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 10
축간사 ----- 12
제 1부 주제별 논문
동아시아 고대 궁성과 대가야 ----- 박순발 ----- 21
Ⅰ. 궁성의 출현과 전개
Ⅱ. 동아시아 궁성의 전개
Ⅲ. 한국 고대의 궁성
Ⅳ. 대가야의 궁성
문헌으로 본 가야제국의 궁성과 성곽 ----- 김재홍 ----- 51
Ⅰ. 머리말
Ⅱ. 가야제국의 도성과 궁성
Ⅲ. 가야제국의 성곽
Ⅳ. 가야 궁성과 성곽의 특성
Ⅴ. 맺음말
문헌으로 본 대가야의 왕궁과 산성 ----- 박성현 ----- 89
Ⅰ. 머리말
Ⅱ. 왕궁지(王宮址)
Ⅲ. 주산성(主山城)
Ⅳ. 대가야 왕도의 구조
Ⅴ. 맺음말
대가야 宮城의 구조와 주요 시설 ----- 정동락 ----- 115
- 문헌기록과 발굴조사 성과를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대가야의 도성 방어 체계
Ⅲ. 대가야 궁성의 구조
Ⅳ. 대가야 궁성의 주요 시설
Ⅴ. 맺음말
김해 봉황토성 최신 발굴조사 성과 ----- 오규진 ----- 155
Ⅰ. 조사개요
Ⅱ. 조사지역의 환경
Ⅲ. 조사내용
Ⅳ. 맺음말
대가야 궁성과 왕도의 범위에 대한 시론적 검토 ----- 김재현 ----- 195
Ⅰ. 머리말
Ⅱ. 대가야 궁성과 왕도에 대한 문헌자료
Ⅲ. 대가야 궁성과 왕도의 위치와 범위
Ⅳ. 맺음말
5~6세기 대가야의 발전과 도성의 성립 ----- 박천수 ----- 229
Ⅰ. 머리말
Ⅱ. 5-6세기 대가야의 발전 과정
Ⅲ. 대가야 도성의 성립 시기
Ⅳ. 대가야 도성의 경관과 범위
Ⅴ. 대가야의 국가 형성
Ⅵ. 맺음말
대가야 도성구역 성곽과 인접국가 성곽의 비교 ----- 이혁희 ----- 269
- 연조리토성과 주산성을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연조리토성과 주산성의 검토
Ⅲ. 인접국가 성곽과의 비교·검토
Ⅳ. 검토 결과와 도성구역 경관 복원을 위한 제언
제 2부 종합토론
종합토론 ----- 309