아트 30주년 전》, 가나아트센터, 서울 《In Sight》, 일우 스페이스, 서울
2012 《진경》, 인터알리아, 서울
2011 《퀼른 아트페어》, 퀼른, 독일
《사각사각》, 경운박물관, 서울
《Moa Picks 2011》,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
2010 《백색의 봄》,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
《홍콩 아트페어》, 홍콩, 중국
《Sculpture 2010-트리엔날레 인천》, 인천 밀라노디자인 시티 전시관, 인천
《Inside Out》, 봉산문화회관, 석화랑, 대구
2009 《텍스타일 아트 도큐멘타 2009-섬유의 원형》, 대구문화 예술회관, 대구
《스펙트럼-리듬, 조형, 교감》,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한국현대조각의 흐름과 양상》, 경남도립미술관, 창원
2008 《베니스비엔날레 한국작가 드로잉 특별전》,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2007 《Reconstruction PURE MASS》, 서울광장, 서울
《한국현대조각의 정신-어제와 오늘》, 마나스 아트센터, 양평
《신소장품 2006》,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비평적시각 - 근·현대에서 최근까지》, 인사아트센터, 서울 2006
《서울숲 야외조각심포지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Art Now, Beyond History》, 장흥아트파크, 장흥
《김세중 조각상 창립 20주년 기념전》, 성곡미술관, 서울
《무계, Without Boundary》, 표 갤러리, 북경, 중국
《난지 미술창작스튜디오 개관기념 난지 야외환경조각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5 《한국현대미술초대전 - 열정》, 성남아트센터, 성남
2004 《아트 시카고》, 시카고, 미국
《현대미술의 시선》,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스틸 오브 스틸》, 포스코미술관, 서울
《신소장품 2003》,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3 《드로잉의 새로운 지평》,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1 《횡단하는 이미지》, 갤러리 휘시, 서울
2000 《새 천년의 항로 - 주요 국제전 출품 작가들 1990-99》,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99 《FIAC 99》, 갤러리 가나 보부르, 파리, 프랑스
1998 《바젤 아트페어》, 가나 화랑, 바젤, 스위스
《FIAC 98》, 파리, 프랑스
《김포조각심포지움》, 김포조각공원, 김포
《가나아트센터 개관기념전》, 가나아트센터, 서울
《잘못된 만남》, 사비나미술관, 서울
1997 《Projet 8》, 토탈미술관, 서울
《FIAC 97》, 파리, 프랑스
1996 《사라진 제국의 숨결을 찾아서 - 실크로드 미술기행》, 동아 갤러리, 서울
《FIAC 96》, 갤러리 드니스 르네, 파리, 프랑스
《에꼴드서울》, 관훈미술관, 서울
1995 《한국미술95 - 질, 양, 감》,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통일의 염원》, 예술의전당 미술관, 서울
《제주신라미술전》, 신라호텔, 제주
1994 《정도600주년기념 서울국제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94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오월의 환타지》, 최갤러리, 서울
1993 《작은 조각 트리엔날레》, 워커힐 미술관, 서울
《현대미술의 기호와 상형》, 갤러리 현대, 서울
《현대미술의 단면》, 표화랑, 서울
1992 《에꼴드서울》, 관훈미술관, 서울
1991 《한국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 Ⅲ - 갈등과 대결의 시대》, 한원미술관, 서울
《아트페스티벌 후쿠오카》, 후쿠오카, 일본
《한-일 현대조각교류 10주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90 《’90 새로운 정신》, 금호미술관, 서울
《최갤러리 개관기념 초대전》, 최갤러리, 서울
1989 《Art Jonction International》, 가나화랑, 니스, 프랑스
《작은 조각전》, 갤러리 서미, 서울
1988 《’88 올림픽기념 현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87 《신라야외조각전》, 신라호텔, 서울
1986 《제10회 아시아경기대회 문화예술축전 - ’86 조각대전》, 예화랑, 서울
1985 《아시아 비엔날레》, 다카, 방글라데시
1984-1992 ’84, ’85, ’87, ’92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1982-1991 《한·일 현대조각전》서울/후쿠오카, 일본
1980 《제3회 중앙미술대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조각 11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1977-2005 《한국현대조각회전》
1973-1975 제23회, 제24회, 제25회 국전 입선
1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